• Title/Summary/Keyword: 안전증진

Search Result 72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제4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에 따른 여객선 이동편의 개선 방안

  • 김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17-418
    • /
    • 2022
  • 2006년부터 시행 중인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교통약자법)」 제6조에 따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을 위한 5년 단위 국가계획인 제4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22~2026)이 수립 중에 있다. 2021년에 조사된 여객선의 기준적합 설치현황을 보면, '19~'20년 기준 여객선의 기준적합 설치율이 34.9%로 타 교통수단에 비해서 매우 낮은 설치율을 보이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2000년부터 연안여객선의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설치를 통한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연안여객선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설치 지원 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여객선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이동편의 개선의 한계로 인해 획기적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제4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수립을 위해 해양 교통수단의 특성, 이용 만족도 및 선박의 안전성 등을 고려한 여객선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대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n the Promotion of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개선사항이 근로자의 안전보건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Duck Hee;Park, Jong Young;Youm, Hie Sa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3
    • /
    • pp.568-578
    • /
    • 2021
  • Purpose: T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rovision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nd to propose measures to prevent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by seeking to promot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through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truction sites with more than 50 permanent workers (5 billion won in construction amount).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he JAMOVI statistics program and based on objective data. Resul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i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has the highest impact on the promotion of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compliance with safety and health rules of workers is required and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allow workers to participate i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 Study on the Affordance Factors for Enhancing Safety Behavior in Safety Education App (안전교육 앱에서 안전행동 증진을 위한 어포던스 요인에 관한 연구)

  • Baek, Hyeon-Gi;Ha, Tai-Hy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6
    • /
    • pp.489-497
    • /
    • 2016
  • This study focu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based on the questionnaire. Prior to the interview, we used questionnaires from the previous researchers in order to select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of the focus group. In order to measure the possibility, which i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the safety education app, the items related to cognitive, sensual, physical, and safety behaviors were used as constituent factors. And the safety education app to analyze was selected 'Water Go GO!' App develop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 should help to participate in learning continuously in order to make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in safety education app learning environment. Second, learners must interact with mobile devices in their apps to facilitate learning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factors that can interfere with learners'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utilize this design principle as a guideline for enhancing safety behaviors.

Improvement for BF (Barrier Free) Certification to Ensure Disaster Safe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 재난 안전확보를 위한 BF(Barrier Free) 인증제도의 개선 방향)

  • 박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30-233
    • /
    • 2023
  • 우리 헌법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편의증진법과 교통약자법을 통해 장애인등이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 등을 비장애인들과 차별 없이 이용하여 이동하고, 도로와 대중교통수단, 공공 건축물과 주거 등 생활 필수시설에 자유롭게 접근하기 위한 접근권을 보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동권의 보장을 편의시설 제도라는 독자적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장애물 없는 환경 인증 제도(BF 인증제도)를 도입하였다. 시행 15년을 맞은 BF 인증제도는 양적으로는 많은 발전을 가져왔지만, 질적으로 특정 건축물 등 일부에 대한 인증 편중 현상이 있으며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재해 안전확보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지 않아 부진정한 이동성과 접근성의 보장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동권 보장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는 그 나라의 사회 안전망이 얼마나 잘 갖추어져 있는지 판단하는 척도라 할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이동권 보장은 위험상태에서의 안전한 피난을 함축하고 있으며 중첩적으로 국가의 기본권 보호 의무의 이행과 관련된다. 이에 따라 이동권과 접근권의 증진을 위한 BF 인증 규정을 안전 규범으로 보완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평등한 인격적 주체로 공동체에 기여하는 안전한 사회적 환경의 조성이 긴절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