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의복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유경종柳慶宗 1565-1623 묘 출토복식 고찰 (Costum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yu gyeongjong (1565-1623))

  • 황진영;황소정;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5권
    • /
    • pp.38-55
    • /
    • 2014
  • 본 유물은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진주 유씨 유경종 柳慶宗, 1565-1623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3점이다. 이미 1차 보존처리가 완료되었으나 일부분에 대한 재처리가 필요하였고 의복의 형태 복원 및 유물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재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재보존처리가 완료된 복식 3점은 형태 복원을 통해 의복의 특징에 따라 단령 團領, 직령直領, 창의氅衣로 명칭을 정정하였다. 직물의 무늬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운문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새로운 패턴이 확인되었으며, 단령에 부착된 흉배 胸背 는 무늬 부분이 아닌 바탕 부분이 연금사 撚金絲로 직성 織成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유물은 보존처리를 통해 원형을 회복하고 의복의 형태에 맞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16세기 후기에서 17세기 전기 직물의 무늬 및 의복의 형태의 유행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킨 스쿠바 의복재료의 현황 및 단열력에 관한 연구

  • 김칠순;권영하;유명철;임길수;이세용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0-273
    • /
    • 1998
  • 2차 세계대전 중(1943년) 쟈크 이브 쿠스토우(J.I.Cousteau)와 가그논(E. Gagnon)둥에 개발된 현대식 SCUBA는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레크레이셔널 다이빙이라고 하는 새로운 스포츠를 창조했다. 현재 미국에서는 다이빙이 점점 안전해지면서 스쿠바 다이빙을 배우고 즐기는 사람이 많이 늘고 있으며 연간 60만명 이상이 캐리비안섬으로 다이빙을 하기위해 여행을 간다고 한다[1].(중략)

  • PDF

Development of A Uniform And Casual Clothing Recognition System For Patient Care In Nursing Hospitals

  • Yun, Ye-Chan;Kwak, Young-T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45-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인안전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인물이 노인(환자복) 그룹인지 실무자(평상복) 그룹인지를 CCTV에 나타나는 의복을 기준으로 구별하는 것이다. Web Crawling기법과 요양병원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Image Generator와 Labeling으로 모델 학습 데이터를 만들었다. CCTV의 제한된 성능 때문에 높은 정확도와 속도를 모두 갖춘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므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ResNet 모델, 속도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YOLO3 모델을 각각 구현했다. 그리고 요양병원이 자신의 실정에 맞는 모델을 고를 수 있게 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환자복과 평상복을 적절한 정확도로 구별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실제 사용처에서 노인들이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요양병원 안전사고 감소에 이바지 할 것으로 평가된다.

광섬유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적용한 고시인성 스마트 안전조끼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tocol of the High-Visibility Smart Safety Vest Applying Optical Fiber and Energy Harvesting)

  • 박순자;정준영;문민정
    • 감성과학
    • /
    • 제24권2호
    • /
    • pp.25-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만으로 제작, 보급되고 있는 현 안전의복에, 광섬유 적용으로 시인성을 높여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LED를 촉매로 한 광섬유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제작한 안전조끼를 개발하였다. 안전조끼는 필름에 일체화된 자동 점멸 광섬유에 의해 빛을 방출하도록 설계되었고 이 조끼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으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하여 광섬유의 발광을 더 지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조끼 착용자의 신체는 광섬유(optical fiber)와 재귀반사 테이프를 통해 멀리서 인식 가능하도록 시인성이 높아져 사고예방에 도움이 된다. 즉 야간에 실시하는 도로변이나 고지대에서의 작업, 구조대원의 활동, 스포츠 활동 시 사고를 예방하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광섬유 발광을 변화시키는 신호로 사고 지점을 빨리 발견할 수 있어 인명구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생활 속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압전소자 발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탑재한 결과, 배터리부의 유효 충전량을 활성화하고 보조 충전을 함으로써 에너지를 소량일지라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동시에 안전조끼에 내장하여 제작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기존 안전 조끼의 경우 야간에 주변 조명이 없을 때는 조끼를 착용한 사람을 인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안전조끼의 빛 신호로 주변 조명이 없을 때에도 100m 이내에서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적용 안전조끼는 측면에서의 시인성 향상뿐만 아니라 가볍고 (물)세탁이 가능하여 실용적 측면에서 현존하는 LED적용 안전의류보다 우수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광섬유와 에너지 하베스터를 장착한 안전조끼는 실용도가 높고 안전사고 발생 예방과 감소, 나아가 인명구조에 이바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공무원의 방화복 착용 후 단계별 운동강도 변화 시 의복 내 온도·습도·발한량 차이 (The change in temperature·humidity·perspiration of fire suit when applying phased intensive exercises to fire fighter wearing fire suit)

  • 최서연;박일규;공일천;이동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7-1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hange in temperature humidity perspiration of fire suit when applying phased intensive exercises to fire fighter wearing fire suit. For this study, three male fire fighters took basic physical test and performed 10 minute phased intensive exercises -exercise intensity I (30%VO2max), exercise intensity II (45%VO2max), exercise intensity III (60%VO2max) based on maximum oxygen consumption (VO2max)- wearing fire suit (helmet, boots, air respirator) in treadmill and took a rest.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the temperature in the suit elevated during stabilization period after each exercise intensity, humidity elevated as exercise intensity increased, perspiration elevated as exercise intensity increased. This study indirectly ascertained the fire suit's physiological change in fire fighters during field activities.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류 업사이클링 소품제작 수업개발 (Instructional Development of Making Upcycle Clothing Accessorie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es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Technique)

