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웃도어 활동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지도 공유를 지원하는 채팅 웹 응용의 설계 (Design of Chatting Web Application supporting a Map Share)

  • 이한빈;김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0-432
    • /
    • 2015
  • 아웃도어는 일상공간과 자신으로부터의 탈출이라는 의미가 있다. 아웃도어 활동을 보조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대부분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에 등록된 코스를 스마트폰에 출력하고, 사람들과 대화하기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지도를 공유하며 채팅을 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설계을 제시한다.

  • PDF

심박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솔루션 설계 (Design of a Smart Wearable Solution using Heartbeat Sensor)

  • 천상규;장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1-483
    • /
    • 2014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생활문화의 수준 또한 향상되었고 그로인해 삶의 가치가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변하면서 함께 아웃도어 스포츠도 대중화되고 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도 노인층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됨에 따라 아웃도어를 즐기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안전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아웃도어 활동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사망자의 대다수가 심장마비사고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웃도어 웨어에 심박센서를 장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되게 하며 심박수를 체크해주어 급작스레 심박수에 큰 폭의 변화를 보이면 스마트폰에 경고음을 크게 울려 주위의 사람들에게 위험상황을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긴급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GPS를 통해 위치를 알려주며 구조요청 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 PDF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and Creating Shared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Brands -)

  • 이길구;이선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5-115
    • /
    • 2019
  •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가치의 하위변수는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설정하였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하위 변수는 경제적 가치, 관계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관계적 가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소비자의 소비가치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블랙야크의 BI(Brand Identity) 강화전략: 사회공헌활동을 중심으로 (Strategy for Brand Identity Enhancement of Black Yak: Focusing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 유창조;이상현;전중옥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99-116
    • /
    • 2010
  • 국내 아웃도어 시장에서 브랜드들 간의 경쟁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브랜드간의 차별화된 이미지와 아이덴티티의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본 사례는 국내 토종브랜드인 블랙야크의 브랜드아이덴티티 강화전략과정과 그 성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블랙야크는 정통 등산아웃도어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함으로써 대중성을 높이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사회공헌활동이나 대의명분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강화전략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 PDF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친환경행동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분석 (Grounded Theory Analysi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for Outdoor Recreation Participants)

  • 김봉주;박수정;김민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5호
    • /
    • pp.607-6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친환경행동에 이르는 과정, 친환경행동, 지속요인 및 제약요인 등 참여과정의 전반전인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사이에 논리적인 연관성을 밝혀 이론 모형을 만드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근거 이론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첫째, 인과적 조건과 상황적 맥락이 순차적 영향에 의해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친환경행동이 형성되었다. 둘째, 중심현상인 친환경행동에 참여하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는 친환경행동과 관련된 독특한 지속요인과 제약요인을 경험하면서도, 일반적인 지속요인 및 제약요인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과의 친환경 여가활동으로 정착은 중재적 조건의 참여지속요인과 상호작용전략의 동호회에 부분적으로 환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여가참여 경험 및 여가제약을 폭넓게 이해하고, 관련 후속 연구들 간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연구진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아웃도어 스포츠와 e-스포츠 기반의 청소년 정신적 사회적 건강 측정 모델 설계 (Outdoor Sports and e-sports Participation based Measuring Model Design for the Mental and Social Health of Adolescents)

  • 김성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전인적 건강형성을 위한 아웃도어 스포츠 활동과 e-스포츠 활동에 대한 융합적 수행 모델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전인적 건강의 영역을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그리고 사회적 건강의 3가지로 정의하고, 아웃도어 스포츠와 e-스포츠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두 스포츠가 각 영역에서 청소년의 건강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이루는지 측정할 수 있는 변인을 추출하였다. 총 영역은 모두 4가지로 1) 기본 인적 사항은 성별과 연령, 선호 스포츠와 수행 시간 등을 2) 신체적 건강 측정을 위해서는 PAPS의 기본 측정 6개 문항을 3) 정신적 건강은 스트레스 지수,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 자아존중감을, 4) 사회적 건강 측정을 위한 변인으로는 가족, 친구, 학교, 사회 관련 변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1-4문항씩 총 36문항이다.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 영역을 조사한 결과, 가족 관계, 친구 관계, 자신에 대한 만족 등 3요인이 유의수준 0.064, 0.012, 0.088을 나타내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웃도어 활동기반 웨어러블 광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 Wearable Solar Energy Harvesting Device Based on Outdoor Activities)

  • 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24-1239
    • /
    • 2020
  • This study develops a wearable solar energy harvesting device that absorbs solar energy to generate and store power which can be used during outdoor activities by users even after dark. For this study, a prototype hat for outdoor activities at night was developed after the design of a solar energy harvesting generation, storage, and delivery system was designed that could store energy to light up LEDs. First,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system was designed to integrate the charging function, the darkness detection circuit, the battery voltage sensing circuit, and the LED driving circuit in order to reduce bulkiness and minimize the connection structure. It was designed to increase convenience. Second, the system was designed as a wearable fashion product that connected each part with fiber bands and manufacturing it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hat. Third, charging and LED operation tests show tha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after 5 hours even in winter when the illuminance value is low. In addition, the LED operation experimen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 buffered system that could operate the LEDs for about 3 hours at night.

