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한 치주질환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당뇨인을 위한 병원 탐방 - 치주질환 치료로 혈당도 잡아보세요! - 당뇨전문치과 강남 이롬치과 -

  • Hong, Ji-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10
    • /
    • pp.64-66
    • /
    • 2007
  • 많은 당뇨병환자가 눈, 혈관, 발에 합병증이 생기 않도록 혈당조절을 포함해 많은 신경을 쓰는 반면,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상실이나 염증 등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방치한다. 나이가 들면 으레 치아가 빠지는 것이려니, 잇몸이 안 좋아지는 것이려니 하고 넘어가는 것이다. 당뇨병환자가 혈당조절을 하기위한 요소 중 식사요법이 중요한데, 치주질환을 방치해 치아가 빠지거나 잇몸 염증이 심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가 없어 혈당관리가 어려워진다. 또한 치주질환으로 치료를 받고자 해도 일반 치과에서 받기에는 '당뇨'가 걸리고, 그렇다고 종합병원으로 가기에는 절차가 다소 복잡하기도 하다. 이에 한 치과에서 당뇨인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치주질환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당뇨치아클리닉을 개설해 찾아가보았다.

  • PDF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periodontitis using immediate loading after computer aided flapless implant surgery (심한 치주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computer aided flapless surgery와 즉시 부하를 통한 전악 구강 회복 증례)

  • Kang, Seong hun;Choi, Yeon jo;Ryu, Jae ju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4 no.1
    • /
    • pp.46-55
    • /
    • 2018
  • Oral rehabilitation of a patient having severe periodontitis with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periodontal inflammation presents a challenge to clinicians. However, if appropriate implant placement according to the bone shape is selected, unnecessary bone grafting or soft tissue surgery can be minimized. In recent years, using cone beam CT and software, it has become possible to operate the planned position with the surgical guide made with 3D printing technology. This case was a 70 years old female patient who required total extraction of teeth due to severe periodontitis and performed a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an implant - supported fixed prosthesis. During the surgery, the implant was placed in a flapless manner through a surgical guide. Immediate loading of the temporary prosthesis made by CAD/CAM method before surgery was done. Since then, we have produced customized abutments and zirconia prostheses, and have reported satisfactory aesthetic and functional recovery.

Interrelationship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nd $TNF-{\alpha}$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을 가진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와 $TNF-{\alpha}$ 의 발현 양상 비교)

  • Kim, Doe-Heun;Park, Eei-Kyun;Shin, Hong-In;Cho, Je-Yeol;Suh, Jo-Young;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409-425
    • /
    • 2006
  • 치주질환의 병원균은 세포벽의 항원에 의하여 조직내 존재하는 mononuclear phagocytes가 활성화되어 cytokine들이 생성됨 으로써 치주 결체조직의 파괴를 진행시킨다. 이런 관련된 cytokine들은 순차적으로 상주하는 치은세포 및 대식세포가 Matrix metalloproteinase 합성을 하도록 유도하여 조직파괴를 시작한다. 이들 Matrix metalloproteinase중 MMP-2, MMP-9 (Gelatinase A,B)는 type IV collagen 및 변성된 interstitial collagen을 파괴하며 치주환자의 치은 열구액, 치은조직, 타액 네에서 높게 보고 되어왔다. 당뇨병은 치주질환의 위험요소중 하나로 달뇨 환자에서는 치주질환의 유병율이 일반인에 비해 높고 치주질환의 중증도도 더 심하여 진행도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그 병리 기전 중 하나로는 당뇨 환자에서는 치은 열구액 내 중성구 유래의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증가 및$TNF-{\alpha}$ 의 활성 증가가 추정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및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매개체 중 하나인 MMP-2, MMP-9 및 $TNF-{\alpha}$ 의 발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서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 및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건강한 부위(n=8,Group 1),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으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n=8,Group 3)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MMP-2, MMP-9 및 $TNF-{\alpha}$ 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 실험군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비당뇨 환자들의 만성 치주염 부위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모두 건강 대조군에 비해 MMP-2와 MMP-9 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또한 MMP-2와 MMP-9는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가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보다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였으며, $TNF-{\alpha}$ 발현 비교시 각 군간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으나 2형 당뇨환자군에서 MMP-2 및 MMP-9의 증가와 함께 다소 증가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MMP-2 및 MMP-9의 증가가 만성 치주염 및 2형 당뇨 환자에서의 만성치주염에서 비당뇨환자 보다 MMP-2, MMP-9의 증가양상을 보여 주었으며 $TNF-{\alpha}$ 가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진행과정에 기여인자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esin-Bonded Splint와 직접 복합레진 비니어를 이용한 전치의 심미적 수복

