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관절장애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17초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of TMJ Dysfunction)

  • 김연중;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9권1호
    • /
    • pp.117-125
    • /
    • 1984
  •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해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며, 이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별무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7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병원 구강진단과에 내원한 악관절 기능 장애증 환자 367명 중 방사선 사진상으로 기질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327명을 대상으로,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조사와 아울러 악관절 동통이 하악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기능장애증은 약 3:1의 비율로 여자에게 빈발하였고, 15세에서 29세까지의 청장년 층에 많았다. 2. 악관절 기능장애증 환자가 경험한 주 증상은 동통,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이었다. 3. 관절잡음은 편측성인 경우가 많았고, 좌우 발현 빈도는 비슷하였으며 말기의 관절잡음이 많았다. 4.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발병 기간은 1개월 이하인 경우가 많았다. 5. 악관절 동통은 개구와 하악 전방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6. 악관절 동통은 동통이 있는 쪽으로 하악 개구로의 편위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교합과 저작근 활동

  • 김중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10호통권221호
    • /
    • pp.913-916
    • /
    • 1987
  • 저작운동을 중추신경계와 말초조직의 작용에의해 일생동안 학습과 적응의 가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작의 양상은 유치가 구강내에 맹출되면서 이루어지며, 상하악 치아의 접촉, 점막과 혀 및 치아상호간에 일어나는 접촉과 치근막의 고유수용기와 악관절 수용기등에 의해 조정되어 최종적으로 에너지소비가 적고 동통이나 불편함이 없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는 양상으로 된다. 그러나 원활한 저작과 하악은동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저작근, 악관절, 상하악 치아의 교합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만일 외상에 의해 악관절의 기능장애가 오면 저작근활동이 변화하고 이에따라 교합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하거나 대합치아간의 조기접촉이 있으면 교합장애가 원인이 되어 근육활동이 변화와 악관절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그리고 때로는 지나친 근육의 활동(이갈이, 지속적 긴장성 수축)에 의해 지나친 치아의 마모로인한 교합장애나 악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합의 형태학적 관계와 더불어 저작계의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 그 상호관계를 검토하여야 하며 본문에서는 교합에 관련된 저작근의 작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교합장애와 근육활동장애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코자 한다.

  • PDF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S)

  • 고강;안형규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33-44
    • /
    • 1991
  •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 118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으로 악관절 잡음, 개구량, 동통 및 병력을 조사하고 골변화 양상 및 악관절내에서의 과두위치 등을 방사선학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조영술식을 이용하여 악관절내의 원판 위치 및 천공등을 관찰하여 이들 조사결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에서 악관절부위의 골변화는 환자의 병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최대 개구시 40㎜미만을 개구하는 환자에서 더욱 심한 골변화를 보였다. 3.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교합상태에서 과두가 악관절강의 후방에 위치한 경우 개구시 더욱 쉽게 과두가 관절융기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교합시 과두가 전방에 위치한 경우 후방에 위치한 경우보다 더욱 심한 골변화양상을 보였다. 4. 교합시 관절간격의 감소는 과두의 악관절내 어떠한 위치보다 병변이 진행된 상태였다. 5. 5. 비환원성 내장증 환자의 특징적 증상은 clicking후 개구장애를 나타내었으며 비환원성 내장증을 환원성 내장증보다 더욱 진행된 상태였다

  • PDF

악관절 기능장애의 진단을 위한 Pantronic PRI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ntronic PRI for Diagnosing TMJ Dysfunction)

  • 김관호;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1권1호
    • /
    • pp.45-56
    • /
    • 1986
  • 악관절 기능장애의 증상들 및 징후들 중의 하나인 하악운동의 부조화를 Pantongraphic Reproducibility Index(PRI)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Pantography 가 개발된 이래 많은 연구가 보고 되었으나 국내에서는 PRI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며, 특히 Pantronic PRI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에 저자는 선정기준에 적합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4학년 남학생 20명을 대상으로 Pantronic(Denar Corp., Anacheim, Calif.)을 사용하여 하악 한계운동의 재현도를 나타내는 Pantronic PRI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명의 피검자들의 Kelkimo의 임상적 기능장애 지수에 의해 Di0 군과 DiI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중 45%가 악관절 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2. 20명의 피검자들은 Pantronic PRI에 의해 None, Slight 및 Moderate Category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중 82%가 악관절 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3. Pantronic PRI의 악관절 기능장애에 대한 감지력은 Helkimo의 임상적 기능장애 지수에 비래 더 예민하였다.(p<0.01) 4. Pantronic PRI 점수들은 시간경과에 따라 반복 기록되었을 때 각 실험 시기 내에서 및 실험 시기 사이에서 일관성이 있었다. 5. 하악 한계 운동의 재현도를 나타내는 Pantronic PRI는 악관절 기능장애를 진단하고 그 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될수 있겠다.

