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이콘 배치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 Icon and Label Replacement Algorithm for Generating Schematic Map (도식화된 지도 생성을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 배치 알고리즘)

  • 류동성;박동규;이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96-59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아이콘과 레이블을 가진 도식화된 지도(Schematic map)를 생성차기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의 효과적인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시 정보를 파서로 분석한 후, 지형도 데이터에서 시각화에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한 후 이들 선분에 대하여 선분 간략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식 및 정보의 표기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이콘 및 레이블 정보들의 특징을 반영하여 후보 영역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후보영역 내에서 중첩이 발생하기 않으면서 아이콘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최적화된 위치의 레이블을 배치하여 이들의 배치 값들 중 최적의 값을 얻은 후 이 최적의 위치에 아이콘과 레이블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 PDF

A Mathematical Analysis of Automatic Balanced Placement of Icons in A Smartphone Launcher (스마트폰 런처에서 아이콘 자동 균형 배치의 수학적 분석)

  • Son, Kyung A;Eun, Seongb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11
    • /
    • pp.1457-1462
    • /
    • 2020
  • There are dozens of applications on the smartphone. The service application that manages the loading, deletion, and deployment of these applications is called a smartphone launcher, and various launchers are used. Some of the existing launchers provide a function to automatically place icons by analyzing user application usage patter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automatically arranging icons so that the icons are balanced on the smartphone screen. The usefulness of our method is illustrated by some exaples. In this case, it is proved that in an m × n screen layout with a height of m and a width of n, if n is an odd number, the entire screen can always b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regardless of the n value by mathematical induction method.

A Schematic Map Generation System Using Centroidal Voronoi Tessellation and Icon-Label Replacement Algorithm (중심 보로노이 조각화와 아이콘 및 레이블 배치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식화된 지도 생성 시스템)

  • Ryu Dong-Sung;Uh Yoon;Park Dong-Gy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2
    • /
    • pp.139-150
    • /
    • 2006
  • A schematic map is a special purpose map which is generated to recognize it's objects easily and conveniently via simplifying and highlighting logical geometric information of a map. To manufacture the schematic map with road, label and icon, we must generate simplified route map and replace many geometric objects. Performing a give task, however, there are an amount of overlap areas between geometric objects whenever we process the replacement of geometry objects. Therefore we need replacing geometric objects without overlap. But this work requires much computational resources, because of the high complexity of the original geometry map. We propose the schematic map generation system whose map consists of icons and label. The proposed system has following steps: 1) eliminating kinks that are least relevant to the shape of polygonal curve using DCE(Discrete Curve Evolution) method. 2) making an evenly distributed route using CVT(Centroidal Voronoi Tessellation) and Grid snapping method. Therefore we can keep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route map from CVT method. 3) replacing an icon and label information with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As a result, we can replace the vertices with a uniform distance and guarantee the available spaces for the replacement of icons and labels. We can also minimize the overlap between icons and labels and obtain more schematized map.

  • PDF

Differences in Finding Smartphone Apps across User Types Categorized by App Icon Arrangement Style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아이폰 사용자 중심으로-)

  • Kang,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143-155
    • /
    • 2017
  • In the mobile-first era, plenty of mobile apps have been created so that the number of apps owned in a smartphone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However, users spend most of time with only a few apps and the rest of apps are just kept in their smartphones for future usage. Thus, in order to help users find the apps quickly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users arrange apps in a mobile phone screen and find an app. In the literature, we extracted 5 user types to organize mobile apps. We further conducted user survey with 30 subjects and finalized major 3 user types categorized by relatedness(A), aesthetic(B), and external concepts(C). We found that most of subjects took less than 2 minutes when finding frequently-used-apps. However we identified difference in times taken to find a barely-used-apps across three user types; while A type users turns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finding barely-used-apps, the B type uses tend to be the least effective among three types. For the A type users, an app's name is more important than an icon image because they tend to guess the functionality from the name of the app. The B type users use the color of app icon to find the app in the smartphone. For the C type users who tend to remain the original position of an app when first downloading it in the smartphone, the visibility of an app icon is important to catch users' eyes while they scan a p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UX designers wh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 icon usage considering the user types.

Electronic Commercing And WEB Advertising Method Based on Dual LCD Monitor (두 화면 모니터 기반 전자상거래 및 광고 기법)

  • 이은석;임춘환;류재민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2
    • /
    • pp.1523-1532
    • /
    • 2001
  • The tophead monitor is a dual screen monitor that concludes auxiliary monitor with size 6.4 inch on the top of monitor. The bottom monitor screen provide previous function in the same way as before and the auxiliary monitor screen is arranged contents of internet advertising icon, banner advertising icon, moving picture screen, mail icon, etc. If you click contents, contents is moved peristaltically with the bottom monitor screen. The dual monitor screen is controlled by mouse and keyboard in the same way as before.

