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두이노

Search Result 53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spection Robot System using Remote Sensing Images of Fire Scene (원격 탐사 영상을 이용한 화재 현장 탐사 로봇 시스템)

  • Park, Senog Joon;Youn, He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71-173
    • /
    • 2015
  • 최근 원격 탐사를 이용한 사람이 탐사하기 어려운 환경을 대신 탐사 할 수 있는 로봇의 필요성이 두각 되고 있다. 그 중에 화재현장 탐사 로봇은 일부 지형의 협소함 탓에 사람의 탐사를 대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로봇은 아두이노(Arduino) 보드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에 있는 탐사로봇으로 지형에 대한 정보 및 영상을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람의 탐사현장 투입을 대체한다. 탐사로봇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혹은 장애물이 많은 공간일수록 통신 신호가 약해지거나 이동의 어려움 때문에 성능저하가 우려된다. 또한 센서 및 모터제어와 영상 송출이 각각의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므로 일일이 실행하여 사용에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통신 거리가 긴 동글(dongle)을 설치하여 통신장애를 해결하고 캐터필러의 사용으로 이동성을 향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러 프로그램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새로 구현하여 편리성을 높였다.

  • PDF

Smart Pot Using the Arduino (아두이노를 이용한 스마트 화분)

  • Park, Hye-Jin;Kim, Jin-Hyeong;Jeon, EunKwang;Lee,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5-826
    • /
    • 2016
  • 토양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화분의 습도를 측정하며 아두이노 상의 모터를 이용하여 화분에 물을 주어 화분의 알맞은 수분정도를 맞춰줄 수 있으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화분이 자라는 환경의 온도를 측정하여 너무 더워 말라죽지 않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키우는 화분에 여러 센서를 장착하여 수집한 수치값에 따라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여 화분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화분에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도 성공적으로 화분을 키워낼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Memory Initialization through Using Arduino Temporary Files (아두이노 임시파일을 이용한 메모리 초기화에 관한 연구)

  • Lee, Woo-Ho;Kang, Sung-Min;Lim, Chae-Sang;Noh, B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250-251
    • /
    • 2016
  •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여러 ICT기술과 유,무선 장비의 네트워크 및 다양한 통신 기술들이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최근 다양한 사물 인터넷에 대한 발전은 경량화, 소형화 되어가며 OSHW(Open Source HardWare)을 기반으로 점차 다양화 되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다양한 디바이스와 펌웨어, 암호학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특정 하드웨어의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OSHW 중 하나인 AVR기반의 아두이노 개발도구에 대한 임시 파일에 대해 분석하고 메모리 초기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임시파일을 이용한 메모리 초기화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정보와 메모리 공격에 대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of Arduino Board according to Bluetooth Communication Time (블루투스 통신 간격에 따른 아두이노 보드의 소모전력 분석)

  • Jung, Dong-Hu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194-197
    • /
    • 2015
  • 최근 사물인터넷(Io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물과 스마트폰 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하였고 또한 사물에 내장된 배터리의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스마트폰의 경우 현재 상용화 중인 배터리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블루투스 통신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량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보다 배터리 총량이 적은 아두이노를 이용하고자 한다.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였을 경우 통신 간격에 따라 아두이노의 배터리 소모 패턴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간격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고,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 PDF

Arduino Educational Environment Design using Smart device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설계)

  • Park, DongHyuk;Lee,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64-367
    • /
    • 2016
  • 개정된 2015 정보교육과정에 컴퓨팅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피지컬 컴퓨팅을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교육용 도구와 교수학습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센서를 제어하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 학습의 제공이 부족하고, 학습활동 간에 1인 1PC와 다수의 전자부품을 활용할 공간이 필요하여 학교현장의 일반적인 교실환경과는 차이가 있어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구축을 통해 현재 PC를 필요로 하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환경을 스마트기기 기반의 교육환경을 제시하여, 기존의 시스템보다 실습용장비, 실습실, 이동의 자율성, 그리고 사용언어 측면에서 개선시키고자 한다.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Arduino Wireless Sensor System for Predicti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using Maturity (적산온도 기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을 위한 무선 아두이노 센서 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Han-Sol;Moon, Dong-Hwan;Lee, Ha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7-68
    • /
    • 2019
  • The mechanical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concrete structures depend o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material conditions, design conditions,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after casting. However, wired communicati-on sensors which are mainly used in the field have many limitations in their usability and monitoring. In this study, all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measured from embedded sensors are monitored via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data, the predict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compressive strength. As a result, The error between predicted strength and experimental strength has decreased over time.

