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이콘 디자인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Usefulness of Icon and Label Displays (표상방식에 따른 아이콘과 레이블 디스플레이의 유용성 비교)

  • 이주환;한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2-98
    • /
    • 2002
  • 복잡한 기능이나 개념을 제한된 공간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아이콘이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아이콘 개발이 디자이너의 미적인 기준이나, 시스템에서 일률적으로 사용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이나 레이블같이 서로 다른 표상들이 그 표상 방식의 유용성 측면에서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기능의 표상 방식이 다르면, 아이콘이나 레이블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른 인지 처리 체계를 거친다는 기본 가정에 근거를 두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콘을 기존에 형성된 표상 방식들 가운데서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표상들로 분류한 기준을 이용하여, 실제 컴퓨터 사용자 환경에서 통용되고 있는 아이콘들을 수집, 분류하고, 각각의 표상 방식에 따른 아이콘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레이블과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을 익혀야하는 초기에는 아이콘보다 레이블과 같은 텍스트가 더욱 효과적이지만, 익숙해진 후 그 수행이 비슷해짐을 확인했다. 그러나 임의적 표상방식으로 디자인된 아이콘은 레이블보다 더 부정확하고 느린 수행을 지속적으로 나타냈고, 기능의 세 가지 표상방식에 따라서 아이콘에 대한 수행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이는 아이콘과 같은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와 사용 단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인지적 속성인 표상 방식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types of PDA Icons and their Communication Capacity (개인용 정보단말기(PDA)에 사용되는 아이콘의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에 관한 연구)

  • 신명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2
    • /
    • pp.269-278
    • /
    • 2004
  • This research categorizes various icons that used in PDAs according to symbolization patterns, operating systems and support for color display. Since different icons vary in communication capacity I executed this research to verify it positively. In result, PDA loon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intuitive communication capacity according to its functions, symbolization pattern, operating system and use of color. \circled1 Icons which have similar object as ones that are used on desktop computer and icons with accurate, simple expression seems to have higher intuitive communication capacity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functions. \circled2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symbolization pattern, ones that express the action related to their functions have the highest recognition accuracy and longer delay before recognition. \circled3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operating systems, ones that have concrete expression of object and a number of representation elements have higher recognition accuracy and longer delay before recognition. \circled4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color and grayscale, ones with color have superior communication capacity due to additional stimulation although LCDs in most PDAs have limited color depth.

  • PDF

Research on the meaning action of intertextuality in mobile contents design. (모바일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상호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Park, hee-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3-454
    • /
    • 2011
  • 다양한 스마트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 환경의 경우 상당히 유사한 형태의 어플리케에션 아이콘 디자인이 양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어떤 상호텍스트성의 요소에 의해 기호의 인지 작용을 수행하며 유사한 내용과 기능을 내포한 디자인을 어떻게 서로 다르게 인지 하는지를 증명하여 향후 디지털 기기의 아이콘의 디자인에 효과적인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상 미디어의 통합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의 디지털 영상 기호 설계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미디어의 컨버전스에 의한 디지털 영상 기호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이는 기초적 연구가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con Design in Portal Site for Children (국내 어린이 포털 사이트 아이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Ko I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63-966
    • /
    • 2004
  • 국내 인터넷 활용인구의 증가와 함께 연령층의 확대로 초등학생 인터넷 이용률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어린이들에게 인터넷은 이미 친숙한 매체이며,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아이콘은 사용자가 클릭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navigator 역할로 사용자들의 행동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린이를 주 이용 대상으로 하고 있는 어린이 포털 사이트의 경우 아이콘의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아이콘을 지각하는 어린이의 감성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어린이 포털 사이트의 아이콘을 제작함에 있어, 사이트 방문자인 어린이의 감성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아이콘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 접속률이 높은 세 개의 국내 어린이 포털 사이트의 아이콘 샘플을 추출하고 이를 서울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선호 이미지 형용사를 조사하였다. 이는 향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o hedonic icons work better? (아이콘의 유희적 요소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아이콘을 중심으로 -)

  • Tae, Eun-Ju;Jung, Dae-Hyu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274-280
    • /
    • 2008
  • 최근에는 정보 가전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고, 다양한 제품 출시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제품에 따른 사용성에 있어 큰 차이가 없게 됨에 따라 사용성(usability)의 개념(Gould and Leuis, 1985; Benner, 1984)이 단순한 편리성과 기능성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Carroll, J.M., 2004). 이러한 측면에서 유희적인 측면은 점점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이콘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가 이루고자 하는 바를 실제 공간에서 대상을 직접 조작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아이콘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아이콘의 기능적인 측면만을 다루어 왔으며, 아이콘이 가질 수 있는 재미나 즐거움과 같은 유희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와 즐거움을 유희적인 요소로 규정하고 아이콘의 사용성과 주관적인 평정에 있어 재미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형적인 인터페이스와 재미있는 인터페이스는 객관적인 사용성(Ergonomics quality)에 있어서 차이가 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재미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더 호감이 가고 매력적이고, 좋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콘 디자인에 있어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참신성을 기준으로 재미요소를 추가하였을 때에 본래의 아이콘이 가지는 장점을 살리면서도 사용자의 경험을 풍부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Differences in Finding Smartphone Apps across User Types Categorized by App Icon Arrangement Style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아이폰 사용자 중심으로-)

