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양천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Hydrologic Cycle and BOD Loads Using HSPF in the Anyancheon Watershed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및 BOD 부하량 분석)

  • Lee, Kil-Seong;Chung, Eun-Sung;Lee, Joon-Seok;Hong, Won-P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585-600
    • /
    • 2007
  • The hydrologic cycle and BOD pollutant loads of all sub-watersheds were analyzed using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At first, sensitivity analyses to water quantity (peak discharge and total volume) and quality (BOD peak concentrations and total loads) were conducted and some critical Parameters were selected. For more precise simulation, the study watershed was divided into four parts according to the landuse characteristics and used climate data and so calibrated and verified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as the urban area ratio increases in the downstream direction, baseflow decreases (11.1 % $\rightarrow$ 5.0%) and the ratio of direct runoff volume(42.5 % $\rightarrow$ 56.9 %), BOD concentration (3.3 mg/L $\rightarrow$ 15.0 mg/L) and unit loads (55.4 kg/ha/year $\rightarrow$ 354.5 kg/ha/year) increase.

A Study on the Potential Small Hydro Energy Calculation in Anyang River (안양천의 잠재 소수력 에너지 산정에 관한 연구)

  • Gwon, Yong Hyeon;Kang, Yong Hyeok;Jung, Sung Eun;Jung, Seung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0-270
    • /
    • 2015
  • 소수력은 물이 가지는 위치 에너지나 운동 에너지를 동력으로서 이용하는 것 또는 그렇게 얻을 수 있는 에너지로 소수력발전에 의해 생산되는 에너지는 부존자원이 풍부하여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개발가치가 충분한 부존자원이다. 또한, 친환경적인 청정에너지 중 하나로 대체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개발가치가 큰 부존자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초기투자비에 비해 유지관리비용이 낮은 편이다. 이러한 개발가치가 있는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강권역의 표준유역인 안양천을 대상으로 산정해 보았다. 안양천의 잠재 소수력 에너지 산정을 위해 2004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의 구로 강우관측소의 일강우자료와 신정수문관측소의 일수위자료 및 유량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하상정보를 파악하였다. 낙차는 수차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여 상용발전이 가능하며 소수력 발전을 최대치로 생산할 수 있는 조건의 낙차인 2m로 선정하여 소수력 산정공식에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름인 7월에 1,421.1Kw로 최대값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인 12월에 최소값인 141.9Kw로 나타나 안양천에는 월간 최소 100Kw이상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국토교통부와의 협력을 통해 관측되는 수문자료(강우, 수위, 유량)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일단위, 월단위, 년단위, 계절단위의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평가하고 재생에너지 확보를 통해 추구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 또한 분석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Alternative Benefit Using Choice Experiment Method and Alternative Evaluation Index (실험선택법과 대안 평가지수를 이용한 대안의 편익산정)

  • Chung, Eun-Sung;Kong, Ki-Seo;Lee, Kil-Seong;Yoo, Jin-Ch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
    • /
    • pp.101-113
    • /
    • 2008
  • Cost-benefit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best alternatives for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Benefits of all alternatives were estimated combining results of choice experiment method with alternative evaluation index (AEI). Choice experiment which is a kind of stated preference techniques was applied to six regions since the Anyangcheon watershed was divided into six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potential hazard and location). Alternative of NB > 0 must be considerable since they are economically and technically feasible.

Calculation of Total Amount of Pollutant Load by Sub-Watersheds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소유역별 오염총량 산정)

  • Lee, Kil-Seong;Kim, Kyung-Tae;Kim, Sang-Ug;Chung, E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1-1984
    • /
    • 2008
  • 기존 하천에 실시되고 있던 농도 규제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4대강에 오염 총량관리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약 8년 동안 실시된 오염총량관리제도에 기술적 제도적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많은 문제점들 중에 기준유량에 대한 문제점과 오염부하량의 할당에 대한 문제점에 중점을 두었다. 총량관리단위유역은 대표적인 도시하천 중 하나이며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 유역이며, 목표수질은 1991년 환경부 하천환경수 질기준인 5등급으로 결정하였으며, 관리물질은 1차관리물질인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이다. 기준유량은 평균저수량과 평균갈수량을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발생부하량을 계산하였으며, 발생부하량에 의한 배출부하량을 계산하고,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사용하여 배출부하량으로 인한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여 허용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삭감부하량을 계산하였고, 삭감부하량을 안양천 유역의 각 소유역별로 할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