  • 유명숙;이예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3-187
    • /
    • 2021
  • 본 연구는 창의성 함양을 위해 중학교 1학년 의생활 부분 중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하여 가정교과 의류 '업사이클링' 소품 제작 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수체제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를 활용하였고 디자인씽킹 과정은 관련 지식 이해, 공감, 문제 정의(관점공유) 및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입 제작, 테스트, 실물 제작의 단계를 적용하였다. 교사 1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의 자문 결과도 개발과 평가 과정에 반영하였고, 학생들의 피드백을 활용해 학습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하여 10차시의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학습자료, 평가 루브릭을 완성하였다. 또한, 수업참여 학생들의 피드백으로부터 다양한 의복 재활용 방법 탐색을 통한 윤리적 책임감 향상,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의생활 실천, 의류 실습 용구의 안전한 사용 방법 습득, 사고력, 공감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패션에 대한 진로 탐색과 심미적인 것에 대한 관심 확장이 성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의생활 안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Clothing Safe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류경;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7-143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ADDIE 모형에 따라 '의복 및 섬유제품의 생산, 착용, 세탁, 보관 과정에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친환경 섬유', '천연세정제'와 같이 3가지 학습요소에 대하여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경기도 안양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 7개 학급, 총 2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1주에 2시간씩 3주에 걸쳐 총 6차시로 수업을 실행하였다. 건강신념을 측정한 사전·사후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version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인지된 위협(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의 조합), 인지된 이익,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인지된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교육 수업은 중학생들이 유해물질로부터의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교육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가정과 특색에 맞는 안전교육은 물론 의생활안전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현 환경미화원용 안전작업복의 착용감 평가 -공적으로 공급된 환경미화원복을 중심으로- (Evaluation on Wear Sensation of Safety Clothing for Current Street Cleaners -Focusing on Publicly Supplied Safety Clothing for Street Cleaners-)

  • 박순자;傳法谷郁乃;小柴朋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37-1052
    • /
    • 2020
  • This study evaluates the comfort and suitability of safety clothing. We made three safety clothes 'y', 'lg', 'lgH'. Only 'y' made with fluorescence fabric has passed International Standards (ISO 20471). A wearing test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subjective sensations at 30℃ and 50% RH, six men participated. Mean skin temperature and tympanic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xperimental course (p<.05). The micro-temperature (T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arments on the thigh (p<.01). When wearing 'lg', Tm was the highest. Micro-humidity indicated the interaction between clothing and the experimental course on the ches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re was a low tendency when wearing 'lgH' after the second half of exercise. The sweat rat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g' and 'lgH' at 20 minutes of exercise (p<.05). Three sens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time (p<.01),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feel hotter and more humid when wearing 'lg'. Skin sens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p<.05), 'y' was the most preferred. The 'lg' with long-sleeved currently worn in Korea tended to feel hotter, more humid and more uncomfortable than 'y'. It indicates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Korean safety clothing.

도로변 작업자와 도로교통 업무 경찰관의 안전의복 착용실태 및 그 소재와 착용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urrent Wear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Warning Clothing for Road Cleaner and Traffic Workers)

  • 박순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347-360
    • /
    • 2018
  • We surveyed 223 road workers between 2017 July-August about wearing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basic data to develop safety clothing that enhances visibility of motion and comfort while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current warning clothing owned by road cleaners and about 2/3 of policemen clothes were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purpose of wearing, color, properties, satisfaction and protectiveness differed significantly by occupation. Second, the most popular response for the type and quantity of warning clothing was 2 sets of spring/autumn, summer, and winter type for road cleaners, whereas policemen chose 2 sets of all types plus a safety vest. Therefore, a top-level (3rd class) warning clothing study is required. Third, satisfaction ranked Moderate>Good>Poor; in addition, the main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retroreflective tape increases safety at night (54.4%)' for road cleaners and 'the fluorescent color stands out (43.7%)' for policemen. Thus, it was accepted that visibility contributed to safety. Fourth, body-protectiveness was evaluated higher compared to wearing satisfaction, and it was recognized more by road cleaners than policemen.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er for road cleaners versus policemen both in Seoul than Incheon. Fifth, the main dissatisfaction in both groups was 'low sweat absorbency' showing improving the air permeability, moisture regain and permeability was the highest priority. Finally, those working 8 hours a day tended to evaluate more positively the 6 properties of the material.

초등학생의 도로교통 안전의복의 착용 현황 및 개선점 분석 (Analysis of the Current Wearing Status and Point of Improvement of Warning Cloth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순자;이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661-673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wearing status and awareness of warning clot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to identify points of improvement for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nd clothing safety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79 elementary $5^{th}$ and $6^{th}$ graders in the Incheon area and Ansan in 2017 June & July.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2/3 of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wearing warning clothing. Second, 63% of participants answered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s the main purpose of warning clothing, showing that about 2/3 are aware of the importance. Third, yellow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of fluorescent material for warning clothing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eference by grade. The favorite color combination of participants was yellow & orange followed by yellow & light green,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Fourth, the most preferred form of warning clothing was fluorescent short sleeves and shorts without reflective tape, suggesting that students paid more to the purpose for reflective tape. Fifth, while 68% of participants were negative towards wearing safety clothe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66% were willing to try safety clothes if the color and the design improved. The results suggest an improved education with more emphasis on the purpose of clothing safety. Color and design adjustment of the current warning clothing is also recommended for a more active participa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