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 신경초종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 증례 보고 -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the Sciatic Nerve in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 A Case Report -)

  • 송상호;조성우;심창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1
    • /
    • 2000
  • 악성 신경초종은 주로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매우 드문 육종으로 기존의 신경섬유종이나 신경초종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말초신경에서 새로이 발생하기도 하며 방사선 치료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신경섬유종증의 기왕력이 있는 3 9세 남자로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대퇴후방의 동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계가 분명한 $6.5{\times}5{\times}4.5$cm 크기의 종괴는 광학 현미경상 촘촘히 압축된 방추상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신경섬유종증 환자는 이차적으로 악성 신경초종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악성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

종격동 악성 말초 신경 초종으로부터 유방 전이의 영상 소견: 증례 보고 (Imaging Findings of Breast Metastasis from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Mediastinum: A Case Report)

  • 박소형;박지연;주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70-775
    • /
    • 2023
  • 악성 말초 신경 초종은 드문 연부조직 종양으로, 주로 몸통, 사지, 두경부에 주로 위치하며, 유방에는 드물다. 저자들은 신경섬유종증 1을 가진 27세 여자 환자에서 유방으로 전이된 악성 말초 신경 초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흉부 단층촬영에서 오른쪽 유방에 경계가 분명한 타원형의 약간 조영 증강되는 종괴가 보였다. 초음파에서 혈류와 증등도의 탄성을 가진 경계가 분명한 타원형의 비균질한 에코의 종괴로 보였다. 유방 종괴는 수술로 제거되었고, 악성 말초 신경 초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드물지만, 악성 말초 신경 초종은 신경섬유종증 1을 가진 환자에서 유방 종괴의 감별진단에 포함되어야 한다.

흉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례 보고- (Malignant Schwannoma on the Right Chest Wall -1 Case Report-)

  • 황의두;황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51-1053
    • /
    • 1997
  • 악성신경초종은 Schwan cell 또는 신경초 세포(nerve sheath cell)에서 발생하는 아주 드문 종양으로 빈번히 신경섬유종증(Von Rechlinghausen's disease)과 연관되어 있다. 환자는 64세 남자로 우측 가슴에 내원 2개월전부터 있던 무통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신경섬유종 증과의 동반은 없었다 전산화 단층촬영상 종물의 크기는 6 $\times$ 6 cm였으며, 11번 늑골과 횡경막을 침범하였 고 우신을 앞쪽으로 밀고 있었다. 본 교실에서는 흉벽에 발생한 악성신경초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사골동과 후두에 발생한 악성신경초종 (Malignant Schwannomas of the Ethmoid Sinus and the Larynx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s-)

  • 이규찬;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77-83
    • /
    • 1992
  • 악성 신경초종의 두경부 영역에서의 발생은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종양은 급속도로 커져가는 무통성 종물로서 발견되며, 그 증상은 대개 종물의 국소적 팽윤에 기인한다. 약 반수의 경우에서 본 레클링하우젠씨 병과 동반된다.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술이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일차 치료법이며, 최근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이에 포함시키고 있다.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의 예후는 특히 나쁜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적절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생존율의 증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사골동과 후두 등 희귀한 위치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2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기관지에 발생한 원발성 신경초종-2예 보고- (Primary Schwannoma of Bronchus - 2 case report-)

  • 홍순창;박인규;김대준;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36-1039
    • /
    • 2004
  • 기관 및 기관지 종양은 대부분이 악성 종양이며 양성 종양은 10% 이내에 불과하다. 특히 폐에 발생하는 원발성 신경성 종양은 전체 폐종양의 2% 이하로 대부분이 Schwann세포에서 기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양은 주로 고립성 양성 종양으로 나타나며 드문 경우에 악성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기관지내 신경초종은 폐의 원발성 종양 중에서 발생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내 신경초종으로 폐엽절제술을 시행한 2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흉벽에 발생한 거대 악성 말초신경초종-치험 1례- (Chest Wall Giant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ne case report)

  • 박진규;김민호;조중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729-732
    • /
    • 1997
  • 흉벽에 발생한 악성 말초신경초종은 미국에서 Mark등a(1991)이 17례를 보고하였으나 한국에서는 아직까 지 발표된 예가 없다. 악성 말초신경초종은 악성 연부 육종의 10%에서 발생되며 대개 20세에서 50세 사이에 발생한다. 악성 말 초신경초종은 주로 좌골신경, 상완신경총, 천추총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가장 흔한 발생위치는 상지와 하지 의 근위부, 체간 등이며 드물게는 두경부에도 발생한다. 악성 연부조직 육종의 치료는 저급육종(low grade sarcoma)의 경우는 종양의 절제만으로 치유 가능하나 고급육종(high grade sarcoma)의 경우는 광범위 절제가 요구된다. 저자의 경우에는 50세 남자에서 다발성 거대종괴가 좌측 흉벽에 광범위하게 있었으며 병리소견상 저급 악 성 말초신경초종으로 판명되었다. 종괴들을 절제한후 발생한 흉벽결손은 15$\times$8 cm정도 였으며 Teflon을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수술후 환자 는 큰 문제 얼이 회복되었다.