  • PDF

장안모군에서 악관절 장애와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MD and Skeletodental Form in Long Face Patterns)

  • 태기출;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9
    • /
    • 1999
  • 악관절 기능 장애는 교정치료 전,중 또는 후에 빈번하게 부딪치는 어려운 문제이다. 특히 장안모 고경군의 형태학적 특징상 악관절 기능이상이 쉽게 발현될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에 17세 이상의 여성중 SN-MP가 $38^{\circ}$ 이상인 장안모 유형 환자를 대상으로 악관절 기능 장애군 51명, 비장애군 42명을 대상으로 교정모형과 두부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악관절 기능 장애군과 비장애군에서 수평 피개량과 수직 피개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악관절 기능 장애군과 비장애군에서 하악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기울기 및 수직적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악관절 기능 장애군과 비장애군에서 기능적 요소로 두경부 자세, 혀, 및 설골의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임플란트 보철 수복 후 발생한 악관절 장애 환자의 T-Scan 분석을 이용한 재수복 증례 (Re-restor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cquired after implant prosthetic restoration using T-Scan: A case report)

  • 주세진;강동완;이호선;진수윤;이경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1-437
    • /
    • 2016
  • 광범위한 보철 수복에서 교합접촉의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으며, 교합접촉은 보철물 성공의 필수요소이다. 만약 교합접촉 관계가 잘못 부여된다면 다양한 교합외상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악관절 장애도 그 중 하나이다. 이런 악관절 장애의 흔한 증상의 하나로 저작근 장애 및 악관절 부위 통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많은 고통을 준다. 본 증례는 보철물의 잘못된 교합접촉으로 인한 지속적 악관절 통증을 가진 환자에서 교합 재설정한 보철물로 재수복하여 저작근 및 악관절 통증이 개선되는 등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악관절장애환자의 활액분석 및 악관절 도약술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ovial Fluid Analysis of Chronic TMD and Effects of Pumping Technique)

  • 김용우;김영구;연태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2권2호
    • /
    • pp.241-252
    • /
    • 1997
  • 본 연구는 임상검사 및 방사선 사진상 악관절장애로 진단된 환자중 물리치료,악관절 안정장치 등의 보존적 치료방법을 시행하였으나 증상의 개선이 별로 없는 퇴행성 관절질환이나 중등도의 개구제한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aspirin을 이용한 활액성분 분석 및 악관절 도약술과 sodium hyaluronate의 주입을 시행한후 이에 따른 치료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평균연령이 31.2세(21-42세)인 11명의 악관절 장애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악관절 도약술과 sodium hyaluronate의 주입은 악관절의 동통과 개구제한의 해소를 위해 시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시술전, 시술 즉시, 시술 1주후 및 4주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활액 채취시 생리식염수의 희석에 의한 활액성분의 농도 변화에 따른 오차를 막고자 활액과 혈액내의 aspirin의 농도차를 이용하여 정확한 활액 성분농도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환자의 생리식염수에 의한 악관절 활액의 희석계수는 1.4-12.9(5.5$\pm$4.2)로 상당히 넓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2.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 환자군(n=7)의 생리식염수에 의한 활액의 희석계수 (6.2$\pm$3.5)는 퇴행성 관절질환을 갖는 환자군(4.4$\pm$5.7, n=4)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만성폐구성 과두걸림군과 퇴행성 관절 질환군간의 활액성분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희석계수를 이용한 수정된 Hyaluronic acid와 총단백질의 농도는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군의 경우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4. 악관절 도약술과 sodium hyaluronate의 주입 직후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 환자군의 경우 평균 8.3mm의 추가적인 개구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고 퇴행성 관절질환의 경우 평균 1.3mm의 추가적인 개구증가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못했다. 5. 시술전, 시술 1주후 및 4주후의 여러 검사항목을 비교한 결과 두 군에서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능이상 및 동통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의 경우 기능장애지수(dysfunction index) 와 최대개구시 동통의 정도는 시술전과 시술 4주후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 PDF

약관절장애 환자의 악관절내압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Inter Articular Pressure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Dong-Hun Lee;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1993
  • 악관절내의 활막액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조사 비교함은 악관절의 독특한 생리와 병태생리적 기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악관절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새로운 해결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관절 장애환자 중 악관절 조영술로 악관절의 하관절강 압력계의 검침이 자입된 것을 확인후 개폐구시 관절내압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전체 관절에서 이악물기시의 관절내압이 개구시 보다 증가하였다. 2. 관절내 상태에 따라 비교하면,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의 관절내압이 유착환자군보다 이악물기 및 개구시 모두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