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간고정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구내 경사 분열 골절단술(Intraoral oblique splitting osteotomy)에 의한 하악 전돌증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BY INTRAORAL OBLIQUE SPLITTING OSTEOTOMY OF MANDIBULAR RAMI)

  • 박희대;도기용;배윤호;변상길;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83-194
    • /
    • 1989
  • 저자들은 2명의 하악 전돌증 환자에게 수술전 치열교정후 구내 하악지 경사 분열 골절단술을 시행하고 술후 치열교정을 계속 시행중이며 이 술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돌된 하악골의 후방이동으로 환자의 안모 추형과 심리적 열등감을 해소했으며 교합관계는 Angle 1급으로 회복하였으며 전반적인 부정교합을 치열교정과 더불어 해소했다. 2. 술후 감염과 골편 파절, 안면 지각이상, 측두하악 장애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48시간 지난후 안면부 종창은 서서히 해소되었다. 3. 수술후 약간 고정은 8주간 시행했으며 악간 고정 제거 1주후 정상적인 개구가 가능했다. 4. 경조직의 후방이동에 따른 연조직의 하순과 하악 이부에서의 이동량은 본 증례에서는 거의 1:1로 나타났다. 5. 악간 고정 기관과 술후 치열고정 기간중의 회귀현상은 약간 관찰되었으나 이에 대하여는 더 오랜 기간의 연구 관찰이 필요하고 관찰중이다.

  • PDF

맹출 지연 장애환자의 고정성 보철치료 (Fixed prosthetic treatment for the patient with delayed eruption disorder)

  • 이수연;김희중;강성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27-134
    • /
    • 2017
  • 전신적 혹은 국소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치아맹출지연은 대부분 소아기에 발견되어 교정적 정출을 이용한 치료를 진행한다. 하지만 소아기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성인기로 될 경우, 교정에 의한 치아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철수복으로 치료를 변경할 수 있다. 보철계획을 결정하기 전 고려사항으로는 치아상실이 나타난 범위, 치아사이 근원심공간 및 악간공간, 환자의 연령대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하악 구치부 맹출지연환자를 지르코니아 부분 고정성 보철물을 통해 구강회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하악 편측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b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 fixed implant prosthesis in unilateral partial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기원진;박재호;임현필;윤귀덕;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6-181
    • /
    • 2019
  •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소수의 치아로 지대치를 형성하여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 시 환자의 불편함 및 지대치 손상 등으로 인해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최근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제작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수직 악간관계를 보존하고 본인의 치아와 같은 형태를 부여하여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향상된 저작 기능의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통하여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역학적, 기능적으로 유리한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안정 요소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환자에게 경제적 및 사용 시 만족감을 가져왔다.

악간고정 제거후 개구장애 환자에게 적용한 능동적 하악운동의 효과: 비무작위 대조군 설계 (Effects of Active Mandibular Exercise for Mouth Opening Limitation Patients after Maxillomandibular Fixation Release: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장효진;김명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6-37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ctive mandibular exercise (AME) in patients with limited mouth opening after maxillomandibular fixation (MMF) release. Methods: The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a pre test-post test design. Sixty-two patients with Maxillomandibular Fixation Releas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31) or control group (n=31). The AME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4 weeks. The exercise AME consisted of maximal mouth opening, lateral excursion and protrusive movement. These movements were repeated ten times a day. After the final exercise of the day, the number of tongue blades used for mouth opening was noted. The effect of AME was evaluated after MMF release at different time intervals: a) immediately, b) after 1 week, c) after 2 weeks, d) after 4 weeks, and e) after 12 weeks. The exercise was assessed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a) mandibular movements, b) pain scores associated with maximal mouth opening, c) discomfort scores associated with range of movement, and d) daily life activities that involve opening the mouth.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the range of mandibular movements (maximal mouth opening (F=23.60, p<.001), lateral excursion to the right side (F=5.25, p=.002), lateral excursion to the left side (F=5.97, p=.001), protrusive movement (F=5.51, p=.001)), pain score (F=39.59, p<.001), discomfort score (F=9.38, p<.001). Daily life activities that involve opening the mouth were more favorabl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AME in patients after MMF release is helpful for increasing mandibular movement range, decreasing pain and discomfort, and improving day life activities that involve opening the mouth. Therefore, AME is highly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악간고정이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PULMONARY FUNCTION AFTER INTERMAXILLARY FIXATION)

  • 김철환;김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361-366
    • /
    • 1999
  • Intermaxillary fixation is routine procedure to oral and maxillofacial area in jaw bone fracture, surgical correction of jaw deformity, osseus reconstruction of jaw. After transoral surgery, accompanied by intermaxillary fixation, dysphagia or airway obstruction may be followed due to blood clot, vomitus, or laryngeal spasm resulting from irritation by blood or secretions. Lingual or pharyngeal edema is other contributing factors of airway obstruction. In addition, intermaxillary fixation itself may cause obstruction of airway. In this study, pulmonary function test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i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maxillary fixation in 30 patients suffered from mandibular fractures.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estimated val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he spirometric values of FEV1, FEV1/FVC and FEF25-75% without intermaxillary fixation were reduced from 97.57%, 85.1%, 98.3,% to 71.7%, 66.5%, 61.2% with intermaxillary fix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f obstructive pulmonary impairment. 2. Spirometric value of MVV, as the most influencing value of sensitive to extrapulmonary factors, was changed from 84.5% to 46.48%. 3. After intermaxillary fixation, the spirometric value of FVC, as indicator of restrictive pattern of pulmonary function, was not reduced significantly as measured from 94.47% to 89.97%. 4. $O_2$ saturation of arterial blood gas analysis without intermaxillary fixation was 97.86%. While intermaxillary fixation, $O_2$ saturation was 97.47%. The results indicate that careful airway management is mandatory undergoing intermaxillary fixation of various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PDF

