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운항

Search Result 1,2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Safe Navigation Contents for Aging Seafarer in Tug-barge Transportation (고령 예부선 운항자를 위한 안전운항 교육 콘텐츠의 개발)

  • Kim, Hong-Tae;Chang, Hea-Jung;Kim, Hye-J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5
    • /
    • pp.351-358
    • /
    • 2011
  • Recently, tugs and barges have become larger in size and increased in number. Also, most of tugs and barges are more than ten-years old. Total number of marine accident has been decreased, whereas that of accidental happening in tug-barge transportation has not been decreased. The statistics of marine accidents in 2010 shows that tug-barge accidents increased rapidly compared with those of 2009. The cause of accidental happening in tug-barge transportation is a quality of tug-barge operator the labour serious shortage of crew. This study is to give or suggest th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ing old age of crew and navigational environment for safe navigation in tug-barge transportation.

자율운항선박 충돌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나성;이동준;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9-221
    • /
    • 2023
  • 첨단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자율운항선박과 같이 인간의 개입을 획기적으로 줄인 첨단 시스템의 운용은, 대상 시스템의 운용 중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안전한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선박의 충돌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자율운항선박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분석 작업 수행 내용과 실시간 충돌 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검토한 간략한 위험도 모델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항해, 통신,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충돌 사고 빈도 산출을 위한 Fault Tree Analysis와 충돌 사고로 인한 영향 산출을 위한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Fault Tree와 Event Tree의 입력값 중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였고, 각 변수들에 입력값은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한 자율운항선박 충돌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스케쥴링을 위한 AIS 기반 해상 교통 혼잡도 예측 기법 개발

  • 김세원;이서호;손준배;엄정온;이주향;김혜진;김동함;윤상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95-296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의 항해 조작 없이 선박 스스로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시 충돌 및 사고 위험도가 큰 지역은 운항 중 선박을 많이 조우하게 되는 항 내 및 연안 지역이다. 실제로 충돌사고의 85% 이상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자율운항선의 운항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의 운항 안전성을 검토하는 것은 미래 자율운항선 항 내 운용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양에서는 선박 자체의 운항성능이 중요하지만, 항구 입출항 시에는 타선 및 터미널등과의 상호작용이 자율운항선의 입출항 안전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이 항구 근처에 접근하여 입출항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입출항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결정 알고리즘을 위한 해상혼잡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혼잡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선박의 AIS통항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항로를 구분하고 주요 항로의 이용 빈도 및 운항 시점의 선박 집중도 및 충돌위험 상황을 파라미터로 하여 특정 시간이 지난 후의 혼잡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지원을 위한 혼잡도 예측 기법 개발

  • 손준배;김세원;이서호;김혜진;김동함;윤상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81-83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의 항해 조작 없이 선박 스스로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시 충돌 및 사고 위험도가 큰 지역은 운항 중 선박을 많이 조우하게 되는 항 내 및 연안 지역이다. 실제로 충돌사고의 85% 이상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자율운항선의 운항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항 내 및 연안 지역에서의 운항 안전성을 검토하는 것은 미래 자율운항선 항 내 운용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양에서는 선박 자체의 운항성능이 중요하지만, 항구 입출항 시에는 타선 및 터미널등과의 상호작용이 자율운항선의 입출항 안전성과 직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이 항구 근처에 접근하여 입출항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입출항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결정 알고리즘을 위한 해상혼잡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혼잡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선박의 AIS통항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항로를 구분하고 주요 항로의 이용 빈도 및 운항 시점의 선박 집중도 및 충돌위험 상황을 파라미터로 하여 현재 시점부터 2주후 미래까지의 항로 혼잡도를 예측하고, 정확도를 제시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원격운항을 위한 원격운항자의 상황인식 요구사항 분석

