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골유합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선천성 치조점막 유착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보고 -증례보고- (Isolated Congenital Alveolar Synechiae: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 Report -A Case Report-)

  • 김성민;;김지혁;박영욱;권광준;이종호;이석근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6
    • /
    • 2007
  • 상악과 하악이 선천적으로 붙어서 태어나는 선천성 유합증은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단순히 점막이 붙은 점막유합증에서 악골이 붙은 골유합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중 상악골과 하악골의 골자체가 붙는 골유합증은 아주 드물어서 현재까지 26증례만 보고되고 있는데, 보고된 대부분의 증례는 편측에만 발생하는 불완전형으로 알려져 있다. 7세 된 여아환자가 인디아의 GSR 병원에 입이 벌어지지 않는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는데 환아의 턱은 완전히 움직이지 않았으며, 2-3 mm 정도 벌어지는 앞니부위에서는 2.5 cm 폭경의 3.0 mm 두께의 단단한 치조점막이 관찰되었다. 전기메스로 전방부의 부착성 섬유밴드를 잘라준 후 즉각적인 개구정도는 16 mm 정도까지 가능하여 구강으로의 기관삽관이 가능하였다. 삽관후 양쪽 후방부 협측점막의 두꺼운 밴드들을 모두 제거하여 개구량을 33 mm까지 증진시킨 후 수술을 종결하였다. 환아의 보호자에게 거즈 블록과 설압자를 이용하여 개구 연습을 능동적으로 시키도록 강조하여 교육하였으며 술후 16개월 경과시까지 특별한 합병증이나 개구량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독립적으로 발생한 선천성 치조점막 유합증 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커져있는 과두와 설골이 관찰되었는데, 설-하악 구조의 비정상적인 발육에 기인하여 지속적인 비정상적 운동으로 인한 이차적인 치은과 협점막의 섬유성 부착이 생긴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마취과와의 효율적인 협진으로 기관절개술 등의 부가적인 마취방법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 PDF

한우 송아지의 이두이안체 (Derodidymus in Korean-Native Calf)

  • 강문일;박영석;한동운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3
    • /
    • 1999
  • 머리와 목이 두 개인 이두이경체인 한우 송아지를 해부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이 한우 기형 송아지의 외형적 특정은 2 개의 완전한 머리와 목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두 개의 경부는 흉강에서 유합되어 한 개의 몸통을 이루고 있었다. 두 개의 두부는 우측의 두부가 좌측의 두부에 비해 크기가 작고 상악과 하악의 비틀림이 심하게 나타나는 편측성 하악골 형성부전을 보였다. 두 개의 경부는 비슷한 길이로 흉부에서 유합되어 있었으며 2 개의 두부와 경부 외에 흉근 내부에 유착되어져 있는 흉골이 1 쌍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전지골격은 외부에 노출된 1 쌍의 완전한 골격과 매몰되어 있는 비교적 완전한 l 쌍의 전지골격외에 견갑부가 소실되고 상완골이 불완전한 l 쌍의 불완전한 전지 골격구조가 흉근과 늑골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기형적 전지와는 달리 후지는 정상적인 1 쌍의 다리만 보이었다. 경추의 부분적인 유합과 흉추 전반부가 심한 유합으로 척추가 뒤틀려져 있었다. 두개골은 정상적으로 2개의 눈과 귀, 비공과 1개의 업을 가지고 있었으며, 좌측이 우측 두부에 비해 크기가 작았고 하악도 더 심히 뒤틀려져 있었다. 뇌실은 위축되어 대뇌가 작았다. 기관과 식도는 흉강에서 유합되어 1개의 폐와 위로 이어지고 있었다. 흉강내 장기와 복강내 장기는 대부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대장의 직장 부분은 항문으로부터 5cm 떨어진 부분에 협착되어 있었으며 항문은 보이지 않았다.