  • 김현경;조영곤
    • Proceedings of the KACD Conference
    • /
    • 2002.05a
    • /
    • pp.318-319
    • /
    • 2002
  • 심미적으로 고안된 resin-bonded splint와 직접 복합레진 비니어 수복의 병행은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한 심미적인 불편감과 기능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증례에서 적절히 사용된다면,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다소 해결재 줄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linical Report by using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on a few remaining teeth with severe periodontal disease (치주적으로 불리한 소수 잔존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 Seo, Jang-Won;Lee, Cheong-He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7 no.1
    • /
    • pp.24-30
    • /
    • 2019
  • The successful results of the treatment using a double crown denture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papers for some of the few remaining teeth in patient. In particular, double crown dentures may be an alternative to treatment in cases where the periodontal status is poor and clasp type removable partial dentures are inappropriate (crown/root ratio > 1). In this case, the patient visited clinic with a chief complaint of difficulty in mastication due to loss of posterior teeth and overall teeth mobility. After teeth with severe periodontitis were extracted, treatment plan of mandible is Kennedy class I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and treatment plan of maxilla is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with a friction pin. Patient is well adapted after the prosthetic treatment and we report due to achieving satisfactory results in pronunciation, mastication, retention and aesthetics.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lipid and Periodontitis in Korean Men and Women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한국인 남성과 여성의 혈중지질과 치주염의 연관성에 관한 융합적 고찰 -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 Lee, Seyoung;Sim, Seon-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
    • /
    • pp.111-118
    • /
    • 2021
  •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2016-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blood lipid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men and women, and selected the final 11,797 people as subjects of analysis. A stratified analysis of smoking and residential areas was conducted to see the link between blood lipid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men. In men, non-smok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1.38(95% CI:1.09-1.76), and in men, the risk group had a odds ratio of 1.49(95% CI:1.16-1.91), and in smokers, the risk group had odds ratio of 1.76 (95% CI:1.39-2.23) shows that the warning group is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intersecting ratio 1.14(95% CI:1.16-1.70) and the risk group 1.60(95% CI:1.32-1.94) periodontal disease. In conclusion, men's blood lipids and periodontal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smoking or residential areas, and are especially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systemic and periodontal diseases for men in urban areas. I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men in urban areas in the future, we want to use them as basic data.

The effect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lipopolysaccharide on rat periodontal tissue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가 백서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Chong-Cheol;Cui, De-Zhe;Kim, Young-Jo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297-310
    • /
    • 2007
  • 치조골 흡수는 파골세포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의한 골의 무기질과 유기질의 파괴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세균성 산물, 주로 내독소는 치은조직 내에서 염증세포의 유주, 사이토카인 생산, 조직파괴 효소 분비 및 파골세포 활성 등의 국소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A. actinomycetemcomitans는 급진성 치주염의 원인 균주중 하나로 그 내독소는 치조골의 흡수와 관련된다. MMP-13은 세균성 산물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며,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MMP-13이 치주질환의 진행과 골 흡수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와 MMP-13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에 의한 MMP-13의 발현과 파골세포 형성을 세포배양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백서 구개부 치은에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하여 흡수가 진행되고 있는 치조골에서 파골세포의 분화와 MMP-13의 발현을 TRAP 염색,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MP-13 mPNA의 발현은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1ug/ml)로 24시간 자극한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생리식염수로 자극한 세포에 비하여 약 2.6배 증가하였으며 마우스 대식세포에서는 TRAP 양성 세포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한 백서 치주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 더 심한 골소실을 보였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과 대조군 모두 치조골에서 관찰되었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으며,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다. MMP-13 면역양성 반응은 치주염군에서 거친 골연을 갖는 치조골상에 배열된 조골세포와 그 인접한 치주인대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MMP-13 면역 양성 반응이 치조골 표면에서만 일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속가 MMP-13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파골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치조골의 흡수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또한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투여에 의한 실험적 모델은 백서에서 중등도의 골 소실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모델로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Effects of Periodontal Diseas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 Focus on Personal Income and Social Deprivation (치주질환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지역결핍과 개인소득을 중심으로)

  • Kim, Min-Young;Shin, Hos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7 no.4
    • /
    • pp.375-381
    • /
    • 2017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between personal income and social depriv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nd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used 12 years of cohort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overing the years 2002 to 2013. Among the patients aged more than 40 years who had received treatment for periodontal disease 224,067 and 284,730 who had not received treatment for hypertension and stroke, respectivel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Kaplan-Meier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ate of treatment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ccording to regional differences, the rate of treatment increased as the composite deprivation index value increased. The difference in treatment rates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stroke) according to incom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with low income.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varies depending on personal income and the regional socioeconomic deprivation level. This shows that the clinical influence of periodontal illness on systemic disease differs according to the perso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residential area and that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 (income and the regional) needs to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patient's clinical intervention in the disease treatment process.

The comparison of 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s from huma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환자의 만성 치주염 치은조직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양상 비교)

  • Joo, Sang-Don;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353-369
    • /
    • 2007
  • Gingival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during periodontal surgery or tooth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 clinical criteria of gingiva, each gingival sampl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n=8) is clinically healthy gingiva without bleeding and no evidence of bone resorption or periodontal pockets, obtained from systemically healthy 8 patients. Group 2 (n=8) is inflamed gingiva from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Group 3 (n=8) is inflamed gingiva from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and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The quantification of $IL-1{\beta}$, MMP-13 and TIMP-1 were performed using a densitometer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 test. 1. The expressions of MMP-13 and TIMP-1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2 & 3 compared to group 1. 2. The expressions of $IL-1{\beta}$ & MMP-13 were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3. As $IL-1{\beta}$ levels were increasing, MMP-13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and although $IL-1{\beta}$ , MMP-13 levels were increasing, TIMP-1 levels were similar expressed comparing to group 2.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3 and TIMP-1 had increasing tendency in inflamed tissue. It can be assumed that $IL-1{\beta}$ and MMP-13 may be partly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periodontal inflammation associated to type 2 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