  • PDF

Development of U-Health System and Posture Corrector for Scoliosis Prevention based on Arduino combined IoT (IoT를 결합한 Arudino기반의 척추 측만증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기 및 U-Health System 개발)

  • Lee, Hak-Jun;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9-110
    • /
    • 2015
  • ICT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인들이 컴퓨터 앞에서 작업하는 시간은 증가했으며 장시간 의자에 앉아 한 자세 및 부적절한 자세와 생활 습관으로 인한 척추 측만증 및 허리 디스크 발병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척추는 몸을 지탱하는 기둥으로써 사람의 몸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데 척추가 여러 원인으로 꼬이고 굽어져 'S'형으로 흰 상태를 척추 측만증이라고 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U-Health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일상 생활에서도 자신의 자세를 측정 및 교정이 가능하며 센서로부터 측정한 값은 사람의 체형마다 다르다는 단점을 보완하고 환자-의사가 통신 할 수 있는 IoT를 결합한 아두이노 기반의 척추 측만증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기 및 U-Health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Multi-level Certification System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이용한 다중 레벨 인증 시스템)

  • Yoo, Ho-weon;Kim, Y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87-88
    • /
    • 2015
  • 최근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Pin Number, Password, Pattern Recognition 등 인증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위와 같은 One-factor 인증 시스템에는 "Shoulder Attack"과 같은 사용자 레벨에서의 보안공격에 취약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oogle E-mail' 등 일부 강화된 보안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추가 모듈을 이용한 Two-factor 인증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안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복잡성으로 인해 고도의 보안 기술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등 많은 제약사항이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 와 같은 One-factor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보안 인증 절차를 향상시키기 위해 암호화와 인증 방법으로 지문인식을 사용하여 Multi-level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Send 디비이스를 구현한 아두이노를 통해 M2M 서비스를 수행하며, 암호와 지문 정보를 아두이노 디바이스에 저장하여 두 가지의 신뢰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분리를 통한 사용자 레벨에서의 보안을 강하고 지문인식을 통해 불편함과 복잡성을 간소화하였다.

  • PDF

Mobile Sundial (모바일 해시계)

  • Lee, Yu-Ri;Park, Ji-Young;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03-304
    • /
    • 2012
  • 본 눈문은 시각의 중요 수단으로 여겨지는 빛보다, 새로운 시각 표현 방법인 그림자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한 작품 에 대한 것으로 은 전통 시계인 해시계로부터 모티브를 얻었다. 이는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와 SSR(Solid State Relay), 거리감지 센서, 220V 전구 등을 이용하여 제작했다. 이는 전구가 순차적으로 켜지면서 시계방향으로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작동 원리로 한다. 이 작품은 관객 참여를 바탕으로 하며 추후에 모바일 응용 분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 PDF

Smart Homeplate : Strike Zone Judgement (스마트 홈플레이트 : 스트라이크 존 판단)

  • Son, Su-Jin;Oh, Na-Yeon;Lee, SungWon;Seo, Dongm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335-33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키넥트와 아두이노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야구 경기 시 발생하는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스트라이크 판단이 가능한 알고리즘 및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디바이스는 야구 경기장 홈플레이트로 사용하며 스트라이크, 볼의 경우에 대해 판단하도록 하였다. 판단에는 스트라이크 존을 측정하기 위해 키넥트의 skeleton tracking 예제로 관절을 측정해 좌표를 알아내고 아두이노 초음파센서를 사용하여 스트라이크를 판단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