  • PDF

시상골절단과 사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과두골절의 외과적 치험예 (SURGICAL REDUCTION OF DISPLACED SUBCONDYLAR FRACTURES OF MANDIBLE USING OF SAGITTAL SPLIT AND OBLIQUE SUBCONDYLAR OSTEOTOMY)

  • 김현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87-95
    • /
    • 1989
  • 하악골 과두골절의 치로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술식이 문헌상 보고되었으나 어떤 특정한 술식이 모든 증례에 적용될 수는 없으므로 각 증례에 따라 방사선 사진검사와 세밀한 임상검사 및 술자의 판단등에 따라 보존적인 치료법이나 외과적 수술법이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과두골절은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보존적 처치후 장기간에 걸친 술후 검사시 하악의 기능장애, 부정교합, 하악골의 이환측으로의 전위, 위관절증 및 악관절 강직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골편이 심하게 전위된 경우나 무치악 환자, 구치부 고경유지가 어려운 환자 및 보존적 처치후 기능장애를 초래한 골편의 부정유합이나 비유합 환자에서는 관혈적 정복술로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저자는 하악골 과두골절시 골편전위가 비교적 심한 6증례에서 악하부 피부절개를 통해 통상의 금속선 고정법, Kirschner 금속선을 이용한 고정법을 각 1예씩 사용하였고 4예는 골절선이 비교적 높아 통상의 수술방법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시상골절단과 사선골절단술을 이용하여 골편정복과 고정술을 시행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선천성 악골유합증 (Syngnathia: Review of literature and a case report)

  • 이종호;김용훈;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3
    • /
    • 2001
  • 악골유합증은 두경부의 매우 드문 선천적 기형으로, 상악과 하악간의 골성 유합이 그 특징이다. 저자들은 좌측 상악, 하악 및 관골궁의 골성 유합을 보이는 1 예를 경험하였고, 골성 유합의 분리를 위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장기 예후 관찰기간중 개구제한의 점차적인 재발을 관찰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악골 골절후 이차감염으로 인한 골수염시 유리 장골 이식술과 고압산소 요법을 이용한 재건 치험례 (RECONSTRUCTION COMBINED WITH HBO THERAPY AND ILIAC BONE GRAFT IN MANDIBULAR FRCTURE SITE OSTEOMYELITIS)

  • 김수남;이동근;임창준;윤성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0-116
    • /
    • 1991
  • 하악골 골절시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에는 비유합, 부정유합, 감염에 의한 골수염, 치아 및 지지골 상실, 국소부위로부터 인접부위로 감염확장 등이 있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국소요인과 전신요인으로 분류되는데 국소요인으로는 부적절한 고정과 수복, 감염 및 개조된 혈액공급을 들 수 있고 전신 요인으로는 부적절한 고정과 수복, 감염 및 개조된 혈액 공급을 들 수 있는 전신요인으로는 환자의 나이 및 대상장애 질환이나 primary bone disease, 영양결핍을 들 수 있다. 악골골절과 관련된 골수염은 조기에 적절한 고정 및 치료, 항생제 요법, 골절선상의 치아에 대한 치료, 전신적 저항성을 항진 시킴으로서 예방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하악골 골절수 이차감염으로 인한 골수염에서 골 이식의 일반적인 원칙인 감염이 없는 부위가 아닌 염증이 존재한 부위에 유리장골 이식술과 고압산소 요법을 병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순 및 하악골 정중열의 치험례 (MEDIAN CLEFT OF THE LOWER LIP AND MANDIBLE;A CASE REPORT)

  • 차두원;김현수;백상흠;김진수;변기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63-269
    • /
    • 2001
  • 하순 및 하악골 정중열은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 하순절흔에서부터 하악은 물론 경부, 흉부까지 연장되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정중부로의 중배엽의 침투 실패, 하악돌기의 유합부전 그리고 외부 요인들이 논의되고 있다. 치료방법 및 시기에 관해서는 임상소견이 다양하고 증례가 드물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그러나 현재의 경향은 연조직 기형은 연하 및 발음의 기능적 장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조기에 치료하며, 악골고정을 위한 강선 결찰 혹은 골이식술은 사춘기 후로 미루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는 저작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8세 여자 환자의 임상소견에서 하악골 정중열과 하순의 수술로 인한 반흔조직 및 하순에서부터 치조골을 가로지르는 섬유성 소대 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하악의 정중열을 장골 이식을 이용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후 하순과 순. 설측 전정의 연조직 기형은 심미성과 기능 향상을 위해 부가적인 술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특이한 악관절 강직증 : 진성 악관절 강직증과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골성 유합 (PECULIAR TMJ ANKYLOSIS : TRUE ANKYLOSIS AND BONY SYNOSTOSIS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 이기혁;여환호;김영균;조세인;서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80-185
    • /
    • 1995
  • TMJ ankylosis is classified with true and false type. A true ankylosis is defined as any condition that produces fibrous or bony adhesions between the articular surfac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ain causes of true ankylosis are trauma or infection. A false ankylosis results from pathologic conditions outside the joint that limit mobility of the mandible such as myogenic disorders, coronoid impingement or rare direct bony fusion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The treatment of choice of TMJ ankylosis is surgical intervention. We experienced the male patient with complete mouth opening limitation since 45 years before. This patient has true TMJ ankylosis and rare bony synostosis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in the right posterior region. We performed surgical intervention and had a favorable result.

