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기행사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출생의례 및 아기행사에 대한 비교연구 (A Cross-Generational Comparison of Traditional Rituals Parenting to Childbirth and Early Childhood)

  • 민하영;유안진
    • 아동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56
    • /
    • 2003
  • In this comparison of observation of traditional childbirth and early childhood rituals, 118 you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2- to 2.5- years-old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most grandmothers, when they were young mothers, observed more of the traditional rituals than the young mothers in sample. That is, more grandmothers hung the Kum jul(tabb rope) and the baby's grandparents named the baby. The young mothers of this sample were more likely to employ a professional name giver, they telephoned their relatives to inform them of the birth, gave a banquet, took more souvenir of picture, and were given more monetary and other gifts at their's first birthday.

  • PDF

한국의 출생의례와 아기행사 풍속의 문화간, 세대간 비교 연구: 홍콩 및 미국의 할머니 세대와 어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fant Rearing Practices in Young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of Korea, Hong-Kong, and the United States)

  • 민하영;유안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5-6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infant rearing practices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and in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generations. The silbjects were young mothers(YM) with babies from 2 to 2.5 years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GM) in Korea(YM=118, GM=118), Hong Kong(YM= 126, GM=78) and the United States(YM= 105, GM= 105).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s on infant rearing practices that were constructed by child study specialists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by frequencies, percentages, and $\chi$$^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um-Jut was used to announce giving birth to relatives and neighbors only in Korea. Mothers in Korea were more helped in their recovery by their mother or mother-in-law than their husband, but the opposite was the case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Most Korean mothers ate special foods after giving birth, but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lates didn't. Mother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avoid contact with strangers for a given period of time than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The babies in Korea were more often named by grandparents than by parents, but most of the babie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were named by parents. The greater part of babies in Korea didn't have childhood names or nick names, but most babie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 2. Mother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give a banquet, exercise Dol Jab le, share foods with neighbors, and take souvenir pictures on the baby's first birthday than mothers did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Most mothers in Korea tended to think that their baby's fiyst birthday was more meaningful than the other birihdays, but most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n't. 3. Some differences between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generations in infant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in each culture.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 Ji, Yoon-Young;Hong, Na-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