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관리체계

Search Result 1,89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HMS Under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Serious Disasters on the Safety Performance of Companies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기업의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 Seo, Jeong-S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5-2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7가지 핵심요소가 기업의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최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게 7가지 핵심요인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안전성과 측정도구를 적용하여 그 관계성과 재해발생빈도 감소의 영향도 확인 한다. 연구결과는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안전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가질 것으로 보이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재해발생빈도 감소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된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측정 도구는 향후 여러 산업분야의 안전관리 및 성과 측정에 많이 활용 되리자 본다. 그리고 향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안전성과-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관계연구의 기초 연구가 될 것 이다.

  • PDF

On the Use of Architectural Models Reflecting Functional Safety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of Rail Systems Safety Architecture (철도시스템 안전관리 체계개발에서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아키텍처 모델의 활용)

  • Jeong, Ho-Jeon;Lee, Jae-Ch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615-623
    • /
    • 2013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전장품 및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기능안전이 안전분야의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IEC 61508, ISO 26262, IEC 61511 등 기능안전관련 표준들이 제정되어 기능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내 철도산업에서도 철도안전법의 재정을 기점을 철도 산업전반에 걸쳐 많은 환경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안전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 철도시설 및 운영기관이 존재하는 국가 철도 안전관리체계의 안전규제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사항의 분석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설정은 현재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철도안전시스템의 특성을 구조화하여 향후 비전을 프레임워크로 표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안전관리체계의 도입 배경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최근 기존의 안전관리체계와 더불어 최근에 안전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아키텍처를 구현하고자 하며 이때,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Rail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Results of the Universal Rail Safety Audit (안전관리규정과 철도종합안전심사결과 분석을 통한 국내 철도안전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Oh, In-Tack;Paeng, Jung-Goang;Jang, Seo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3
    • /
    • pp.342-348
    • /
    • 2008
  • This paper define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based on the rail safety act and surveys the status of the English rail SMS and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SMS and OHSAS18001 S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rail operators'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the results of the universal rail safety audit, the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rail operators' SMS are investigated and the improvement scheme are derived. First, to establish the continual improvement system for SMS, the instruction which describe the detailed continual improvement method for each steps of SMS including management review by CEO shall be established. Second, to settle the risk management based SMS, converting the rail operators mind and establishing the supply system of safety risk operating model and basic data for the risk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and including the precise requirement for the risk management in the related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Use of a Model-based Architecture in an Effort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Railway Systems (철도시스템 안전관리체계의 개선 연구에서 모델기반 아키텍처 활용 방법)

  • Jung, Ho Jeon;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04a
    • /
    • pp.285-293
    • /
    • 2013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국내 철도산업에서도 철도안전법의 재정을 기점을 철도 산업전반에 걸쳐 많은 환경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안전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 철도시설 및 운영기관이 존재하는 국가 철도 안전관리체계의 안전규제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사항의 분석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설정은 현재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철도안전시스템의 특성을 구조화하여 향후 비전을 프레임워크로 표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안전관리체계의 도입 배경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안전관리의 방식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아키텍처를 구현하고자 하며 이때,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통합적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Heau-J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4 no.2
    • /
    • pp.260-265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find recognition comprehensions and the problem points which are basic in our system. We dedicate this research on improvement analysis and main discussion issues of the system that based on diagnostics in developed countries' system. By taking some essential points of advanced like systems, we construct our own system. Beside that it is proposed to solve problems and find improvement issues by comparing with advanced systems.

주요 외국의 산업안전보건 관리체계 고찰

  • 양성환;최정화;갈원모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
    • /
    • 2002
  • 우리나라의 산업안전 ·보건 수준은 '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됨으로써 획기적으로 발전하여, 80년대부터 산업재해 발생율이 감소추세를 보여왔다. 정부정책 측면에서 보면, '80년 이전까지는 주로 사후 보상문제에 치중하였고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본격적인 재해예방 정책이 수립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업장 안전 ·보건관리 체계는 규제완화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체계 약화,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중복, 법집행의 실효성 미약, 공공-민간의 효율적인 역할 수행체계 미흡, 근로자의 참여부족 등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우리보다 앞서있는 선진국의 산업안전보건체계를 재해통계제도, 안전보건 관련법, 재해예방기관의 활동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관리체계와 비교하여 개선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Public Institutions (공공기관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Moon,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21-2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현황을 조사하여 안전보건관리에 관해 공공기관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공공기관들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관리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안전보건경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실제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목적을 둘 수 있다.

  • PDF

On the Safety Analysis of High Speed Railway Systems using the Hazard and Operability (HAZOP) technique (HAZOP을 이용한 고속철도시스템의 위험원 식별 및 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Jung, Ho-Jeon;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527-534
    • /
    • 2012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예로써 가장 활발히 안전관리체계의 도입을 추구하고 있는 항공 분야에서는 국제민강항공기구와 미 연방항공청의 주도로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가이드와 매뉴얼을 만들어 각국의 사정에 맞는 안전관리체계를 도입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 하고 있다. 이처럼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안전관리체계내에서도 위험원 식별 및 분석활동은 그 중요성이 크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위험원 및 위험원의 영향 및 원인이 시스템 개발 및 운용에서 수행하게 될 안전관리활동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험원 식별 및 분석활동에 적용하기 위한 여러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원 식별 기법 중 HAZOP을 이용하여 고속철도시스템의 위험원 식별 및 분석을 수행 했다. 또한 HAZOP의 수행 및 위험원 식별 활동의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위험원 식별 활동의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Contractor(Public Institutions) (건설공사 발주처(공공기관) 안전보건활동 수준향상에 관한 연구)

  • Moon,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1-122
    • /
    • 2023
  •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공공기관은 대표이사 직속의 안전전담부서를 구성하고 있으나 순환보직 형태로 인력을 배치하여 안전보건에 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며, 여러 부서에서 안전관리 기준을 제정하거나 활동을하여 안전관리 체계에 혼선을 주고 있다. 또한 관리감독자들은 회사의 안전관리 기준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안전관리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활동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안전관리 조직, 안전관리 체계, 위험성평가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Safe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System for Small Domestic Shipping Company (소형선사 안전관리컨설팅 서비스 체계 구축)

  • Lim, Sung-Yong;Kim, Hwa-Young;Kang, Won-Sik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6
    • /
    • pp.56-70
    • /
    • 2014
  •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해 각종 규제를 만들고 시행하였으나, 규제만으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이제 한계점에 도달해 있다. 소형선사 안전관리컨설팅은 규제 위주의 정책이 아니라 선사에서 자발적으로 안전관리체제를 수립 및 시행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이며, 본 연구를 통해 소형선사 안전관리컨설팅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였다. 안전관리컨설팅 서비스 체계 구축을 통해 영세한 소형선사의 안전관리 역량 향상이 기대 되며, 현장중심의 컨설팅 수행을 통한 안전관리(책임)자 및 해상종사자의 안전관리 능력 향상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