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면 성장

Search Result 2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mi-longitudinal study of adenoid and jaw growth of normal occlusal children aged 6 to 17 (6세에서 17세 사이의 정상 교합 아동의 아데노이드와 악골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Yu, Hyung-Soeg;Park, Sun-Hyung;Choi, Eun-Bin;Mun, Je-Sang;Park, Young-Che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6 s.83
    • /
    • pp.699-712
    • /
    • 2000
  • Reduced nasal breathing can influence the growth at)d development of facial structures. It nay have many causes, and enlarged adenoid is the most frequent 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enoids to jaw growth,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normal growth of adenoids and jaw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adenoids and the values lot the jaw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re objective standard of nasopharyngeal size and jaw dimension at each bone age, by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CYMI) of Hassel, from normal occlusion children aged 6 to 1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 1. At same bone age, female's chronologic age was about 2 year older than male. 2. There was a growth peak of nasopharyngeal(NP) height and depth between CVMI 1 to 2 in male, hut in female NP height and depth gradually increase through CVMI 1 to 6. 3. Relative airway of nasopharynx increases the most between CVMI 1 to 2 period in both gender 4. Among adenoid measurements, Ad2-related variables and upper pharynx, and among dentofacial measurements inter canine width in both arch, maxillary intermolar width and palatal depth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denoid percentage.

  • PDF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CRANIOFACIAL GROWTH CHANCES OF KOREAN AGED FROM 16.5 TO 18.5 YEARS (한국인 두개안면골 성장변화 (16.5세에서 18.5세까지))

  • Sung, Jae-Hy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5 no.5 s.52
    • /
    • pp.557-566
    • /
    • 1995
  • Postpubertal craniofacial growth changes were assessed from serial lateral cephalograms taken at which subjects were 16 and 18 years of age. The sample consisted of 19 male and 14 female subjects with no previous orthodontic treatment who had normal occlusion. The craniofacial growth changes of these samples during this study period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gnificant increase in mean maxillary and mandibular length, cranial base length, posterior md anterior facial height were observed at the age period studied in male(P<0.05), however, in female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only mandibular length(Ar-Gn, Ar-Go) and anterior and posterior facial height(P<0.05). 2. Total growth increment of all measumenats were below 1mm in female, but in male, total mandibular(Ar-Gn) growth increment was 2.0mm and those of mandibular tody length, ram length, posterior facial height, and anteior facial height were 1 to 1.54mm and the others were below 1mm 3. A closing, for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occur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mandibular plane angle of $0.61^{\circ}$ in male(P<0.01). 4. Summarized the findings, even th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wth changes in some dimensions of female were observed, the amount of growth change were very small, however, in male the growth changes of some dimensions associated with mandible were significant and considerable amount.

  • PDF

Nerve Growth Factor and Sensory Neuropeptide Levels in Plasma and Saliva of Various Orofacial Pain Patients (다양한 구강안면통증환자의 혈장 및 타액에서의 신경성장인자와 감각성 신경펩티드 농도에 관한 연구)

  • Jang, Min-Uk;Chung, Sung-Chang;Chung, Jin-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4
    • /
    • pp.387-395
    • /
    • 2009
  • Nerve growth factor (NGF) and sensory neuropeptide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nociception at peripheral nerve fibers and wide spread in central nervous system.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NGF and sensory neuropeptides (substance P [S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levels in human plasma and saliva,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these sensory neuropeptides levels and chronic orofacial pain symptoms. NGF, SP, and CGRP levels in plasma and resting whole saliva samples collected from 67 orofacial pain patients (joint pain, dental or periodontal pain, mucosal pain) and 36 pain free control subjects were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The characteristic pain intensity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using the Graded Chronic Pain Scale and the flow rate of resting whole saliva was measured. Joint pain patient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lasma NGF level compared to each of dental pain patients (p<0.01), mucosal pain patients (p<0.01), and control group (p<0.01). Plasma NGF level of dental pain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1). Saliva SP level of dental pain patients group (p<0.05) and saliva CGRP level of mucosal pain group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lasma and saliva SP levels of joint pain pati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in intensity (plasma: standardized coefficient=0.599, p<0.01, saliva: standardized coefficient=0.504, p=0.05). In dental pain patients group, plasma SP (standardized coefficient=0.559, p<0.01), saliva SP (standardized coefficient=0.520, p<0.01) and saliva CGRP (standardized coefficient=0.599, p<0.01)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In mucosal pain patients group, plasma SP (standardized coefficient=0.495, p<0.05), saliva SP (standardized coefficient=0.500, p<0.05), and saliva CGRP (standardized coefficient=0.717, p<0.01)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NGF and neuropeptides may play a role in the maintenance of various orofacial pain symptoms. The examination of those levels in plasma and saliva help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orofacial pain, and furthermore, can be applied to the diagnosis and therapy of orofacial pain.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REATMENT FOR CLASS III PATIENT WITH MIDFACIAL DEFICIENCY AND MANDIBULAR PROGNATHISM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III 급 부정교합자의 교정-악교정수술 복합치료)

