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방중격결손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초

부분방실중격결손증에 대한 외과적 교정의 장기 결과 (Long-term Results of Surgical Correction for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s -Seventeen-year Experience -)

  • 이정렬;박천수;임홍국;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11-920
    • /
    • 2003
  • 본 연구에서 지난 17년간 경험한 부분방실중격결손증의 외과적 교정술의 장기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부분방실중격결손증으로 외과적 교정술을 시행 받은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사망률, 생존율 및 그 위험인자를 분석하고, 추적관찰 기간중 재수술과 관련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남자 환자가 32명 여자 환자가 61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연령의 중앙값은 68개월(3∼818개월)이었고 평균추적관찰기간은 108$\pm$59.4개월(1∼200개월)이었다. 결과: 조기사망은 4예로 수술 사망률은 4.3%였다. 사망원인은 발작성 폐동맥고혈압증 1예, 저심박출증 1예, 심부전에 의한 심폐기이탈실패 1예, 심실세동 1예였고, 사망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없었다. 조기사망한 환자 4명을 제외한 89명의 환자를 추적 관찰하였고, 1예에서 만기사망을 확인하였다. 3년, 5년, 10년, 15년 생존율은 각각 95.7%, 94.3%, 94.3%, 94.3%였다. 수술 직후 63명(67.7%)의 환자에서 좌측 방실판막폐쇄부전이 개선되었고, 14명(15.1%)의 환자에서는 술 전과 같았고, 12명(12.9%)에서는 악화되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8명(9.0%)의 환자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완전 교정술 후 평균 38.6개월(3∼136개월) 후 시행되었다. 3년, 5년, 10년, 15년 무재수술 생존율은 각각 94.0%, 91.4%, 91.4%, 88.2%였다. 재수술의 원인으로는 좌측 방실판막페쇄부전이 7예, 좌심실유출로협착이 2예, 잔존심방중격결손 1예, 좌측 방실판막협착 1예, 우심부전 1예였고, 재수술과 관련하여 좌심실 유출로 협착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p=0.002). 10명의 환자에서 술 후 부정맥이 발생하였는데, 3명의 환자에서 상심실성 부정맥, 7명의 환자에서는 완전 방실전도차단이 발생하였고, 이 중 6명의 환자에서 영구 인공심박조율기의 삽입이 필요하였다. 걸론: 부분방실중격결손증은 낮은 사망률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좌측 방실판막페쇄부전이 가장 많았다. 방실판막구조물의 기형이 동반된 경우 재수술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또한, 술후 좌심실유출로협착여부가 재수술의 위험인자였으므로 좌측 방실판막 및 좌심실 유출로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좌심실유출로협착은 발생시 대동맥하부의 조직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나 재발 가능성이 크고, 필요시 수정 Konno수술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방실전도차단은 초기시행단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심장 전도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와 경험축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AESOP 3000을 이용한 흉강경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Thoracoscopic Aortic Valve Replacement assisted with AESOP (Automated Endoscope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 3000)

  • 신홍주;김희중;주석중;송현;정철현;송명근;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507-509
    • /
    • 2005
  • 우측 개흉술을 통한 개심술은 심방중격 결손증, 승모판막 질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에 본원에서는 AESOP 3000을 이용하여 흉강경적 심방중격 봉합술, 승모판막 성형술, Maze 수술, 최소침습적 관상동맥 우회술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흉강경을 이용한 대동맥 판막 치환술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본원에서는 31세 여자 환자에게서 AESOP 3000을 이용한 흉강경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 1예 보고 (Congenital Polyvalvular Disease; Report of A Case)

  • 김정원;민경석;윤태진;서동만;윤소영;김영휘;고재곤;박인숙;김규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26-629
    • /
    • 2001
  • 선천선 다발성 판막질환(Congenital Polyvalvular Disease)은 결체조직의 이상으로 인해 한 개 이상의 심장판막에 비정상적 기형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질환은 제 18번 또는 13∼15번 삼염색체 증후군에서 자주 관찰되며, 심실중격결손증, 동맥관 개존증 등의 심장기형을 동반하기도한다. 환아는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우심방내의 종괴가 발견되었고, 출생 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삼첨판위의 혈종 또는 점액종이 의심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다. 종괴는 삼천판막의 전판막첨과 중격판막첨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고 병리학적 검사에 불규칙하게 두꺼워지고 결절화되어 있었으며, 석회화와 골화의 소견을 보였다. 태아의 산전 심초음파 검사에서 판막에 석회화 소견이 관찰될 때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도 염두에 두어야 할 의미 있는 소견이라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 1예를 경험하여 이의 임상 및 조직소견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성인 선천성 심장기형의 개심수술 (Open Heart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in Adult)

  • 구본원;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940-944
    • /
    • 1996
  • 경북대학교 병원에서는 1990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그 연령이 15세 이상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 를 수술적 치료로 교정하였다 이 기간동안 총 628례의 선천성 심장병 환자중 22.4%인 143명이 성인 환자였다. 그중 10대가 23례, 20대가 58례, 30대가 34례, 40대가 18례, 50대가 10례였다. 가장 많은 질환은 전체의 51.1 % (73례)를 차지한 심방중격결손이었고, 39.9 % (57례)의 심실중격결손, 2.8 % (4례)의 활로씨 4징후순이었다. 술후 합병증은 10례 (6.9 %)에서 있었고 수술 사망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성인에 있어서 수술이 가능한 예의 빈도를 알수 있었으며,이러한 경우에는적은수술 사망과 술후 합병증으로 수술이 가능하였다.

