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십대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upturing in the Plaza: Teens in the Candle Demonstrations (광장에 균열내기 촛불 십대의 정치 참여에 대한 문화적 해석)

  • Kim, Ye-Ran;Kim, Hyo-Sil;Jung, Min-W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2
    • /
    • pp.90-110
    • /
    • 2010
  •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youth‘s politico-cultural process of identification as becoming in the context of candle demonstration in Seoul, 2008. We examine their ethical subjectivity, communicative subjectivity and political subjectivity based on our analysis of depth interviews of teenage activists in the candle demonstrations. It is suggested that instead of naming the teens as the historical consequence of so-called 386 generation, or social product in the neo-liberal economic and educational conditions,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and dynamics of the youth’s practice of identity politics: subjective pain and anxiety in daily life, creation and sharing of pleasure and fun of peer group comunication are mixed into the pursuit of justice in their social activation of generation/gender politics.

  • PD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upporting Systems for Single Teen Mothers(never married) in the U. S. A. and Suggestions for Korean teen mothers (십대 미혼모를 위한 미국의 사회복지 체계와 서비스 그리고 한국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Nam, Bu-Hy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7 no.1
    • /
    • pp.103-135
    • /
    • 2010
  • 미국사회는 미혼모들의 문제를 개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 문제로 인식하므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 그리고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여 이들이 스스로 자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왔다. 특히 십대미혼모들은 학교를 중퇴하고 직업을 갖지 못하며 빈곤한 환경에서 아이를 키우기 때문에 심리적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다. 이들에 대한 서비스는 국가적으로 미혼모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까지도 돌보는 것으로 가정과 사회의 안정을 가져오며 인적자원을 잘 보존하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도 현대화/산업화된 사회로 발전하며 청소년들의 문제가 특히나 십대 미혼모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상황을 분석하고 미국의 복지 정책,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들을 이용한 서비스들을 살펴보고 한국에 적용 가능한 복지프로그램과 지원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의 미혼모를 위한 대안 학교차원의 교육/직업훈련/부모교육 등과 가족지원프로그램은 미혼모뿐만 아니라 사회와 가족이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며 프로그램이므로 한국사회에 적용하면 효율적으로 미혼모들의 어려움과 사회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자원봉사의 서비스 체계가 미혼모를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면 미혼모들은 믿고 따를 수 있는 롤 모델을 갖게 되며 국가적으로는 인력의 활용과 자원 절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actors Affecting Sexual Behavior of School Teenagers in Havana, Cuba (쿠바, 아바나 청소년의 성행동 관련 요인)

  • Sanchez, Maybin Herrera;Lee, Ga Ram;Diego, Edith Contreras;Molina, Ruben de Armas;Nam, Eun Woo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21 no.1
    • /
    • pp.47-60
    • /
    • 2020
  • 서론: 청소년기는 여러 생물학적 변화 및 사고방식의 발전과 함께 성행위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인간성장의 단계이다. 쿠바를 포함한 많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청소년들의 성관계 조기 시작과 같은 위험한 성행동을 보고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인구 통계학적 요소, 정보 수단 및 쿠바의 십대 학생의 성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요소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쿠바 십대들의 생식 및 성적 행동 경향 파악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260명 중 성경험 여부에 응답한 232명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파악과 성 관련 정보수집수단, 행동적 요인과 성행동 사이의 연관성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6.9세이고 대다수는 여성(64.2%)이었다. 232명 중에 45.3%는 무신론자, 31.2%는 유신론자이었다. 종교의 중요도에 대한 생각은 39.2%가 종교가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했고 34.0%는 중요하다고, 14.0%는 종교가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232명 중 80.5%의 십대들이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첫 성관계 평균 연령은 14.65세였다. 피임약을 사용한 비율은 63.8%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 성별은 성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남성은 여성보다 성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3.8 배 더 높았다. 또한, 종교는 성관계와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나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가 한 살 많아질수록 성관계 가능성은 2.29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성 관련 정보수집수단과 관련하여 친구와 학교의 성교육 커리큘럼이 청소년들의 성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결론: 쿠바 십대들의 연령과 성별은 성행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쿠바의 십대들은 친구와 학교로부터 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므로 학교에서 보다 종합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의 십대들의 성행동 문제를 다룰 때 영향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Unmarried Teenage Mothers (십대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 경험)

  • Jeong, Kyung-Soo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14 no.2
    • /
    • pp.186-19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unmarried teenage moth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programmes to prevent unplanned pregnancies in unmarried teenage mot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7 unmarried teenage mothers who lived in shelters in D city, and whose ages ranged from 15 to 19 years. Data gather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3 to 5 times, was done from August 2002 to September 2003. Data were analyzed with Colaizzi's(1978)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The implication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for unmarried teenage mothers were "Seem to live in hell", "Desire for a miscarriage", "Lethargy", "Feel maternity", "Feel unjustified", and "Change of sexual percep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unmarried teenage mothers and can be used as sexual education information to help unmarried teenage mothers to prevent further unplanned pregnan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