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인

검색결과 5,332건 처리시간 0.029초

하악과두에 생긴 박리성 뼈연골증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Osteochondrosis Dissecans Occurred in Mandibular Condyle)

  • 정필훈;김성민;이석근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45-152
    • /
    • 2018
  • A 57 years old female complained of severe pain on the right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Her right condyle had been partly resected under surgical operation 13 years ago due to condyle hypertrophy, thereafter she felt dull pain on TMJ area and recently the lesion became severely swelled and painful leading to cancer phobia. The present radiological views showed slightly enlarged and sclerosed condyle with increased radiopacity, but its articular sliding function was almost disable during mouth opening. The patient's TMJ lesion was carefully managed with conservative physiotherapy and pain treatment. The microsection of condyle head obtained from the previous operation was re-evaluated histologically, and it was finally diagnosed as osteochondrosis dissecans (OCD), exhibiting hyperplastic proliferation of cartilage in condyle head and marked vascular dilatation in epiphyseal zone. This abnormal cartilage tissue was distinguishable from normal cartilage tissue found in the peripheral cartilaginous cap of the same microsection. The involved cartilage cap showed thick hypertrophic chondrocyte zone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clefts accompanying diffuse hyaline degeneration. The superficial fibrous zone of cartilage cap was thickened and frequently peeled off, while lower hypertrophic zone of cartilage cap was highly cellular and proliferative. Consequently, the endochondral ossification became aberrant and resulted pre-mature apoptosis of many hypertrophic chondrocytes, followed by diffuse and mild inflammatory reaction in the underlying marrow tissu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is hypertrophic condyle lesion, OCD,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radiolog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from ordinary condyle hyperplasia, osteochondroma, and osteoarthritis, and that the pathological confirmation of OCD may provide a reliable modality for dental and medical treatment of chronic and painful TMJ lesion.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통해 조사된 재택근무와 수면장애 간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rom home and sleep disturbances among workers: using the 5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 김현중;박서연;권형진;방일흠;이예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8-8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s among domestic workers using data from the 5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in 2017. Out of the total 30,108 wage workers, 818 employees work from home and 4,090 work in an office. A random sample of 1:5 pairs, considering gender and occupational group, was selected from these employees as the study subjects. The analysis included person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ork-from-home arrangements, and sleep disorders. Ag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years in the workforce, weekly working hours, work-life balance, self-perceived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ll adjusted as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from home (independent variable) and sleep disorder (dependent variable). This analysis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working from home was associated with sleep onset latency disorder OR=3.23 (95% CI=2.67~3.91), sleep maintenance disorder OR=3.67 (95% CI=3.02~4.45), and non-restorative sleep OR=3.01 (95% CI=2.46~3.67),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three types of sleep disorders. Factors influenc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s included work-life balance, social isolation, and anxiety.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The Philosophy of Good and Evil Engraved on Roof - End Tiles - A Contempl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 윤병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4-23
    • /
    • 2020
  • 본 소고(小考)는 우리의 문화재인 수막새의 보편적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특히 "신라의 미소" 수막새의 존재론적 의미 해석에 천착해 본다. 또 여기서 읽는 선악의 문제를 철학의 보편적 문제와 결부시켜 고찰해 본다. 선-악의 문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삶과 역사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철학과 윤리 및 종교의 주제임에 틀림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도 간과할 수 없는 심층 문제다. 중세의 교부였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악의 근원에 대해 깊이 천착했으며 나름대로 그 물음에 응답했지만, 결코 그 문제 해결은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보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말하자면 악의 근원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은 늘 열려있는 것이다. 셸링도 악의 근원 문제에 골몰했는데, 그는 이것이 "인간의 자유의지(menschliche Freiheit)"와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타진하였다. 그러나 니체는 소크라테스와 기독교로부터 전승된 도덕을 "낙타의 도덕"이라고 폄하하면서 "선악의 피안(Jenseits vom Gut und Böse)"에 거주할 것을 주장한다. 본 소고(小考)에서는 선악이 우리의 손에 잡히든 혹은 잡히지 않든 "즉자-존재(an-sich-sein)"의 형식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선악 사이의 싸움은 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세계 및 인간의 운명과 철저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피안적인 것이라고 하기 보다는 차안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차안적인 선악 사이의 끝없는 싸움은 인도 사상과 종교의 영향을 받은 발리의 "바롱댄스"에도 잘 드러난다. 우리에게 전승된 얼굴무늬수막새도 다른 종류의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기왓골 끝을 단단하게 마감하는 건축학적 의미를 지닌 장식적 의미도 갖지만, 수호와 벽사(辟邪)의 의미도 갖고 있다. 벽사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악이 곧 이 세상에 엄존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불가항력적인 악의 존재에 대처하는 여러 민속적인 방식들을 타진해보고, 특히 악에 대처하는 얼굴무늬수막새인 "신라의 미소"를 통해 악귀에 대응하는 신라인들의 기상천외한 창조적 발상을 고찰해본다.