  • 장은규;정민;김경환;강석용;김정민;김대근;김창우;김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84-186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이 가시화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을 관리·감독하는 원격운항자의 운항능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IMO에서는 원격운항자의 상시 모니터링과 비상시 원격지원을 기반으로 하는 자율운항 선박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선박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대응할 수 없는 복잡한 상황에 직면할 경우 해당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운항자의 판단력과 지식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운항자는 선체와 주변 상황을 원격으로 인식하는 상황인식능력이 필요하며, 원격운항자의 상황인식능력은 기존 항해사의 상황인식능력과는 상이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항환경의 변화에 따라 원격운항자에게 요구되는 상황인식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기존 선원의 상황인식 모델과 비교하여 자율운항선박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TRS를 이용한 선사운항관리실 운영에 따른 해상교통관제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Seok-Jae;An, B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98-100
    • /
    • 2011
  • 울산항은 입출항 선박의 항행안전을 위해 1996년 9월부터 해상교통관제실(VTS)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물동량으로 빈번한 선박통항과 액화가스, 케미컬 등의 위험화물운송선박의 통항 등의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개항장이다. 특히 현대 미포조선소와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 조선소 등에서 발생되고 있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운송하는 예 부선들의 빈번한 운항은 울산항의 안전한 물류유통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실에서는 레이더사이트의 운항선박에 대한 데이터, PORT-MIS의 선박관련 데이터 및 최근 선박자동식별장치(AIS)의 데이터 등 많은 정보들에 의해 운항 선박들의 항행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주로 운송하는 울산항의 (주)보성해상개발에서 TRS를 이용한 자체 운항관리실을 운용하여 운송효율과 안전운항을 노력하고 있는 상황과 그 결과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그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 PDF

The analysis of the line crew performance through the Line Operation Safety Audit (LOSA) (LOSA실행을 통한 운항 승무원 수행 분석)

  • Choi, Jin-Kook;Kim, Chi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16 no.2
    • /
    • pp.43-50
    • /
    • 2008
  •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Doc 9803의 국제규정에 의거하여 SMS(Safety Management System-안전관리시스템)의 대표적인 비행안전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인정된 신개념의 운항감사제도인 LOSA(Line Operations Safety Audit-항공운항 안전감사)를 항공사에서 실시하여 정상 운항시의 운항승무원을 관찰하여 실제의 안전취약 및 위협요소, Error를 포착하여 텍사스대학 인적요인 연구소에서 작성한 최종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제도와 방안을 개선한다. 본 논문에서는 LOSA실행을 통한 승무원들의 위협 및 error의 유형과 발생율, 관리율 및 관리여부를 분석하여 설명하고 항공사내 개선인 SCP(Safety Change Process)를 소개하는데 있다.

  • PDF

A Study on Flight Crew Cabin Threats

  • Jin-Kook C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1 no.2
    • /
    • pp.116-121
    • /
    • 2023
  • 항공 사고는 첨단 항공 기술의 발달로 꾸준히 감소해 왔지만,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조종사는 목적지 공항까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비행하기 위해 위협과 오류를 관리해야 한다. 조종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위협은 환경적 위협과 항공사 위협으로 나눌 수 있으며, 환경사위협에는 객실 위협이 포함된다. 조종사와 객실 승무원은 정상적인 운항 중에는 협력이 필요하며, 비상시에는 안전한 비행을 위해 효과적인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조종사가 비행 중에 간섭이나 작업 흐름의 중단이 발생할 때 에러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항공사들은 안전 운항을 방해할 수 있는 객실위협의 종류를 적극적으로 식별하고 분석하여, 조종사들이 안전한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서 위협을 관리하도록 절차 및 훈련을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안전관리시스템(SMS)의 안전도구인 LOSA(Line Operation Safety Audit)를 기반으로 기내위협의 유형을 파악하고, 항공사들에게 조종실위협 관리를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데 필요한 객실위협과 간섭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율운항선박 사이버안전체계 구축방안

  • 임정규;최상훈;박개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50-352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을 IMO 자율화등급 3단계 이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내·외부 통신시스템의 사이버보안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및 시스템 사이버안전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 사이버안전체계 구축방안에 대해서 살펴본다. 자율운항선박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선박 내 사이버위협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통합 보안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선박 사이버안전 설계 타당성을 검증하는 사이버리스크평가 기술, 사이버안전체계를 검증하기 위한 CVE(Common Vulnerabilities Enumeration)기반 취약성 진단 및 침투테스트 기술, V-Model을 활용한 통합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기술, ISO 25024 기반 데이터 무결성 검증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