악간고정 없는 하악골 골절의 관혈적 정복술: 후향적 연구 (Open reduction of mandibular fracture without maxillomandibular fixation: retrospective study)

  • 이충현;김철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4호
    • /
    • pp.255-263
    • /
    • 2011
  • Introduction: Maxillomandibular fixation (MMF) is essential before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in maxillofacial trauma patients. MMF is used basically to reconstruct the occlusion and occlusal stability to recover the facial shape and oral functions. The arch bar and wire is a traditional method for MMF, but it can not only bring pressure to the periodontal ligaments and teeth but also cause a penetrating injury to the surgeon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198 patients with an open reduction using a manual reduction without MMF from September 2005 to May 2010 in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subjected to a follow-up evaluation during the postoperative 4 months periods. This study evaluate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gender, age), the state of bony union of the fracture sites and a numeric rating scale evaluation for postoperative pain scoring. Results: 1. The complications were classified into major and minor according to the seriousness, and the major complication rate was as low as 2.02%. Only 2 cases of re-operations (1.01%) were encountered.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fracture line, plate fracture was observed in both cases of mandibular symphysis fracture, and angle fractures and loosening of two screws were noted in the case of mandibular angle fracture. 2. The complication rate was similar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3. The degree of bony union was satisfactory, and the complication rate was reduced as the bony union improved. 4. More patients complained of pain as the operation time was increased. Conclusion: The use of MMF is not always necessary if a skilled assistant is provided to help manually reduce the fracture site. Compared to other studies of mandibular fracture surgery using MMF, the complication rate was similar using only manual reduction and the patients' discomfort was reduced without MMF.

골격성 3급 부정 교합을 지닌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의 복합적 치료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FOR AMELOGENESIS IMPERFECTA PATIENT WITH SKELETAL C III MALOCCLUSION)

  • 오정환;김학렬;황윤태;김여갑;류동목;이백수;윤병욱;전준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91-96
    • /
    • 2007
  •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전치부 개교합과 같은 골격적인 문제를 자주 동반하며, 이러한 경우 구강악안면외과, 보철과, 보존과, 교정과 의사들이 함께 치료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법랑질의 약화와 치아 우식증 등의 이유로 일반적인 교정치료를 시행할 수 없어 보철적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보존적, 보철적 방법을 이용하여 술전 교정과 같은 안정된 교합을 형성하였다.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고 SAS 등을 이용하여 악간고정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초탄성 Ni-Ti alloy wire를 이용한 비발치 치료 (Non-extraction treatment in Class III malocclusion by using improved superelastic NiTi wire)

  • 민샘;정주령;황충주;차정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7-306
    • /
    • 2011
  • 경미한 III급 부정교합의 비발치 치료는 하악 치열의 원심이동과 상악 치열의 근심이동을 통하여 절충 치료를 하게 된다. 지금까지 하악 구치의 원심경사 및 후방이동을 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치료 방법이 소개되어 왔다.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치료는 총생이 심한 경우와 같이 하악치열의 후방이동이 요구될 때 적용되는데 환자의 협조도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하악 치열의 후방 이동 시 치근 접촉가능성이 있으며 골성 고정원의 탈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MEAW)와 악간 고무줄을 이용한 치료는 효율적으로 하악 치아를 원심 경사할 수 있지만, 장치의 복잡성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환자의 불편감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향상된 초탄성 Ni-Ti alloy wire는 교정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improved superelastic wire (ISW)를 이용한 tip-back은 디자인이 간단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으로 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감이 감소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향상된 초탄성 Ni-Ti alloy wire와 악간 고무줄을 이용하여 하악 구치부를 원심 경사이동한 증례를 소개하고, 효과적인 임상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시 보철물 스캔을 이용한 일체형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Fabrication of definitive complete-arch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upper and lower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using temporary prosthesis scan: a case report)

  • 정승미;손현락;최강덕;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43-252
    • /
    • 2024
  •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최종 보철물을 제작할 때 환자의 수직 고경, 악간관계, 구강내에 식립된 임플란트와 임플란트에 연결된 지대주, 그리고 잇몸 형태에 관한 정확한 정보의 체득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임시 보철물을 통해서 이러한 정보들을 채득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구강 밖에서 스캔하여 스캔의 효율성을 높였고, 스캔 때 임시 보철물의 양측 후방 부위를 연결하는 스캔지그를 사용하여 스캔의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본 증례에서는 이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기능적 처치에 의한 하악과두 골절의 치험 3례 (Noninvasive Functional Therapy of Mandibular Condylar Fracture)

  • 박진호;김종섭;임난희;윤홍식;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398-404
    • /
    • 1994
  • 저자등은 하악 과두 골절에 있어 골절의 양상, 환자의 요구, 교합의 상태, 한자의 나이등을 고려하여 기능적 처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환자들에 있어 악간 고정기간 없이 activator를 이용한 기능적 치료를 한 결과, 빠른 악관절 기능의 회복을 관찰하고 정상적인 하악의 전, 측방 기능운동을 유도할 수 있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