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마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인 체형에 맞는 안마의자용 핵심기능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Core Function for the Massage Chair on Korean Body types)

  • 김기봉;김창겸;안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209-217
    • /
    • 2014
  • 현대인의 피로누적과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뭉침이나 어깨 결림과 같은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위해 힐이, 피로회복 개념으로 안마에 대한 욕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안마의자가 개발되고 있으나 한국인의 체형에 맞지 않아 가장 효율적인 안마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연구로 안마, 어셈블러, 안마강도, 한국인의 체형을 분석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체형에 맞는 동작제어기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체어형 전동 안마기의 마사지가 뇌파 패턴에 미치는 영향 (Massage Therapy of Electrical Chair-Massager Effects on EEG Patterns)

  • 김용대;최동혁;장윤승;이현주;태기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64-3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16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뇌파를 이용하여 휴식모드인 대조군과 체어형 전동 안마기에서 수행된 2가지 모드(약, 강)에 따라 뇌파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안마기가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든 피검자에서 스트레스 정도를 설문으로 평가하는 시각적 상사척도(VAS: Visual Analog Scale)에서는 세 가지 모드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으며 이중 안마모드 강에서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뇌파 변화에서는 세 가지 모드에서 모두 서파인 delta파, theta파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안마모드 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반면 세 가지 모드에서 모두 alpha파는 감소하고 안마모드 약과 안마모드 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eta파의 경우 대조군을 제외한 안마모드 약과 안마모드 강에서 감소하였고 이중 안마모드 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안마의자 시장 현황 및 IT를 융합한 미래 기술 분석 (A Market Status of Message Chair and Technical Analysis of Future IT Convergence)

  • 김기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9-36
    • /
    • 2015
  • 2000년대 중반 마음과 정신의 치유를 뜻하는 힐링이 새로운 사회 문화로 급부상하고 이에 따른 헬스케어의 일부인 안마의자 시장은 꾸준히 성장세를 기록하며, 이에 부응하여 국내 안마의자 시장도 치열한 경쟁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국내 안마의자 시장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신기술 개발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추진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마의자 시장 동향 조사를 통한 외부한경 변화 및 경쟁사 현황 분석을 하였으며, 안마의자 기술 동향 조사를 통한 안마의자 현행 기술 분석 및 미래 기술 대안을 수립하고 각 기업 내부 현황 및 경쟁 분석을 통한 대응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4대 전략과제를 도출하여 향후 추진 전략 및 추진 과제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인지진로발달이론의 통합직업만족모델을 중심으로- (Masseurs' Job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outh Korea -Test of Integrative Work Satisfaction Model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김기현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1-29
    • /
    • 2016
  • 피고용인의 직업만족에 대한 연구는 그들의 직업 적응과 결과를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만족 정도와 그 예측 변인들을 사회인지진로발달이론의 통합직업만족모델을 근거하여 탐구한 것이다. 현재 안마사로 종사하는 221 명의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들의 직업을 통해 얻어지는 수익이 자신이 원하는 정도와 부합하고, 안마사로서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며,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습득한 직업 훈련 내용이 현 직업에서 수행하는 실제 내용과 잘 맞아 응답자들의 직업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 가치와 직장이 추구하는 가치가 부합하는가와 가족, 친구, 그리고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얼마나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는가 하는 요인들은 현재 연구에 참여한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만족 정도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두 가지 중재효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즉,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긍정적인 정서는 안마사들의 직업에 대한 주관적 부합과 직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안마사들의 안마 효율성과 직업만족간의 관계에서 중재효과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입안자와 연구자, 장애인 재활 전문가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건강관련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The Status of Health-related Lifestyle in Massage Therapists with Visual Impairment)

  • 송종균;진행미;김정은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16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장애정도, 근무경력,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5년 안마사 보수교육에 참가한 시각장애인 안마사 2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타당성이 입증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건강관련 생활양식 항목별 실천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일과 후 휴식 습관(81.4%), 균형 식사(70.8%), 그리고 정기적 건강검진(69.9%) 항목들에서 높은 실천율을 보였다.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규칙적 아침식사와 자주간식 실천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흡연율이 높았고 아침식사 항목의 실천율이 낮았다. 근무형태별로는 안마시술소에 근무하는 시각장애인 안마사가 다른 근무형태에 비해 흡연율이 높았고, 적정 수면, 규칙적인 식사 및 휴식 항목에서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경우 장애정도, 근무경력, 그리고 근무형태에 따라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숲길 보행시설에 대한 이용객 평가 (Visitors' Evaluation of the Forest Trail Facilitie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s)

  • 조우;유기준;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8-89
    • /
    • 2009
  •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고 '적응 가능한 디자인'으로 생활권 숲길에서 도입 필요성이 높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을 기본으로 정비한 생활권 숲길인 경상북도 포항시 도음산과 강원도 춘천시 안마산을 대상으로 숲길 보행시설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으로 이용객 평가를 실시하여 효율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숲길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용객 평가는 설문조사로 하였으며, 포항 도음산에서 134부, 춘천 안마산에서 113부 총 247부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 거주지는 포항 도음산, 춘천 안마산 모두 주변 거주자가주를 이루었다. 도음산의 방문목적은 자연관찰과 교육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안마산은 건강을 위한 숲길이용이 주를 이루어 생활권 숲길 이용 행태의 전형적인 유형이었다. 포항 도음산의 중요도-성취도 분석 결과 중요도 평균값은 3.87, 성취도 평균값은 4.04로 높았다. 이는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숲길의 시설 정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유도 및 안전 핸드레일의 안전·편리성과 안내사인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용목적에 부합하도록 생태해설 사인 도입이 요구된다. 또 숲길 접근 편리를 위해 노면 단차를 없애는 관리가 필요하다. 춘천 안마산에서 중요도 평균값은 3.92, 성취도 평균값은 3.99이었으며, 노면포장재료와 경계안전시설의 안전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