  • PDF

경구개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및 문헌고찰 (A Case of Schwannoma Arising in Hard Palate)

  • 김정태;김재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5-68
    • /
    • 2016
  • 신경초종은 천천히 자라는 양성종양으로 뇌신경, 말초신경, 또는 자율신경 등 신경초세포(Schwann cells)를 포함한 신경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신경초종은 무증상이며, 악성화되는 경우는 드물다. 전체 신경초종 중 약 25%에서 45%가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하지만 구강 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강 내 신경초종의 대부분은 설부에서 발생하며 그 외 발생하는 부위로 협부점막, 구개, 구강저, 잇몸, 입술 등이 있다. 본 저자들은 최근에 경구개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관련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총상악성말초신경초종양으로 오인한 넓적다리에 생긴 고대 신경초종: 1예 보고 (Ancient Schwannoma of the Thigh mimicking a Plexiform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A Case Report)

  • 이연수;박상은;이정의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5권2호
    • /
    • pp.170-175
    • /
    • 2011
  • 고대신경초종(ancient schwannoma)은 신경초종의 변이(variant)로서 천천히 자라나고 퇴행성 변화를 동반한 드문 양성종양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상 큰 크기와 불균질한 신호강도 때문에 악성 종양으로 오인될 수 있다. 연부조직 종양이 얼기모양(plexiform)을 보일때, 총상신경섬유종, 또는 악성말초신경초종양 등을 감별해야 한다. 이에 저자들은 63세 여자 환자의 왼쪽 넓적다리에 발생한 고대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불균질한 신호강도와 다결절 소견을 보여 총상(plexiform) 악성 말초신경초종양으로 오인하였다.

폐정맥의 원발성 악성 말초신경초종: 증례 보고 (Primary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the Pulmonary Vein: A Case Report)

  • 우현;권혜영;김진환;김성수;박형규;이연주;박재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384-1390
    • /
    • 2023
  • 심장과 대혈관 기원의 원발성 종괴는 매우 드물다. 그중에서도 악성 말초신경초종은 더 드물게 보고되었다. 76세 남성에서 발견된 흉수의 원인 평가를 위해 시행한 조영증강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우폐정맥과 좌심방을 침범하는 저음영의 종괴가 발견되었고 초음파상 우폐정맥에서 기인한 종괴로 의심되었다. 종괴는 수술적 절제를 통해 폐정맥 기원의 악성 말초신경초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보고된 바가 없는 드문 증례인 폐정맥 기원의 원발성 악성 말초신경초종을 보고하고, 종괴가 폐정맥 기원임을 시사하는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악성 연부 종양으로 오인하기 쉬운 신경 및 연부조직의 거대 신경초종 (Giant Schwannoma May Mimic Soft Tissue Sarcoma)

  • 김용성;전대근;조완형;송원석;김경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11-519
    • /
    • 2020
  • 목적: 신경초종은 말초신경에 주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나 크기가 크거나 신경 이외의 부위에서 발견될 경우 악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오인하기 쉽다. 저자들은 크기 5 cm 이상의 신경초종 50예의 1) 원발 위치의 분포 및 임상증상여부, 2) 술 전 방사선 및 병리학적 진단 결과와 진단적 정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신경초종으로 확진된 214예 중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상 종양의 최대직경이 5 cm 이상인 종양 50예를 추출하였다. 이를 주요신경 기원, 근육 내, 골 내의 원발위치에 따라 분류하였고 구체적인 해부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코호트에서 원발위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주요 말초신경에 생긴 종양이 14예, 근육 내 발생이 31예, 골 내 발생이 5예였다. 신경초종의 평균크기는 7 cm였으며 근육내 신경초종이 평균 8 cm로 가장 컸다. MRI를 통한 영상학적 진단에서 전체 50예 중 33예(66.0%)는 양성 신경종양으로, 15예(30.0%)는 악성종양으로 판독하였으며, 나머지 2예(4.0%)는 각각 결핵 농양, 건활막 거대세포종으로 보고되었다. 골내 신경초종 5예 중 영상학적으로 신경초종으로 진단한 예는 없었다. 임상증상에서는 주요 신경기원의 경우는 Tinel sign이 78.6%로 많았고(11/14), 주요 신경 외 기원 종양에서는 종괴 촉지 증상이 93.5%로 가장 많았으며(29/31) 증상기간도 평균 66.6개월로 가장 길었다.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 생검을 시행한 총 38예 중 86.8%에서는 신경초종으로 진단하였다. 합병증은 수술 후 합병증이 총 2예였으며 종양절제 후 출혈로 재수술이 필요했던 경우와 수술 후 경한 신경마비가 발생한 경우였다. 결론: 5 cm 이상의 근육 내 종양을 진단할 때 장기간의 종괴인지 소견이 있고, MRI상 비특이적인 소견일 경우에는 양상 신경종양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조직학적 확진 후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과잉 치료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