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후기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3초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의 분포도 조사 (PREVALENCE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IN CHILDREN WITH MIXED DENTITION)

  • 이명성;최성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7-254
    • /
    • 2007
  • 본 연구는 125명의 6-11세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초기 혼합치열기 A군(6-8세; 62명)과 후기 혼합치열기 B군(9-11세; 63명)으로 분류하고 유치의 dfs, 영구치의 DFS를 기록한 후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TYCSB 배지에 배양해서 S. mutans와 S. sobrinus를 구분하였으며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S. mutans와 S. sobrinus의 분포도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와 S. sobrinus의 상관계수는 A군 0.70, B군 0.50로 두 군 모두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S. mutans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는 A군(r=0.25)과 B군(r=0.34) 모두에서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3. A군에서 S. sobrinus와 치아우식증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군(r=0.21)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4. S. mutan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과 B군 모두에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S. sobrinu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r=0.32)에서는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고, B군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 공격성 간의 종단적 상호교류관계 검증 :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An Empirical Test of the Interactionist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Main Caregiver Depression, and Youth Aggression)

  • 김동하;엄명용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경제적 환경과 주양육자 및 자녀의 발달 관계를 사회원인론적 관점이나 사회선택론적 관점에 입각해서 단편적으로 보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 공격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것으로 가정하는 상호교류모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2006년, 2009년, 2012년도의 다중정보체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주양육자와 자녀로 구성된 561가구이며, 분석기간은 아동기 후기부터 청소년기 전체를 포괄한다. 분석결과,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공격성은 모두 강한 자기회귀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과 주양육자 우울 간의 상호교류관계가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가구소득과 청소년 공격성 간에 종단적 관계에서 주양육자의 우울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경제적 환경과 관련된 주양육자 및 청소년 문제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비교연구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6th Grade Students According to Sex)

  • 김혜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38-47
    • /
    • 1999
  • This study is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6th grade students according to s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health in their lives among 6/sup th/ grade students according to sex,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racti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7 6/sup th/ grade stu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Taegu City. The tools used to measur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the measuring utility for practi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developed by Kyung-Suk Ki (1983) and the utility for the values of health in lives developed by Wallston, Maides and Wallston and translated by Gin Yoon (1989).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laced in health in their lives, the number of students who placed health high in their lives was 69 boys (75%) and 64 girls (75.3%). 2)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comparing the degree of practi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sex, in the field of personal hygiene and daily habits, the girls showed a higher degree of practice with 3.26±0.33 and the boys, 3.05±0.45(t=-3.484, p=0.001) : and in the field of contagious diseases, the girl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with 3.40±0.39 than the boys with 2.99±0.54(t=-2.363, p=0.019). In the filed of preventing accidents, the girls showed a meaning high significant result with 3.16±0.46 than the boys with 2.99±0.54(t=-2.362, p=0.019). When the results from the total questions in the field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compared, the girls showed a meaningfully high correlation with 3.19±0.28 than the boys with 3.07±0.36(t=-2.601, p=0.010).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irls, compares with the boys, practice more behaviors of personal hygiene & daily habits, prevention of communicable disease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set in the case of the boys, they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r=0.266, p=0.005). Thus, for the boys, as their health status was better, the mor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y showed. In the case of the girls, the meaningful variables had a correlation with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the number of extra-curricula activities(r=0.182, p=0.047) and the birth order(r=-0.192, p=0. 024). In overall regardless of sex, the health status (r=0.188, p=0.006) and birth order(r=-0.149, p=0.024)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racti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With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proposals. 1) In elementary children of lower and upper classmen as applied with the current school age, developing a utility to measur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s needed since the physic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se children exist.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eloping a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is needed in 6/sup th/ grade students.

