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성 검증

Search Result 2,74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Safeguards Approach for the Verification of both Dry Canister and Transfer Campaign (건식저장고 및 Transfer Campaign에 대한 국가 계량관리 검사 접근방법)

  • 이재성;차흥렬;박완수;윤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7.10a
    • /
    • pp.32-37
    • /
    • 1997
  • 안전조치 측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중수형 원전의 건식저장고 및 사용후 핵연료 이송 검증을 위한 안전조치 접근방법이 국가 계량관리 검사의 이행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는 IAEA 사찰장비를 활용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하여 자체 개발된 비파괴검증장비가 이용되며, IAEA 안전조치 기준을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건식저장고에 대한 국가 계량관리 검사기준은 자체 개발된 비파괴검증장비와 봉인에 의존하는 기준이 제안되었으며, 검증활동은 시설운영자의 부담경감을 위하여 IAEA 사찰이 실시되는 기간동안 동시에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Transfer campaign 검증을 위하여 3명의 국가 계량관리 검사관이 검증활동에 참여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이송작업의 연속성 유지 및 시설운영자의 부담경감 등이 달성됨과 함께 사참량의 감소가 기대된다. 본 논문은 국가 계량관리 검사의 시작과 함께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IAEA의 안전조치 기준을 만족하는 안전조치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안전조치 목적을 보다 적합하게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legation Attack on previous Designated Verifier Signature schemes (지정된 검증자 서명기법의 비전가성)

  • Goo, Young-Ju;Chun, Ji-Young;Choi, Kyu-Young;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51-53
    • /
    • 2008
  • 최근 ICALP 2005에서 Lipmaa 등 지정된 검증자 서명기법에서의 새로운 안전성 개념인 비전가성을 정의하였다. 지정된 검증자 서명기법(Designated Verifier Signature, DVS)이란 지정된 검증자만이 서명의 정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서명으로 제삼자가 서명을 보고 서명자와 검증자 중에 누가 실제 서명자인지 알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Lipmaa 등이 제시한 '비전가성'을 만족하지 않은 지정된 검증자 서명기법의 경우, 서명자 또는 검증자가 개인키가 아닌 일부정보를 제 삼자에게 주어 정당한 서명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가성은 전자투표나 컨텐츠 등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6년 Huang 등의 기법과 2007년 Zhang 등이 제안한 기법이 전가성에 안전하지 않음을 보인다.

  • PDF

Safety Verification of Mounting Flight Video and Data Recorder in the Military Aircraft (군용항공기 내 비행 영상 및 데이터 녹화기 장착에 관한 안전성 검증)

  • Jung-Hyuk Kwon;Gyeong-Nam Kim;Won-Hwa Hwang;Wang-Sang Lee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5
    • /
    • pp.42-57
    • /
    • 2023
  • In this paper, to increase the research capability of flight missions and maintenance in operating military aircraft, we studied the requirements for additional mounting of flight video and data recorders and safety verification methods.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recorder equipment itself, structural safety in the aircraft system, power and electrical safety,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and impact of airworthiness ar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military standards and operating environment requirements. In addition, through ground/flight tests, the results of functional operation suitable for the influence and demand of interference between the flight video and data recorder and other systems are also presented.

Verification of safety integrity for vital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quantitative safety analysis (정량적 안전성 분석을 통한 Vital 데이터 처리장치의 안전무결성 요구사항 검증)

  • Choi, Jin-Woo;Park,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7
    • /
    • pp.4863-4870
    • /
    • 2015
  • Currently, as a priorit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railway signalling system, verification for satisfy of the safety integrity requirements(SIR) is required to the essential elements. Safety Integrity Requirements(SIR) verif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ystem safety analysis. But the probability of securing basic data for system safety analysis significantly dropped because there is no experience yet performed in the country. Therefore we are had to rely on a qualitative analysis. There are methods such as qualitative risk analysis matrix, and risk graphs. The qualitative analysis is wide, the width of the accident. However,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is significantly less has a disadvantage. Therefore, it should be parallel quantitative safety analysis of the system/produc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a quantitative safety analysis metho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through a result, highly reliable Safety Integrity Requirements(SIR) verification measures proposed. Verification results, the dangerous failure incidence for vital data processing device was calculated to be $1.172279{\times}10^{-9}$. The result was verified to exceed the required safety integrity targets more.