  • Cho, Eun-Jung;Kim, Jong-Tae;Yang, Won-S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6 no.5 s.58
    • /
    • pp.637-645
    • /
    • 1996
  • In non-growing Class III malocclusion, the critical aspects which determine the need of orthognatic surgery are the severity of skeletal discrepancy, incisor inclination, overbile and soft tissue profile. Two-jaw surgery is more effective in correcting severe sagittal, vertical, transverse skeletal discrepancies and facial asymmetry. And more esthetic and stable profile can be achieved by two-jaw surgery Some midfacial deficiency Patients can be treated by Pyramidal Le Fort II osteotomy to maintain infraorbital rim and malar complex and to advance nasomaxillary complex. Others who require advancement of infraorbital rim and malar complex can be treated by quadrangular Le Fort II osteotomy. On the following cases, patients who had represented midfacial deficiency and mandibular prognathism were treated with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herapy by Le Fort II osteotomy and BSSRO.

  • PDF

Cephalometric study of the effect of cervical pull headgear based on facial growth patterns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른 경부견인 헤드기어의 효과에 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 Kang, Eun-Ha;Chang, Chong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9 no.4 s.75
    • /
    • pp.503-51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cervical pull headgear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growers-vertical grower and horizontal grower group-which are classified by the posterior-anterior facial height ratio. Initial and final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for 26 patients including 15 vertical growers and 11 horizontal growers ; also, 3 angular measurements and 4 linear measurements were evalu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he palatal plane was tipped anteroinferiorly in the vertical grower group. 2. The posterior facial height/anterior facial height ratio was increased in the horizontal grower group. 3. The Mandibular plane angle remained stable on both group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mount of maxillary molar extrusion.

  • PDF

Case Report of Maxilla/Mandible Simultaneous Distraction with Molina$^{(R)}$ Distractor (Molina distractor를 이용한 상/ 하악 동시 신장술 증례의 보고)

  • Baek, Kyung-Won;Kim, Keun-Woo;Choi, Jin-Yeong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9 no.2
    • /
    • pp.55-62
    • /
    • 2006
  • 1980년 일리자로프가 하지에서의 골 신장술을 발표한 이래 수많은 외과 의사들이 임상연구와 발표를 거듭해 현재의 골 신장술을 이루었다. 악골에서 골 신장술의 적용은 1992년 8명의 악골 기형 환아에게 하악지 신장술을 적용한 맥카시의 발표를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골 신장술의 장점은 부족한 골조직과 함께 주변 연조직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복합적 조직 결손을 보이는 선천성 악골 기형 환자들에게 특히 유리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반안모 왜소증은 안면 반측의 상/하악골 및 악관절, 연조직의 저성장 및 결손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악골 기형이다. 하악지 신장술의 활발한 연구로 이를 이용한 악관절 증상과 안면 비대칭의 해소가 일차적 치료기법으로 선택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악관절 증상과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성인 반안모 왜소증 환자에게 상악 및 하악의 동시 골 신장술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발표한다. 상악골의 Le Fort 제1형 골 절단술과 이환측의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 후에 Molina distractor를 하악지에 적용하고 악간 고정을 통해 동시 신장을 꾀하였다. 수술 기법 및 평가 기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구강악안면영역에서의 낭의 영상 진단

