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동행동

Search Result 1,59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hips to Children's 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ity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정서성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 Kwon, Yeon Hee;Lee, Jong Hee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6 no.6
    • /
    • pp.201-216
    • /
    • 2005
  • The social behaviors of 177(84 girls, 93 boys) 5-6 year olds were rated by the SCBE teacher questionnaire. Mothers reported on their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on children's emotionality by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girls' emotionality was related to maternal punitive responses and their withdrawn behaviors. Maternal emotion-focused reponses were associated with boys' social behaviors. Maternal distress reactions were correlated with girls' prosocial behaviors; maternal punitive responses were related to girls' prosocial and withdrawn behaviors. Maternal emotion-focused responses were associated with girls' aggressive behavior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girls' emotionality was not related to their withdrawn behaviors when maternal punitive responses were taken into account.

  • PDF

The Adjus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the Children Raised by Parents (조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행동문제에 대한 사회적지지 지각의 조절효과)

  • Lee, Jeong-Yi;Choi, Myung-Seo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8 no.2
    • /
    • pp.205-216
    • /
    • 2007
  •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of social support effects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compared with children raised by their parents were the revised Social Support Appraisal (Dubow & Ulman 1989) and the revised Children Behavior Criteria (Achenbach, 1991).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children raised by their parents, children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engaged in (1) more excessive, nervous and immature behavior; (2) were aware of less support of friends and family (3) When given a higher degree of support from friends they engaged more excessive and aggressive behavior and (4) They displayed counter-buffering effects, namely immature behavior when given higher family support.

  • PDF

Preschooler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유아의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 연구의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 분석)

  • Cho, Eun Ji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14 no.2
    • /
    • pp.137-147
    • /
    • 1993
  • 감정이입은 친사회적 행동의 잠재적 동기요인으로서 발달심리학자들 (e.g., Feshbach, 1978 ; Hoffman, 1975)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받아왔다. 어려움에 처한 다른 사람에 대해 감정이입적으로 자극된 사람은 상호 체험하는 심적 고통(distress)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기대에 의해서, 또는 지원적 행위 후에 대리체험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감정에 대한 기대에 의해서, 그 사람을 지원하도록 동기유발 되어질 수 있다(Barnett & Thompson, 1985; Hoffman, 1975).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긍정적 관계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그 관련성을 실증하는데 실패한 많은 연구들에서 나타난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들이 본 논문에서 분석되었다. 성인의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상당히 일관된 긍정적 결과를 제시해온 반면, 아동들, 특히 어린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 명백하거나 쉽게 해석할 수 있는 패턴의 관련성이 확립되지 못했다. 이러한 종전 연구에서의 문제점은 감정이입에 대한 개념적 논쟁 및 측정방법의 어려움에 기인할 수 있다.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실험적인 관련성의 강도는 이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들의 특성과 제한성에 다분히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친사회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어지는 다양한 상황적, 동기적 요소들을 감안하여,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이 구체적인 사회적 상황에서 작용되는 과정이 보다 면밀하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 PDF

EEG Sensing Application for Autistic Child Applied Behavior Analysis Therapy (자폐아를 위한 뇌파 감지 응용행동분석 어플리케이션)

  • Joo, Jin-Wan;Lee, Dae-Hwi;Kim, Su-Hyeo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993-996
    • /
    • 2015
  • 최근 미국에서 자폐 아동 비율의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된 미국 연구원들은 자폐 아동의 증가 원인이 임신 중독, 임신 합병증 등이 있으며 자폐증에 대한 인식 제고로 조기 진단을 받는 아동이 늘어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늘어나는 자폐아 수와 비례하여 미국에서는 재활 시설 수가 증가하는 것에 비해 한국에서는 자폐아의 치료에 대해 외면을 받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자폐증의 치료법 중 하나인 응용행동분석(ABA : Applied Behavior Anaylsis)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응용행동분석은 일대일로 대상을 관찰하는 섀도우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의 능력을 최대로 이끌어내고 최종적으로 자립된 생활을 하도록 도와주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보호자가 자폐아를 완벽히 보호 관찰하는 응용행동분석 치료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응용행동분석 치료법을 적용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촬영한 객체를 사진으로 확인함으로써 아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