  • PDF

악골절 치료후 부정유합에 관한 임상적 연구 (Malunion of the Jaw Fractures Complicated Following the Primary Managements)

  • 김대성;김명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356-360
    • /
    • 1999
  • PURPOSE : This is to review the complicated jaw fractures that had been referred for revision of the unsatisfactory results, and to provide proper managements for the easily complicated jaw fractures. MATERIALS & METHODS : Twenty-nine patients who had been revised due to malunion or complicated fractures of facial bones for last 3 years were reviewed. The main problems required for revision, type of fractures complicated, the primary managements to be reclaimed, the specialties to be involved, the management to be reclaimed, time elapsed to seek reoperation, type of revision surgeries, residual complication were analysed with medical records, radiographs and final examinations. RESULTS: The major complaints were malocclusion(79.3%), facial disfigurement(41.3%), TMJ problems (13.7%), neurologic problems(10.3%), non-union(10.3%), and infection(6.8%). Unsatisfactory results were occurred most frequently after improper management of the multiple fractures of the mandible (62.2%), combined fractures of maxilla and mandible (20.6%), fracture of zygomatico-maxillary complex and midpalate (17.2%). The complications to be corrected were widened or collapsed dental arches (79.3%), improperly reduced condyles (41.3%), painful TMJ (34.4%), limited jaw excursion (31.0%), over-reduction of zygoma (13.7%), and nonunion with infection(13.7%). and dysesthesia (10.3%). The primary managements were nendereet by plastic surgeons in 82.7%(24/29) and by oral surgeons in 7.6%(2/29). Main causes of malunion are inadequate ORIF in 76%, unawareness & delay in 17%, and delayed due to systemic cares in 17%. 76% of 29 patients had been in state of intermaxillary fixation for over 4 weeks. Revision were done by means of "refracture and ORIF"in 48.2%(14/29), orthognathic osteotomies with bone grafts in 55.1%(16/29), and camouflage countering & alloplastic implantations in 37.9%(11/29), TMJ surgeries in 17.2%, micro-neurosurgeries in 11.6%. Residual complications were limited mouth opening in 24.1% (7/29), paresthesia in 13.7%, resorption of reduced condyle in 10.3%. CONCLUSIONS : Failure of initial treatment of jaw fractures is due to improper diagnosis and inadequate treatment with lack of sufficient knowledge of stomatognathic system. It is crucial to judge jaw fracture and patients accurately, moreover, the best way of treatments has to be selected.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in treatment could minimize the complication of jaw fractures.

  • PDF

다발성 안면 골절의 정복 후 발생한 부정교합 상태의 환자를 중심위에서 선택적 교합 조정 및 임플란트 보철수복으로 교합관계를 회복시킨 증례 (Occlusal rehabilitation of post-traumatic malocclusion patient after reduction of panfacial fracture, using selective occlusal adjustment and implant prostheses on centric relation: a case report)

  • 김대균;박소영;이정진;박연희;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04-213
    • /
    • 2023
  • 구강 악안면 영역에서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 골절에 대한 치료로 관혈적 혹은 비관혈적인 골절의 정복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적의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부정 유합이 발생할 경우, 하악골과 중안모 간의 구조적 관계가 상실되어 부정교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부정교합은 외상 후 부정교합이라 정의되며 안정적인 턱관절 위치의 확보 후 악교정 수술, 교정치료, 교합 재형성 및 보철적 재건 등이 외상 후 부정교합의 치료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안정적인 턱관절은 교합 회복 전 부정교합의 재발 및 교합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중심위 및 적응된 중심위는 가장 안정적인 턱관절의 위치로 교합 회복의 시작점이다. 본 증례는 다발성 안면 골절의 정복 후, 외상 후 부정교합이 발생하여 전악 교합의 회복을 위해 중심위에서 선택적 교합 조정 및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보철적 재건을 시행한 증례로 교합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