  • Kang,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143-155
    • /
    • 2017
  • In the mobile-first era, plenty of mobile apps have been created so that the number of apps owned in a smartphone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However, users spend most of time with only a few apps and the rest of apps are just kept in their smartphones for future usage. Thus, in order to help users find the apps quickly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users arrange apps in a mobile phone screen and find an app. In the literature, we extracted 5 user types to organize mobile apps. We further conducted user survey with 30 subjects and finalized major 3 user types categorized by relatedness(A), aesthetic(B), and external concepts(C). We found that most of subjects took less than 2 minutes when finding frequently-used-apps. However we identified difference in times taken to find a barely-used-apps across three user types; while A type users turns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finding barely-used-apps, the B type uses tend to be the least effective among three types. For the A type users, an app's name is more important than an icon image because they tend to guess the functionality from the name of the app. The B type users use the color of app icon to find the app in the smartphone. For the C type users who tend to remain the original position of an app when first downloading it in the smartphone, the visibility of an app icon is important to catch users' eyes while they scan a p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UX designers wh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 icon usage considering the user types.

A Study on the Special Characters as UX/UI Icon Design Elements (UX/UI 아이콘 디자인 요소로서 특수 문자 체계 연구)

  • Song, Jae-y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397-40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system of special characters as UX/UI icon design elements, thus laying the groundwork for improvement direction for unclear use regu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X/UI design and special characters and discovers UX/UI design and special characters' relations and assignments. Besides, the case study summarizes the system of special characters being utilized in the company's UX/UI icon design guidelines to produce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types being utilized in UX/UI were graphic characters, mathematical symbols, punctuation marks, and parentheses. And the special characters commonly used in analysis cases, iOS, Android, and Windows, are ▶, ♥, ★, ○, ⊙, +, ×, ⋯. So this study organizes the common characters to standardize them. Hopefu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interest in the study of 'special characters' in the UX/UI design field and helps establish a framework for future industrial standards.

A Study of Mobile SNS Mainpage's GUI Design (모바일 SNS 매인화면 GUI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중심으로)

  • Shi, Yu;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43-144
    • /
    • 2014
  • "카카오톡"이 세계시장으로 확대하기를 위해서 중미일의 대표적인 모바일 SNS(Facebook, Wechat, Linkedln)와 대비를 통하여 GUI디자인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카카오톡 GUI디자인의 특징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굵은 선으로 아이콘 구성하는 방법이 전체 스타일에 영합하지만 화면이 복잡해 보이는 측면이 있다. 둘째, 서브메뉴에서 아이콘과 앱링크, 광고이미지 등 다양한 요소를 한꺼번에 놓으면 혼란한 측면이 있다.

  • PDF

A study on effect on icon usability through exchanged interface design (인터페이스 전환에 따른 도상(Icon)의 형태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ung, Hye-Kyung;Lee, Hae-Jin;Kim, Jung-Y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66-67
    • /
    • 2005
  • 기존의 데스크톱 컴퓨터가 고정된 공간에서만 사용되는데 반해 개인용 정보단말기(PDA)는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 때문에 소형화면과 작은 부피, 가벼운 용량의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화면에서는 한 번에 볼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 사용자 중심의 PDA용 GUI 아이콘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 PC와 PDA간의 호환을 자유롭게 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 소형화면에서는 한 번에 볼 수 있는 정보량이 적기 때문에 전체에 대한 개관이 불가능했고, 많은 정보를 담으면, 내용이해가 어려웠는데,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GUI 아이콘 설계를 통해 정보의 ‘집중’과 ‘선택’ 이 가능한 PDA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량 정보를 작은 화면에 종합적으로 담아내어 개관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의 내용과 가치를 아이콘의 크기와 색, 수직 혹은 수평적인 움직임 등의 시각화를 통해 차별화시킴으로써 개별 정보내용의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앞으로 PDA와 PC의 표준화된 호환 가능한 브라우저가 모든 PDA에 기본 인터페이스로 장착된다면, 다른 매체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호환을 순조롭게 하여 경제적인 파급 효과 뿐만 아니라 차세대 이동통신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산업적인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