완전 편측성 순구개열자의 두개저 성장과 상,하악골 위치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Cranial Base and the Position of Maxilla, Mandible in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백재호;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9-411
    • /
    • 2000
  • 본 연구는 연령 증가에 따른 구순구개열자의 두개저 성장 특징과 비상악복합체 및 하악골의 위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교정치료 및 악정형적 치료의 경험이 없는 100명의 완전 편측성 구순구개열 남녀와 악골부조화가 없으며 교정치료, 악정형적 치료 및 악교정 수술의 경험이 없는 100명의 정상 남녀를 선정하고, 이들을 접형사골연골결합 성장기, 접형후두연골결합 성장기 그리고,연골결합 성장종료기의 세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연령별로 비교하여 두개저와 비상악복합체 및 하악골 위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완전 편측성 구순구개열자가 정상인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완전 편측성 구순구개열군에서 사춘기 시기까지 사대 길이 및 두께가 작게 나타났고, 사대 길이의 사춘기 시기 증가량 또한 정상군 보다 작게 나타났다. 두개저 전방 길이 및 사대의 연령에 따른 회전 양상은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2. 완전 편측성 구순구개열군에서 비상악복합체는 모든 연령에서 정상군 보다 후방 위치를 보였고, 특히 성장이 활발한 사춘기 시기까지 정상군과의 차이가 보다 크게 나타났다. 반면 수직적 위치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비상악복합체의 전방 성장 결여는 두개저 형태와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악골 자체의 후방성장을 나타내는 PtmS은 정상군과 달리 연령에 따른 증가량이 작아 상악결절부의 성장 결여를 나타내었다. 3. 완전 편측성 구순구개열군에서 하악골은 정상군과 차이가 적었으나, Articular angle이 정상군 보다 매우 작게 나타났고, 하악골 위치와 비상악복합체 및 두개저 계측 항목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특이한 악관절 강직증 : 진성 악관절 강직증과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골성 유합 (PECULIAR TMJ ANKYLOSIS : TRUE ANKYLOSIS AND BONY SYNOSTOSIS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 이기혁;여환호;김영균;조세인;서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80-185
    • /
    • 1995
  • TMJ ankylosis is classified with true and false type. A true ankylosis is defined as any condition that produces fibrous or bony adhesions between the articular surfac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ain causes of true ankylosis are trauma or infection. A false ankylosis results from pathologic conditions outside the joint that limit mobility of the mandible such as myogenic disorders, coronoid impingement or rare direct bony fusion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The treatment of choice of TMJ ankylosis is surgical intervention. We experienced the male patient with complete mouth opening limitation since 45 years before. This patient has true TMJ ankylosis and rare bony synostosis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in the right posterior region. We performed surgical intervention and had a favorable result.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악교정 수술환자의 진단과 교정치료 (Contemporary Diagnosis and Orthodontic Treatment in Orthognathic Surgery)