국내 평가.인증 정책의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 Lee, Dae-Seob;Hong, Won-Soon
    • Review of KIISC
    • /
    • v.17 no.6
    • /
    • pp.20-24
    • /
    • 2007
  • 정보보호제품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검증된 제품의 공급 및 이용 촉진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정보보호제품 CC 인증제도, 암호제품에 대한 암호 검증제도, 공공기관 도입 정보보호제품에 대한 보안적합성 검증제도 등에 대한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을 살펴본다.

A Study on Tools for Agent System Development (긴급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모델링을 통한 안전성 검사)

  • Park, Chul-Woo;Yun, Sang-Jun;Kim, Kee-Che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280-283
    • /
    • 2013
  • 최근 원자력 발전소, 의료 시스템, 항공 시스템 등과 같이 사람의 생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시스템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차량에서 또한 차량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작동으로 인한 잦은 사고로 인하여 운전자와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차량시스템 제어 소프트웨어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로 차량에 통신 기술을 접목한 차량 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차량 운전자 뿐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과 밀접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연구 중 긴급메시지전송 시스템은 차량 간 통신(V2V)을 통한 운전자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긴급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모듈을 구조적으로 나누고 이를 통하여 긴급메시지 전송시스템 구조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긴급메시지 전송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오토마타 모델링을 통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검증을 위해 CTL 논리식 정의, SMV(Symbolic Model Verifier)검증도구를 통한 시스템 안전성 모델 검사를 하였다.

원전 안전-필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권기춘
    • 전기의세계
    • /
    • v.52 no.9
    • /
    • pp.33-40
    • /
    • 2003
  • 원전 안전등급 계측제어계통이 디지털화 되고 있으나 안전계통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과정에는 소프트웨어 공통모드고장(Common Mode Failure)과 같은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일반 산업체와는 달리 원전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일반 공중에게 방사능 누출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어 디지털 안전계통은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것을 보장하고, 방사능이 누출되는 사고에 대해서도 그 피해를 최소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은 원전 안전계통 디지털화의 성공과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가 관건이며 안전-필수 소프트웨어 검증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기고에서는 원전 디지털 안전-필수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발방법과 규제요건, 규제방법 및 규제대처방법 등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안전-필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의 기술적 측면과 안전-필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검증의 각 단계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

Specifying and Verifying Wolsong SDS2 Using Real-Time Model Checker (실시간 모델 체커를 이용한 월성 SDS2의 명세 및 검증)

  • 지은경;홍형석;차성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85-387
    • /
    • 2000
  • 실시간 시스템은 그 특성상 시스템 내에서의 오류가 매우 위험하고 때론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형기법을 사용한 명세와 검증을 통해 실시간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월성 원자로 운전 중지 시스템의 기존 명세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실시간 요구사항들을 타임드 오토마타(timed automata)로 기술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명세를 실시간 모델 체커 UPPAAL의 입력으로 넣어서, 모델 체킹 기법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시간 제약 속성을 검증한다.

  • PDF

Verification of the Carlsen BCY Protocol Using Model Checking (모델체킹을 이용한 Carlsen BCY프로토콜 검증)

  • 김현석;전철욱;김일곤;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9-291
    • /
    • 2004
  • 인터넷을 통한 통신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송될 정보를 암호화해야 한다 따라서 통신의 주체간에는 공통적인 키의 공유와 상대방의 신원 확인을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정형검증기법은 이러한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본 논문에서는 무선환경기반 보안 프로토콜인 Carlsen BCY프로토콜을 모델 체커인 FDR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