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이콘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재키와 다이애나의 패션 스타일 연구

  • 이현영;김윤경;박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59-59
    • /
    • 2004
  • 자기만의 향기와 개성으로 독특한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패션 아이콘을 흔히 스타일 아이콘이라 부른다. 이는 어떤 유행의 정보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강력한 흡인력을 지닌다는 점에서 패션을 이해할 수 있는 직접적인 코드가 된다. (중략)

  • PDF

Information Display of Wearable Devices through Sound Feedback of Wearable Computing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청각 피드백을 통한 웨어러블 기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 Park, Young-Hyu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1-597
    • /
    • 2007
  • 웨어러블 컴퓨팅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이들이 지원하는 기능은 점점 다양화되고 전문화되었다. 하지만 기기의 종류와 기능이 늘어나면서 각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 자체가 복잡하고 불필요한 시간을 소요하기도 한다. 또한 이를 시각 디스플레이에만 의존하면,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와 더불어 시각적인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웨어러블 각 기기의 상태정보 피드백으로서 소리를 이용하였다. 실험의 순서는 먼저 시각정보에 더하여 청각정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한 다음,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Auditory Icon)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청각정보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참가자에게 특정 기기의 위치와 그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하면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청각 디스플레이를 제시하고 기기 및 상태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각디스플레이의 방식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몸을 나타내는 그림 위에 기기가 장착된 위치를 붉은 점으로 표시하고, 그 상태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방식(실험 1)과 텍스트를 통해 기기의 종류와 상태를 알려주는 방식(실험 2)을 적용하였다. 기기 확인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기록한 실험결과는 시각디스플레이를 통해서만 제시하는 조건보다 시각디스플레이와 청각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제시하는 조건에서 나은 수행을 보여주며, 정보의 내용이 일정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록 수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어지는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의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소리의 높낮이를 통해 기기의 위치를 표현하는 대신, 소리만 듣고 기기가 무엇인가를 알려줄 수 있도록, 참가자 평정을 통해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을 선정하고, 이를 상태정보 디스플레이에 추가하였다. 기기의 수와 제시조건은 앞선 실험과 동일하였으며, 역시 기기 및 상태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험결과는 이전의 실험과 비슷하게 시각과 청각 디스플레이의 중복제시 조건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청각 아이콘의 사용으로 인한 수행의 증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추가적으로 청각 디스플레이의 내용에 대한 주관적인 평정을 실시 하였는데,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은 참가자에게 편의성, 효용성, 적합성, 확신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착용자의 시선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수행을 높이고, 웨어러블 컴퓨터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약을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 동시에 주관적인 사용성 측면에서 발전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The Reminding Words Evaluation Method for Icon Design (연상단어 평가를 통한 아이콘 디자인 연구)

  • Ha, Kwang 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64-72
    • /
    • 2014
  • As the importance of interface became emphasized recently, function of icon as an element that helps operation and formative function as an aesthetic element are becoming emphasized. Specially,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for measuring the understanding degree of users are being attempted in functional aspect, however, they are facing limitations as user evaluation method of quantitative investigation for statistical analysis became overly dependent on the consent from majority. To overcome such limitation, a methodology of measuring sensibility as aesthetic impression or individuality based on the system of emotion or system of understanding of users and designing icon based on the measurement is being attempted continuous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n evaluation method using reminding words and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apply results on the icon design by applying the evaluation method on icon design of printing products to measure the user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level.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summaries on the design evaluation method which based on the evaluation of user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level and to debate effective design methodologies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these summaries on the project. The intention was to progress discussion from practical application perspectives apart from the textbook type discussion by applying a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concrete cases. This study objectified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level of users in the icon design aspect, suggested a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on the desig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when progressing the icon and GUI design.

