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관리기준

Search Result 1,70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ive Safety Management by the Classification of Safety Standard (안전기준 분류에 따른 효과적 안전관리)

  • Lee, Hyun Woo;Lee, Young 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3
    • /
    • pp.35-4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ze safety manag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several safety standards currently in force among the statutes and rules regard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ccordingly, the safety standard systems of Japan, US, and Germany were examined and a KOSAM 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was drawn based on the ontology system. The ERD consists of the safety standard scope, safety management statute, safety management standard, safety management subject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nd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 entities. Next, each entity was assigned a code and finally a KOSAM safety management condition search screen was designed based on the E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an overall improvement in safety standard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safety standard DB construction and the execu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안전관리 기준 개발

  • 김진기;오영기;신교철;김정기;정동혁;김기환;조문준;김귀야;박기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54-54
    • /
    • 2003
  • 목적 : 방사선치료는 복잡하고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고에너지 고선량의 방사선을 다루기 때문에 세심한 정도관리를 바탕으로 기술적 관점에서의 적절한 방사선치료장비 사용과 실제 환자치료시의 절차들에 대한 완벽한 지침서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용 선형가속기에 연관된 방사선사고와 잠재적 사고유형들을 분석하여 환자와 종사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를 예방키 위한 안전관리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국내 13 개 방사선치료기관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를 자체 개발한 100 여 문항의 설문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안전관리기준들과 보고된 방사선 사고사례 들을 조사하였고, 방사선치료 전 과정을 통해 잠재적 사고유형을 추정함으로서 방사선치료의 안전관리를 위 해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용 선형가속기에 관련된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 시 환자와 종사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방지를 위하여 단계별 안전관리 기준을 개발하였으며, 방사선 치료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실수나 사고들을 일목요연하게 관리 할 수 있는 흐름도를 구축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선형가속기에 대한 방사선의 안전과 품질보증을 개선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잠재적 방사선 사고의 예방뿐 아니라 국내의 방사선치료 안전관리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Maintenance and Monitoring of the Bridge Across Seokdaecheon, Busan Metro Line 4 (부산도시철도 4호선 석대천 횡단 교량의 유지관리계측 현황분석)

  • Woo,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49-351
    • /
    • 2022
  • 1차 안전기준은 안전한 공사관리를 위한 목표치이며, 2차 주의기준은 주변구조물이나 주민에게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 값이며, 3차 정밀분석기준은 공사장 자체의 위험에 대비하는 기준을 의미 하므로 향후에는 계측항목별로 계측관리기준을 세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Pilot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s for Automatic Detection of Safety Standards (안전기준 자동검색을 위한 지원도구 시범개발)

  • Im, Sujung;Park, Dug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609-622
    • /
    • 2020
  •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scale of the statute is not only increasing, but also the content is getting complicated. The scale of safety standards existing in the law is also increasing and specialized, making it difficult to integrate and manage to minimize conflicts or overlaps among safety standards.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afety standards, a technology that searches for and extracts safety standards in laws and regulations must first be secured.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manpower, a tool for automatic detection of safety standards is developed based on several specific cases. The safety standards class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afety standard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were analyzed, and also statute information which includes safety standards extra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in 2018 was collected. After the collected laws were refined and morph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a safety standard thesaurus was constructed and indexed to develop a safety standard search tool. When automatic search tools are routinely applied to find safety standard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se tools will help to solve overlapping or conflicting problems of complex safety standards.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 - 제2부 : 전기탈수기의 개별 요구사항

  • 한국전기제품안전진흥회
    • Product Safety
    • /
    • s.87
    • /
    • pp.50-59
    • /
    • 2001
  • 기술표준원은 전기용품안전관리법의 개정시행으로 2000. 7. 1부터 전기용품형식제도가 안전인증제도로 변경되면서 전기용품기술기준을 연차적으로 국제기준(IEC)체제의 안전기준으로 전환됨에 따라 새로이 적용되는 국제기준 체제에 부합하는 전기용품안전기준의 조기정착과 전기용품의 안전성 확보를 지원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

  • PDF

선사안전관리지표 개발 및 경제성 분석

  • No,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65-166
    • /
    • 2012
  • 국내 선사와 선박의 안전관리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추정된 비용과 편익을 기초로 순편익현재가치와 편익비용비율을 구하여 안전관리시스템 도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 생략

  • PDF

Safeguards Approach for the Verification of both Dry Canister and Transfer Campaign (건식저장고 및 Transfer Campaign에 대한 국가 계량관리 검사 접근방법)

  • 이재성;차흥렬;박완수;윤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7.10a
    • /
    • pp.32-37
    • /
    • 1997
  • 안전조치 측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중수형 원전의 건식저장고 및 사용후 핵연료 이송 검증을 위한 안전조치 접근방법이 국가 계량관리 검사의 이행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는 IAEA 사찰장비를 활용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하여 자체 개발된 비파괴검증장비가 이용되며, IAEA 안전조치 기준을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건식저장고에 대한 국가 계량관리 검사기준은 자체 개발된 비파괴검증장비와 봉인에 의존하는 기준이 제안되었으며, 검증활동은 시설운영자의 부담경감을 위하여 IAEA 사찰이 실시되는 기간동안 동시에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Transfer campaign 검증을 위하여 3명의 국가 계량관리 검사관이 검증활동에 참여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이송작업의 연속성 유지 및 시설운영자의 부담경감 등이 달성됨과 함께 사참량의 감소가 기대된다. 본 논문은 국가 계량관리 검사의 시작과 함께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IAEA의 안전조치 기준을 만족하는 안전조치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안전조치 목적을 보다 적합하게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법령과고시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개정.시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1
    • /
    • pp.66-72
    • /
    • 2012
  • 고용노동부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해 쓰게 돼 있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기준을 현장에서 좀 더 쉽게 이해해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또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내실화를 위해 시공사가 재해예방기술지도 계약을 체결했는지 발주자가 반드시 확인하게 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는 이같은 내용의 '건설업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을 개정하고 지난 2월 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 PDF

발언대 - GAP를 통한 농식품 중 유해물질 안전관리 - 유해물질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필수적 -

  • Gwon, O-Gyeong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5
    • /
    • pp.28-30
    • /
    • 2010
  • 국가마다 자국농업보호와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해 관리대상 유해물질 종류 확대 및 규제기준을 강화하여 미국은 Zero Tolerance System을, 일본과 유럽연합은 PLS제도를, 우리나라는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를 시행하고 있고 농촌진흥청은 이에 필요한 농산물우수관리기준을 설정, 보급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