  • 백형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2호
    • /
    • pp.72-82
    • /
    • 2012
  • 악교정 수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환자 또한 증가되는 시점에서,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우선되어야 하며, 환자의 요구에 의해서 수술시기가 죄우되는 것이 아니라, 술전 교정치료를 하고 수술하는 경우와 수술을 일찍하고 후에 교정치료를 하는 경우에 대한 결정은 치과교정의사와 구강악안면외과의사가 함께 최신의 다양한 방법 등을 통한 정확한 분석과 예측과정 후에 각각의 환자에 맞는 수술계획을 수립한 후 시행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최선의 치료 결과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순악구개열환자에서의 외과적 악교정술의 검토(증례보고) (CLINICAL STUDY OF ORTHOGNATHIC SURGERY O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송재철;이근호;장현중;김진수;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4호
    • /
    • pp.317-321
    • /
    • 1993
  • 본 교실에서는 이전에 구순 및 구개성형술을 받은 2명의 상악골 발육부전 환자에서 각각 상하악 동시 이동술과 상악 단독 이동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상악골은 상방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였으며 후방으로의 재발은 비교적 작았다. 2. 두 증례 모두 술후 하악골의 전방 재발이 많았다. 3. 순악구개열환자의 외과적 교정술에 있어서 술후 안정성을 높일 방법들이 강구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악관절 내장증 치료를 위한 악관절 세정술 후 관절강내 Hyaluronic Acid 주입 효과 (THE EFFECT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AFTER ARTHROCENTESIS IN TREATMENT OF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MJ)

  • 김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5호
    • /
    • pp.453-457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for the treatment of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TMJ). Sixtee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s of TMJ in 1 male and 15 females aged 68 to 18 years comprised the study material. The patients' complaint was limited mouth opening and pain during func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articula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rticula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osteoarthritis group). The preauricular area was disinfected anesthetized locally with 2% lidocaine hydrochloride. Arthrocentesis was performed. Hyaluronic acid(1.5 ㏄) was then injected into the superior compartment of the TMJ. Active range of motion exercises were instituted at approximately 24 hours postoperatively. Antibiotics and NSAID, three times daily by mouth, was prescribed for 3 days. Clinical evaluation of the patients was done before the procedure,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final follow-up visit postoperatively. Pain during function was assessed using visual analog scales(VAS). Maximal mouth opening was recorded as a distance between upper incisal edge and lower incisal edg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of pain during function, significant increase of maximal opening ran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ra-articular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is useful for decreasing patient reports of pain while increasing functional mobility of the mandible in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MJ.

Anatomic Study on the Lacrimal Duct using Computerized Tomograph

  • 정필훈;이의룡;홍종락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2
    • /
    • 2002
  • 구순 구개열 환자의 악교정 성형수술로 구강내 Le Fort II 골절단술이나 비중격 성형술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때 비골의 외측골절단술을 요하며, 이에 대한 술 후 합병증으로 비루관의 폐쇄나 비골의 분쇄골절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악안면기형 환자를 다루는 구강악안면외과의사에게 비루관의 웅용해부학적 연구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면을 기준으로 촬영된 컴퓨터 단충 촬영에서 비루관의 위치와 크기를 조사하는데 있다. 2000년 7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비상악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최단거리와 비루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을 측정하였다. 우측비상악 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거리는 5.68mm이고, 좌측은 5.67mm였다. 좌우 및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의 해부학적 지견은 악기형 수술시의 비루관 폐쇄라는 합병증의 예방책으로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체육전공대학생의 구강보호장치 인식도 및 구강악안면 외상 대처방법에 관한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mouthguard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for coping methods of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 천혜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9-25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uthguard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for coping methods of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50 male students in gyeonggido and Jeonbuk province from June, to August, 2015.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2015. The students were those who played taekwondo, football, and kendo. Except incomplete answers, 229 data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wareness and use of mouthguards, and educational needs for coping methods for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The Cronbach alpha of mouthguard awareness was 0.838, and that of educational needs for coping methods for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was 0.843 in the study. Results: Those who wore mouthguards tended to have higher score of awareness and the demand of coping methods for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had higher awareness of mouthguards and oral health maintained their good oral health. Conclusions: The mouthguard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from the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in sports play,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mouthguard wear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