  • Jeong, Yeon-Hw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28-636
    • /
    • 2009
  • 낭은 상피세포로 싸여있는 병적인 공간으로 내부가 액체나 반액체로 채워져 있다. 악골에서 낭은 다른 골 부위에서보다 더 흔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낭이 치아 형성 후에 악골에 남아있는 치성잔류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강악안면부에서 발생하는 낭은 연조직에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골내에서 발생하고, 법랑질 상피나 치배와 관련해 악골내에 발생하는 치낭성이다. 치낭성은 WHO분류에서 발생근원에 따라 크게 염증성과 발육성 기원의 두 가지 군으로 분류되고, 발육성 낭은 치성과 비치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악골에 발생하는 낭은 대부분이 치낭성이며 가장 흔한 악골 낭종은 치근단낭으로 염증성이고, 발육성인 함치성낭과 치성각화낭도 다음으로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소아환자에서 함치성낭과 치성각화낭의 발병률이 성인보다 더 높았다. 비치성낭 중에서 비구개관낭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연조직에서 발생하는 낭과 상피세포 경계가 없는 낭성 병소인 가성낭(pseudocyst)은 드물게 관찰된다. WHO에서 치성각화낭과 서회화치성낭은 파괴적 성장을 하고 재발 경향이 높으므로 양성 낭성 종양으로 재분류하고 있다.

  • PDF

교정-수술 혼합술식에 의한 악안면 기형의 치료 4

  • Park, In-Chul;Roger L. Bandeen;Jerre M. Griff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3 no.1 s.188
    • /
    • pp.35-40
    • /
    • 1985
  • 수술과 교정의 혼합술식으로 안면부의 기형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술-교정 술식은 과거 20년동안, 특히 1970년대에 무척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수술-교정 술식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수술이나 교정치료 단독으로는 치료하기가 어려웠던 case들의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교정의사들은 성장이 완료된 성인의 심한 skeletal dysplasia를 치아이동에 의해서만 치료하는 데에는 매우 제한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반면에 구강외과 의사들은 수술전후의 교정치료에 의해 더욱 좋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좋은 functional occlusion을 이룰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수술-교정 술식은 교정의사들과 구강외과의사들에게 새로운 면들을 요구하고 있다. 좋은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정의사와 구강외과의사간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서로 상대 전문분야의 용어, 진단원리, 치료기법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진단, 치료계획, 수술전 교정치료, 수술술식, 수술후 교정치료, 증례보고의 순서로 기술하려 한다.

  • PDF

교정-수술 혼합술식에 의한 악안면 기형의 치료(II)

  • Roger L. Bandeen;Jerre M.Griffin;Park, In-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2 no.10 s.185
    • /
    • pp.847-853
    • /
    • 1984
  • 수술과 교정의 혼합술식으로 안면부의 기형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술 - 교정 술식은 과거 20년동안, 특히 1970년대에 무척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수술 - 교정 술식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수술이나 교정치료 단독으로는 치료하기가 어려웠던 case들의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교정의사들은 성장이 완료된 성인의 심한 skeletal dysplasia를 치아이동에 의해서만 치료하는 데에는 매우 제한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반면에 구강외과 의사들은 수술전후의 교정치료에 의해 더욱 좋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좋은 functional occlusion을 이룰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수술 - 교정 술식은 교정의사들과 구강외과의사들에게 새로운 면들을 요구하고 있다. 좋은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정의사와 구강외과의사간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서로 상대 전문분야의 용어, 진단원리, 치료기법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진단, 치료계획, 수술전 교정치료, 수술술식, 수술후 교정치료, 증례보고의 순서로 기술하려 한다.

  • PDF

수술 - 교정 혼합술식에 의한 악안면 기형의 치료 (I)

  • Park, In-Chul;Roger L. Bandeen;Jerre M. Griff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2 no.9 s.184
    • /
    • pp.751-756
    • /
    • 1984
  • 수술과 교정의 혼합술식으로 안면부의 기형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술 - 교정 술식은 과거 20년동안, 특히 1970년대에 무척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수술 - 교정 술식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수술이나 교정치료 단독으로는 치료하기가 어려웠던 case들의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교정의사들은 성장이 완료된 성인의 심한 skeletal dysplasia를 치아이동에 의해서만 치료하는 데에는 매우 제한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반면에 구강외과 의사들은 수술전후의 교정치료에 의해 더욱 좋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좋은 functional occlusion을 이룰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수술 - 교정 술식은 교정의사들과 구강외과의사들에게 새로운 면들을 요구하고 있다. 좋은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정의사와 구강외과의사간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서로 상대 전문분야의 용어, 진단원리, 치료기법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진단, 치료계획, 수술전 교정치료, 수술술식, 수술후 교정치료, 증례보고의 순서로 기술하려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