아웃도어 활동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스마트 패션 아이템 개발을 위한 사용자 니즈 분석 (A Study on the User Needs for Developing Smart Fashion Items Using Energy-Harvesting Technology Based on Outdoor Activity)

  • 이은영;노정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1-229
    • /
    • 2017
  • This study researched the needs of smart fashion items using energy harvesting for outdoor wearers and surveyed the application areas and design preferences for energy-harvesting systems based on outdoor activities. A total of 217 subjects were surveyed. Subjects who had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in outdoor activities were sele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The survey investigated lifestyles based on outdoor activities, outdoor clothing and electronic equipment usage, purchase style, utilization plan, and design preference for energy-harvesting clothing and supplies. The results showed that 62.7%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in outdoor activities for more than five years. 96.3% of the subjects carried electronic equipment, and 179 participants(82.5%) experienced discomfort due to battery consumption/dead batteries during outdoor activities. 78.4% were interested in smat fashion items using energy-harvesting technology, and the energy-conversion technology that was useful for outdoor activities was "kinetic energy"(74.7%). Participant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a detachable type(30.9%) and a city type(69.1%) that can be worn in outdoor activities as well as in general life. The preferred location of the electric power-charging device was the "Hem area of top garment"(35.9%), and the reason for this selection was that it was easy to operate and did not interfere with movement. The data from this paper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oduct planning and product design for energy-harvesting apparel designers and supply developers for outdoor clothing.

등산복 구매행동의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rchase Behaviors of Outdoor Wear Consumers)

  • 박옥련;이지나;이동철;진금옥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267-278
    • /
    • 2006
  • 소득 수준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의식의 강화는 보다 쾌적한 라이프스타일의 추구와 여가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웰빙 문화확산에 따른 레저 인구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등산에만 국한되던 아웃도어 이미지가 점차 다양한 레저활동으로 확대되고 등산복과 캐주얼웨어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아웃도어 브랜드 업체들도 캐주얼 의류보다 화사하고 편안한 등산복을 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등산복 소비자의 일반적인 구매행동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브랜드 선호도에 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등산복의 구매 목적은 '등산만을 위해서'와 '등산복과 일상복으로' 구매하는 경우도 비슷하게 나타나 등산복을 일상적인 캐주얼웨어로도 겸하여 입는 소비자가 많다. 그리고 여자는 '등산만을 위해서'가, 남자는 '등산과 일상복으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 소비자들에 비해 남성 소비자들이 등산복 한 벌 당 가격대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모든 연령대에서 구매 정보원으로서 '친구 소 소속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산복 브랜드의 선호도와 보유현황은 전체 선호도는 코오롱 스포츠가 1위, 노스페이스가 2위, 케이투가 3위로 나타났나.

  • PDF

30~50대 남녀의 아웃도어 웨어 착용실태 및 인식조사(제 1보)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Attitude: An Initial Report on an Outdoor Wearing Survey for Man and Woman in their 30s to 50s)

  • 백경자;황영미;이정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87-796
    • /
    • 2013
  • This study is an initial report of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attitude based on a survey of wearing outdoor wear for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50s who enjoy daily leisure sport activities. Most middle-aged men and women who enjoy outdoor activities were interested in new trends and clothing styles. The greatest area of interest was health(42.9%), followed by leisure and sports(38.4%); in addition, hiking(40.2%) was the most popular outdoor activity. The majority of subjects participated in outdoor activities for over 5 years(34.4%). The highest frequency of outdoor activities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month, and it took one to three hours for each activity. Nearly half of the respondents( 47.7%) answered that the goal of outdoor activities was to maintain their health. Subjects in their 40s and 50s were more equipped in their outdoor activities and in their 50s made ongoing investments despite costs. When wearing clothing, the subjects placed a priority on design(in the case of subjects in their 30s) and comfort(for subjects in their 40s and 50s). This survey shows that the subjects emphasized access to outdoor wear and equipment. In all age groups, the biggest complaint about outdoor wear was price; in addition, they were unsatisfied with the length and the sleeves of outdoor jackets. Outdoor wear will draw a positive attention for its practical use of clothing if it is developed according to consumer demands based on functionality for outdoor activities and convenience in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