  • PDF

심혈관 수술 459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459 Cases of Cardiovascular Surgery)

  • 류한영;정태은;박이태;한승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01-110
    • /
    • 1988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84년 4월부터 1988년 9월까지 459예의 심장혈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하여 다음과 같은 성석을 얻었다. 1. 전 459예중 개심술이 355예였고 비개심술이 104예였다. 2. 환자의 연령은 최저 생후 1일에서 최고 65세까지였다. 3. 남녀비는 1:1.3으로 여자에서 조금 많은 분포를 보였다. 4. 개심술중 선천성 심장질환이 270예, 후천성 심질환이 85예로 선천성 심질환이 월등히 많았다. 5. 선천성 심장혈관 질환중 심실중격결손증이 38.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동맥관개존증, 심방중격결손증, 활로씨 사증후군, 폐동맥 협착증의 순이었다. 6. 수술후 합병증은 60예에서 관찰되었으나 전예에서 경쾌퇴원하였다. 7. 술후 사망은 전체 심장혈관 질환 459예중 15예로 3.3%를 보였고 개심술로 인한 사망은 355예중 14예로 3.9%였다.

  • PDF

개심술 111예에 대한 임상적고찰 (Clinical Analysis of Open Heart Surgery -A report of 111 cases-)

  • 이철주;정태은;이동협;강면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215-219
    • /
    • 1986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6년 한해동안 111예의 개심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전 111예중 선천성 심질환이 88예로 79.2%를 차지했고 후천성 심질환은 23예로 20.8%를 차지했다. 2. 환자의 연령은 선천성 심질환의 경우 생후 5개월에서 52세까지였고 후천성 심질환의 경우 14세부터 55세까지였다. 3. 남녀의 비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모두 남자가 1.3배 많았다. 4. 선천성 심질환 88예중 심실중격결손증이 45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심방중격 결손증으로 16예였고 활로씨 4증후군이 14예였다. 5. 후천성 심질환은 심장판막질환이 대부분으로 23예를 차지했고 1예가 해리성대동맥류이었다. 6. 수술사망은 선천성 심질환에서 2예 후천성 심질환에서 1예로 총 사망율은 2.7%였다.

  • PDF

Noonan 증후군에 동반된 DCRV와 심방중격결손증 -1례 보고- (Noonan Syndrome with Double-Chambered Right Ventricle and Atrial Septal Defect -1 Case Report-)

  • 박영우;이석열;정윤섭;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419-421
    • /
    • 2000
  • Noona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typical facies, congenital heart defect, and some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Turner syndrome, but with normal chromosomes.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cardiac defects are pulmonary valvular stenosis and strial septal defect. We experienced a case of Nonan syndrome associated with pulmonay valve stenosis with double-chambered right ventricle and atrial septal defect and cryptorchidism. Pulmonary valvotomy was done through transannular incision. Hypertrophied muscle bundles were excised. Atrial septal defect was closed directly. RVOT was reconstructed with pericardial transannular patch. Orchiopexy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out any problem.

  • PDF

부분 폐정맥 환류이상과 심방중격 결손증을 동반한 삼중방심의 치험 1례 (Cor Triatriatum Associated with Atrial Septal Defect and Parti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Report of A Case)

  • 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440-445
    • /
    • 1985
  • Cor triatriatum is a variant of abnormal connection between the pulmonary vein and true left atrium, which is separated from accessory left atrium receiving pulmonary venous blood flow by fibromuscular diaphragm. Usually it is diagnosed after operation because difficulty in visualization of the diaphragm by conventional diagnostic tools. We experienced a rare entity of congenital heart disease diagnosed as car triatriatum with atrial septal defect and parti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after completing operation, which was diagnosed as ASD with PAPVR preoperatively. Anomalous right pulmonary venous opening was located at right atrium, secundum type defect of atrial septum was present, and dual chambered left atrium without connection was also seen. Excision of the diaphragm and wide patch repair of ASD including right pulmonary vein were performed with good postoperative results. Herewith,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이차공형 심방중격결손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ostium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 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07-613
    • /
    • 1984
  • Thirty seven patients with ostium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operated from January, 1976 to September, 1984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given clinical assess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Ostium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was comprised of 18% of congenital heart disease. Their mean age was 15.7\ulcorner.42. Sex ratio [male:female] was 1:1.1. 2.Most frequent clinical symptom was dyspnea on exertion occurred in 26 patients [76.5%]. Only one patient had no symptom [2.9%]. 3.Pre-operative EKG findings revealed RVH in 61.8%, ICRBBB in 29.4%, and RAD in 41.2%. 4.Mean value of systolic pulmonary arterial pressure in patients over 20 years old was 37.8\ulcorner4.4mmHg and it was 28.1\ulcorner10.2mmHg in patients under 20 years old, bu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In large defect group [>3cm in diameter], Qp/Q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small defect group [<3cm in diameter], but systolic pulmonary arterial pressure and Rp/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6. Overall operative mortality was 5.4%.

  • PDF

직접봉합으로 치료한 단독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증 156례 보고 (Clinical Study of 156 Cases of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closed by Direct Suture)

  • 송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335-339
    • /
    • 1995
  •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occupies about 10 to 15% of congenital heart diseases, and the surgical accomplishment is outstanding, so that the operative mortality is getting near to zero percent. But, the methods of correction, direct closure versus patch closure are still controversial and there is no absolute method about it. Some surgeons prefer direct closure technique for its simplicity and lesser thrombogenicity but others, afraid of arrhythmia and suture detachment after closure of large defect, prefer patch closure. Usually most surgeons use direct suture technique in small and moderate sized defects and patch closure in large defects. In our hospital, 156 cases of isolate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were closed directly by double continuous over and over suture using 5-0 polypropylene[prolene , regardless their sizes and the amounts of shunt flow. There were no operative mortality and n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heart block, suture detachment and embo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