  • PDF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초.중.고등학교 학년 간 연계성 분석 -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Articulations of the domai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왕석순;류경희;백정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0
    • /
    • 2012
  •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실과 및 기술 가정 교과서(총 16종)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학습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표방한 초등과 중등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습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은 발전, 반복, 격차, 축소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내용 기준은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인간발달, 인간관계, 결혼과 가족생활, 가족 돌보기와 가족 복지"의 4개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 기준에 속하는 14개 내용요소가 각 학년의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먼저 <발전>을 보인 내용요소는 인간발달 과정, 인간발달 특성, 가족관계, 의사소통,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결혼과 가정의 의의, 가족의 기초개념 이해, 가족의 변화와 가족 문제 해결에 관한 내용 요소이었다. <반복>을 보인 내용요소는 없었으나, <축소>를 보인 내용요소는 친구 관계, <격차>를 보인 내용요소는 5학년과 7학년의 '인간 발달 특성', '성에 대한 이해 및 임신 출산'에 대한 내용요소였다. 교육과정을 연계성 측면에서 평가할 때, 발전으로 분석된 내용요소는 교육과정에 위계성을 가지고 적절하게 구성된 내용요소들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이나 격차, 축소로 분석된 내용요소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이들 내용요소에 대한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특히 축소로 분석된 '친구관계'와 격차로 분석된 '성에 대한 이해와 임신 출산'의 내용요소는 아동후기와 청소년기의 발달에서 또래관계의 중요성이나 사춘기가 조기화되는 발달의 측면을 고려할 때, 초등단계의 교육내용에 반영할 것을 제언한다.

  • PDF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인사이드 아웃>에 나타난 이행대상(transitional object) 캐릭터의 서사적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use of transitional object-characters in the family feature animation )

  • 박형동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325-357
    • /
    • 2017
  • 주인공의 모험을 조력하는 감초역할로 등장했지만 머천다이징 시장에서 크게 성공한 애니메이션캐릭터 올라프(겨울왕국), 미니언즈(슈퍼배드) 등등의 대중적인 인기비결은 귀여운 디자인에 있기도 하지만 해당 캐릭터의 심층에 이행대상의 특성들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행대상(transitional object)이란 아동심리학자 도널드 위니콧이 제안한 개념으로 간단히 표현하자면 유아가 어머니에게서 정신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어머니를 대신하는 애착인형이나 상상 친구를 말한다. 하지만 이행대상 이론을 서사콘텐츠캐릭터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행대상 캐릭터에 관한 기준과 지표를 새롭게 정립하는 연구가 선결 되어야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주체와 성장조력자의 '정서적 관계'를 기준으로 이행대상 캐릭터의 성향을 판단하는 정서적 지표를 새롭게 구축하였다. 그 지표는 4가지 정서적 역할(유사가족, 성장매개, 전기이행대상, 후기이행대상), 6가지 정서적 행위(안아주기, 보호하기, 받아주기, 주도권제공, 관계개선, 상호주관), 3가지 정서적 인상(접촉인상, 보호제공인상, 보호유도인상, 공격수용인상)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위 지표를 적용하여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인사이드아웃(Inside out)>의 주요캐릭터들을 분석해 보았을 때 빙봉(Bing Bong)과 슬픔이(Sadness)가 높은 이행대상 캐릭터 성향을 보였다. 특히 슬픔이의 분석을 통해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의 이행대상 캐릭터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작품의 성장서사를 강화하는데 활용되는지 유추 할 수 있었다. 이행대상 캐릭터인 슬픔이는 성장주체에게 '촉진적 정서'를 제공하는 양상으로 성장주체가 외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돕고 성장주체의 내적인 성숙과제를 '투사' 하는 양상으로 성장주체의 내적성숙을 도와 성장서사를 안팎으로 보조하고 있었던 것이다. 연구결과 이행대상 캐릭터들이 성장주체에게 제공하는 정서적 체험은 성장주체에게 감정이입하는 관객들에게도 전이되어 가족용 장편애니메이션의 어린이관객과 어른관객들에게 각각 다른 층위의 정서적인 만족감을 안겨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