  • PDF

WEB Advertising and Electronic Commercing Method Based on Dual LCD Monitor (두 화면 모니터 기반 웹 광고 및 전자상거래 기법)

  • 이은석;임춘환;손영수;배상현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7
    • /
    • pp.1195-1203
    • /
    • 2001
  • The tophead monitor is a dual screen monitor that concludes auxiliary monitor with size 6.4 inch on the top of monitor. The bottom monitor screen provide previous function in the same way as before and the auxiliary monitor screen is arranged contents of internet advertising icon, banner advertising icon, moving picture screen, mail icon, etc. If you click contents, contents is moved peristaltically with the bottom monitor screen. The dual monitor screen is controlled by mouse and keyboard in the same way as before.

  • PDF

Haptic Patterns with Convoying Symbolic Meaning and Scheduler Application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는 촉감 패턴 및 이를 응용한 스케쥴러)

  • Park, Ji-Eun;Gyeong, Gi-Uk;Hahn, Min-Soo;Park, Jun-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35-4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펜형 장치에 진행된 촉감 연구들이 진동이나 역감의 제시에 그쳤던 것에 반해, 더욱 일반화된 펜형 장치에 상징적 의미를 포함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촉감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징성이 강한 시각적 아이콘을 촉감 패턴으로 변환하기 위해 점에서 이미지와 의미를 연상해 내는 별자리의 구성방식을 분석하여 이미지를 점으로 간략화하고, 촉감 제시 장치의 핀과 연동시켜 패턴화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펜형 장치를 사용하는 PDA 응용 프로그램인 스케쥴러를 개발하여 생성한 촉감 패턴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임의적 배치 형태인 점자와 달리 촉감 패턴 자체가 상징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인이 더욱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향후 적용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사용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그 응용으로 일반적인 OS용 아이콘을 촉감화하거나 시각 장애인과 일반인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Caller ID서비스, 게임 등 여러 가지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Icon-based Synchronization Representation for SMIL Authoring Tool (SMIL 저작도구를 위한 아이콘 기반의 동기화 표현 기법)

  • 노승진;장진희;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03-405
    • /
    • 2001
  • 이 연구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동기적으로 통합하여 표현하기 위한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표준을 지원하는 GUI 기반 저작도구의 구현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 멀티미디어 저작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의 논리적인 프리젠테이션 과정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미디어객체들 간의 시간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편집할 수 있는 아이콘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미디어간의 세부적인 편집을 지원하는 시간기반의 인터페이스, 미디어 객체들의 공간적 재생 위치를 지정하는 배치(layout) 인터페이스 등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합하여 위지위그(WYSIWYG) 방식으로 SMIL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Spatial-match Representation Scheme Supporting Ranking (순위부여를 지원하는 공간배치 표현 기법의 성능평가)

  • 김연중;장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253-255
    • /
    • 1998
  •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응용에 있어서 관련성 있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검색하기 위해 이미지에 대한 내용-본위 검색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를 몇 개의 인식 가능한 심볼 즉, 아이콘으로 표현하고, 주어진 문서를 대표하는 값으로 받아들여 색인을 한다. 사용자가 이미지에 대한 내용-본위 검색을 요구하면, 질의에 있는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변환한 후, 접근 기법을 통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를 위해 많은 아이코닉 표현 기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RR과 기존의 9DLT방법 및 SMR 방법과 검색효율 면에서 성능 비교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9DLT 및 SMR 방법에 비해 정확률 측면에서 약 0.1 재현율 측면에서 약 0.2 만큼 우수함을 보인다.

The Effects of Hypermedia Menu Types and Metacognition on Errors, Menu Search Time, and Achievements (하이퍼미디어 메뉴방식과 메타인지가 오류, 메뉴탐색 시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Kim, Jeong-R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 no.1
    • /
    • pp.11-2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effects of four menu types: icon menu, icontext menu, pulldown menu, and bar selection menu. Each have been mainly used with hypermedia instruction, learners' metacognition on their errors, menu search time, and scholastic achievements. A fur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suggest some strategies for enabling each learner to select menus more efficiently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er's own learning effectiveness in hypermedia instruction. There were 100 college students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y had never had experience in Hanoi hypermedia instruction. They were required to use four menu types at random in this experi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nu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w metacognition regulation group. Icontext menu types, especi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s. In constrast to this, the menu typ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high metacognition regulation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