A Study on Mobile Icon Design of iPhone7 (iPhone7을 중심으로 한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Kim, Jung-He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4
    • /
    • pp.367-386
    • /
    • 2014
  • The development of science was crucial to recent advancements in design such as digital contents, UI, GUI, UX design. Not until the DOS evolved into Windows OS were many kinds of digital media design created, namely due to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mouse. A necessary element of mobile phones and Window OS is icons, since icons act as visual symbols, touch buttons and gateways into software content. Icons have undergone many stages of development simultaneously with developments in digital science. We can observe changes in mobile icon design from Skeuomorphism Design to Minimalism to Flat Design. These changes were caused by macro-level trends in design across all other industries. Apple iPhone's Skeuomorphism Design of 2013 evolved into IOS7's Minimalism and Flat Design of 2014. In the mobile world, flat design will again create big changes in design.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data of GUI design that are used by creators of mobile apps to understand and anticipate future trends.

A Mathematical Analysis of Automatic Balanced Placement of Icons in A Smartphone Launcher (스마트폰 런처에서 아이콘 자동 균형 배치의 수학적 분석)

  • Son, Kyung A;Eun, Seongb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11
    • /
    • pp.1457-1462
    • /
    • 2020
  • There are dozens of applications on the smartphone. The service application that manages the loading, deletion, and deployment of these applications is called a smartphone launcher, and various launchers are used. Some of the existing launchers provide a function to automatically place icons by analyzing user application usage patter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automatically arranging icons so that the icons are balanced on the smartphone screen. The usefulness of our method is illustrated by some exaples. In this case, it is proved that in an m × n screen layout with a height of m and a width of n, if n is an odd number, the entire screen can always b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regardless of the n value by mathematical induction method.

Electronic Commercing And WEB Advertising Method Based on Dual LCD Monitor (두 화면 모니터 기반 전자상거래 및 광고 기법)

  • 이은석;임춘환;류재민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2
    • /
    • pp.1523-1532
    • /
    • 2001
  • The tophead monitor is a dual screen monitor that concludes auxiliary monitor with size 6.4 inch on the top of monitor. The bottom monitor screen provide previous function in the same way as before and the auxiliary monitor screen is arranged contents of internet advertising icon, banner advertising icon, moving picture screen, mail icon, etc. If you click contents, contents is moved peristaltically with the bottom monitor screen. The dual monitor screen is controlled by mouse and keyboard in the same way as before.

  • PDF

A New Spatial-match Respresentation Scheme supporting Ranking in Iconic Image Database (아이코닉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순위부여를 지원하는 새로운 공간매치 표현기법)

  • Kim, Yeon-Jung;Jang, Jae-U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6
    • /
    • pp.752-762
    • /
    • 1999
  •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응용에 있어서 관련성 있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검색하기 위해 이미지에 대한 내용-본위 검색이 필수적이다. 이를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몇 개의 인식 가능한 심볼 즉, 아이콘으로 표현하고, 주어진 문서를 대표하는 값으로 받아들여 색인을 한다. 사용자가 이미지에 대한 내용-본위 검색을 요구하면 질의에 있는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변환한후, 접근 깁버을 통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방향관계 연산자와 위치관계 연산자를 합성하여 새로운 공간 매치 표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미지 내의 아이콘들간의 관계성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며 순위 부여가 가능한 새로운 공간관계 표현기법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기존의 9DLT 방법 및 SMR 방법과 검색효율면에서 성능 비교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방버이 기존의 9DLT 및 SMR 방법에 비해 정확률 측면에서 약 0.1 재현율 측면에서 약 0.2만큼 우수함을 보인다.

WEB Advertising and Electronic Commercing Method Based on Dual LCD Monitor (두 화면 모니터 기반 웹 광고 및 전자상거래 기법)

  • 이은석;임춘환;손영수;배상현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7
    • /
    • pp.1195-1203
    • /
    • 2001
  • The tophead monitor is a dual screen monitor that concludes auxiliary monitor with size 6.4 inch on the top of monitor. The bottom monitor screen provide previous function in the same way as before and the auxiliary monitor screen is arranged contents of internet advertising icon, banner advertising icon, moving picture screen, mail icon, etc. If you click contents, contents is moved peristaltically with the bottom monitor screen. The dual monitor screen is controlled by mouse and keyboard in the same way as befo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