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싱가폴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94 seconds

서소용의 "에너지"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12 s.70
    • /
    • pp.16-21
    • /
    • 1988
  •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폴 등 아시아의 서소용으로 일컬어지는 이들 4개국의 경제발전이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다음은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의 등기성소씨가 ${\ulcorner}$원자력분화${\lrcorner}$지 11월호에서 대담형식으로 이들 국가의 특징, 경제를 뒷받침하여온 에너지의 실상, 장래 예측 등에 대해 소개한 내용이다.

  • PDF

과하중 업체 입주 아파트형 공장 구조물의 문제점 조사연구

  • 이종렬;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51-156
    • /
    • 1999
  • 싱가폴등 경쟁력 있는 아시아 국가에서 이미 정책 육성 된바있는 아파트형 공장은 9층 높이 규모로 도심이나 도심근교의 경제적 집약적 중소규모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도 94년도 입주되기 시작하여 98년도 현재 전국적으로 67개소에 수많은 업체들이 입주해 있으며 이중 약 50%는 S 시에 집중되어 있다. (중략)

  • PDF

품질인증제도의 정책방향

  • 윤교원
    • 월간 기계설비
    • /
    • s.66
    • /
    • pp.45-51
    • /
    • 1996
  • 설계 생산 및 서비스 등 일련의 산업활동을 최적상태로 유지와 관리가 가능한 ISO 9000 인증제도는 품질보증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으로 세계 76개국에서 국가 규격으로 채택 운영중에 있으며, 동남아(싱가폴)와 중동 및 일본의 건설성은 96년부터 공공공사 입찰 참가자에 대하여 ISO 9000 인증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렇듯 품질보증체제가 새로운 무역상 기술장벽으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사전 대비책이 필요하다.

  • PDF

싱가폴 방산기술동향과 경제개발청 (EDB)

  • Lee, Hae-Mi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136
    • /
    • pp.52-63
    • /
    • 1990
  • 오늘날 싱가포르를 방문하게 되면 EDB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의 흔적을 어느 곳에서나 볼수 있다. EDB는 1960년대 후반에 싱가포르 산업의 역군으로서 수출지향형 국제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제 싱가포르는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국제무역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국가로 성장하였다. 싱가포르내에 투자를 하여 기업을 영위하고 있는 내국법인이든 국제기업이든 모두 EDB의 커다란 도움을 받고 있다. 설립한지 29년이 되는 EDB는 이제 청년기를 맞고 있다

  • PDF

총력국방을 지향하는 대만(2)

  • Yun, Jae-Gap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43
    • /
    • pp.50-57
    • /
    • 1991
  • 대만의 군사력은 생존권 보장을 위한 최선의 방안인 동시에 경제성장과 정치.사회적 안정 및 국제외교상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대만은 싱가폴,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등과 군사적 유대관계를 공고히 다져나가고 있으며, 필리핀도 대만과의 군사협력을 희망하고 있다. 대만 군사외교의 또다른 측면은 무기판매에 있다. 필리핀, 인도네시아등 중아시아 및 남미국가들은 저렴하고 우수한 대만 방산장비에 대한 주요 고객들이다. 또한 사우디와의 군사적 유대관계는 최첨단 무기체계에 접근할수 있는 잇점을 주고 있다

  • PDF

1990년대로 진입하는 우리나라 방위산업의 진로

  • Hwang, Dong-J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31
    • /
    • pp.32-45
    • /
    • 1990
  • 한.미간의 방산협력은 한.미 방산회의를 잘 활용하여 양국업체간 직접협력체제를 강화한다. 또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등 유럽 방산 선진국들은 미국보다 기술이전에 대한 규제가 약하다. 이들 방산업체들은 방산수출에 적극적이므로, 우리의 무기체계수요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방산기술이전 및 생산협정을 추진하도록 한다. 이와함께 미국을 주축으로 하여 한국, 일본, 싱가폴, 태국, 호주, 인도네시아등 아시아 태평양지역 국가들이 무기생산 협력체제 구축을 모색할수 있도록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 PDF

스마트 해상 물류 분야 선진 국가의 정책 및 시사점

  • Kim,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5-105
    • /
    • 2019
  • 전세계적으로 스마트 항구 및 스마트 해상물류 시장의 패권을 장악하고자 EU, 싱가폴, 일본, 중국 등 범국가적으로 스마트 물류(해운, 내륙, 항공) 생태계 촉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이에 각 국의 스마트 해상물류 정책 동향과 향후 기술 개발 방향성을 전체적으로 조사하고 시사점을 공유하고, 특히,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만청와 로테르담 시는 전 세계 항만 시설 중에서도 체계적인 전략과 방법으로 혁신적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빠른 속도로 만들어 나가고 있기에 스마트 해상물류와 연관된 로테르담 항구의 혁신 (Innovation) 전략과 디지털화 (Digitalization)를 중심의 정책 현황과 ICT기술의 적용 전략과 주요 프로그램을 소개함.

  • PDF

FTA 협상, 농업부문의 대응 방향을 말한다

  • 배상두
    • Feed Journal
    • /
    • v.3 no.5 s.21
    • /
    • pp.73-78
    • /
    • 2005
  • FTA지각생으로 불리던 우리나라도 FTA추진 논의가 활발하다. 작년 2월 FTA국회 비준 이후 싱가폴, 일본, ASEAN, EFTA 등 여러나라와 FTA관련협상을 추진 중이며 싱가폴의 경우에는 작년 11월 ASEAN +3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정상이 사실상 협상타결을 선언하였다. 종전에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자유무역협정(FTA), 지역무역협정(RTA), 특혜무역협정(PTA) 지역주의 등 명칭은 다양하지만 FTA로 대표되는 지역주의를 다자간 자유무역체제의 보완적인 통상정책수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FTA추진이 WTO 체제를 보조하는 통상정책수단이라기 보다는 WTO로 대표되는 다자간교역질서와 병립하는 통상질서로 보는 추세가 점점 나타나고 있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FTA를 통하여 개방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은 있으나 FTA의 추진시 농업 등 취약산업의 구조조정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글에서는 FTA가 WTO로 대표되는 다자간 무역체제와 구분되는 특징과 최근 국제적인 FTA추진동향을 짚어보고 우리나라의 FTA추진 현황과 문제점 특히, 우리나라가 제일 먼저 추진한 한$\cdot$칠레FTA 관련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최근의 FTA추진이 우리나라 농업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간략하게 평가하고 FTA추진에 대한 대응방안을 이야기 하는 순서로 글을 전개하고자 한다.

  • PDF

Wind Mapping of Singapore Using WindSim (WindSim을 이용한 싱가폴 바람지도 작성)

  • Kim, Hyun-Goo;Lee, Jia-Hua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20 no.7
    • /
    • pp.839-843
    • /
    • 2011
  • We have established a wind map of Singapore, a city-state characterized its land cover by urban buildings to confirm a possibility of wind farm development. As a simple but useful approximation of urban canopy, a zero-plane displacement concept was employed. The territory is divided into 15 sectors having similar urban building layouts, and zero-plane displacement, equivalent roughness height at each sector was calculated to setup a terrain boundary condition. Annual mean wind speed and mean wind power density map were drawn by a CFD micrositing model, WindSim where Changi International Airport wind data was used as an in-situ measurement. Unfortunately, predicted wind power density does not exceed 80 $W/m^2$ at 50 m above ground level which would not sufficient for wind power generation. However, the established Singapore wind map is expected to be applied for wind environment assessment and urban planning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