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방절개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Cox-Maze III 술식의 변형 (Modification of the Cox-Maze III Procedure)

  • 김기봉;허재학;장지민;이정상;안혁;손대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863-868
    • /
    • 2000
  • 배경: Cox-Maze III (CM-III) 술식은 복잡한 심방 절개로 인한 긴 수술시간 때문에 다른 개심 수술과 병행하여 시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CM-III 술직을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시행하고 그 임상성적을 분석하였다. \circled1 좌심방이를 절제하는 대신 좌심방이를 외부에서 결찰하고, \circled2 폐정맥 분리 절개선과 좌심방이 사이에 냉동절제술을 시행하며, \circled3 우심방이를 절제하는 대신에 우심방 외측 절개선을 우심방이까지 연장하고, \circled4 후종 우심방 절개 하부에서 우심방 외측을 지나 삼첨판막륜으로 향하는 T-자 절개선을 생략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변형 술식의 용이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빈도가 높은 류마치스성 승모판막 질환에서, 전통적인 Cox-III 술식(그룹 I)의 임상결과와, 변형된 CM-III 술식(그룹 II)의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그룹 I(n=18)에서 동반된 수술은 승모판막 치환술 10례, 승모판막 성형술3례, 승모판막 치환술과 삼첨판막륜 성형술3례, 승모판막 재치환술 2례 등이었다. 그룹II(n=23)에서 동반된 수술은 승모판막 치환술 7례, 승모판막 성형술 5례, 승모판막 치환술과 삼첨판막륜 성형술 1례, 승모판막 재치환술 10례 등이었다. 그룹 I과 그룹 II에서 평균 대동맥 차단 시간(ACC)은 각각 135$\pm$29분과 104$\pm$18 분, 심패바이패스(CPB) 시간은 각각 240$\pm$33분과 185$\pm$42분이었다. 그룹 I과 그룹 II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47$\pm$14 개월과 29$\pm$4 개월이었다. 그룹 I에서는 16례(88.9%)에서 정상 동율동으로 회복되었고 1례에서 심방세동이 남아 있었으며, 다른 1례는 서맥증후군(sick sinus syndrome)으로 인공 심박조율기를 삽입하였다. 그룹 II에서는 21례(91.3%)에서 정상 동율동으로 회복되었고 2례는 심방세동이 지속되었다. 그룹 I에서 정상동율동으로 회복된 16례는 100%(16/16)에서 우심방의 수축을 심장 초음파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좌심방의 수축은 75%(12/16)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룹 II에서는 정상 동율동으로 회복된 21례 중 100%(21/21)에서 우심방의 수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좌심방의 수축은 76.2%(16/21)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변형 CM-III 술식은 전통 CM-III 술식에 비하여 ACC time(p<0.005)과 CPB time(p<0.001)을 의미있게 줄이면서도 필적할 만 한 정상 동율동 전환율과 심방 수축력의 회복을 보여주었다.

  • PDF

Dome 접근법을 이용한 승모판막 수술 (Mitral Valve Surgery Via Dome of the Left Atrium)

  • 최용선;류상완;홍성범;박종춘;김상형;안병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722-725
    • /
    • 2004
  • 승모판막의 수술 시 승모판막에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심방간 구(interatrial groove)를 따라 좌심방 절재를 통하거나 우심방을 절개한 후 타원오목(fossa ovalis)의 하변에서 심방중격을 절개하여 접근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행 대동맥과 상대정맥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좌심방 Dome을 통해 승모판막으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비록 30년 전 좌심방 Dome을 통한 접근방법이 소개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저자들은 최근 승모판막 수술 시 좌심방 Dome을 통한 접근방법으로 효과적인 수술을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을 통한 승모판 수술의 80례 임상 분석 (Clinical Study of 80 Cases of Mitral Valve Operations Via Extended Transseptal Approach)

  • 김학제;황재준;최영호;손영상;김욱진;김태식;김현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37-1042
    • /
    • 1998
  • 연구배경 : 승모판의 노출을 위한 여러 접근방식 중,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은 다른 방법에 비하여 쉽고 빠르게 승모판막에 접근할 수 있으며 모든 판막구조물의 노출이 잘 되어 월등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혹자는 광범위한 절개 및 동방결절 동맥의 손상으로 치명적인 부정맥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여 이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고 반론을 재기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재료 및 방법 : 따라서 본 교실에서는 1992년 9월부터 1997년 7월까지, 모두 80명의 환자에서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을 적용한 후, 어떠한 장·단점이 있나 알아보고 수술후 심장율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 78명의 환자가 승모판 치환수술을 받았고 2명은 좌심방 점액종 제거수술을 받았다. 승모판 치환수술을 받은 78명중 38명의 환자가 동시에 대동맥판 치환수술(n=22), 삼첨판성형술(n=14), 관상동맥 우회로조성술(n=1), 심실중격결손증 교정수술(n=1) 등을 받았다. 수술 후 총 74명에서 평균 23.3개월간 외래추적관찰을 하였다. 병원사망률은 3.8%(3례)를 보였고, 술전 심방세동을 보이던 46명의 환자중 1명이 수술후 정상 동조율로 전환 되었으며, 술전 정상동조율을 보였던 34명은 술후에도 계속 정상 동조율을 유지하였다. 평균 대동맥 차단시간은 71분이었고, 승모판막 단일 수술인 경우는 평균 62분이었다. 수술후 가장 흔한 부정맥은 서맥으로 일시적인 심장조율로 호전되었으며 다른 수술과 연관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승모판막수술시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의 적용으로 특별한 합병증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좌심방의 크기가 작은 경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극고주파전극과 냉동프로브를 이용한 지속성 심방세동의 수술 결과 - 절개/봉합술식과 비교 - (Result of Cox Maze Procedure with Bipolar Radiofrequency Electrode and Cryoablator for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 Compared with Cut-sew Technique -)

  • 이미경;최종범;이정문;김경화;김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10-718
    • /
    • 2009
  • 배경: Cox maze 수술은 거의 20년 가까이 심방세동의 표준적인 외과적 치료방법으로 이용되었다. 최근 저자들은 Cox maze 수술에서 대부분의 절개선을 양극고주파전극(Cox maze IV procedure)으로 대치하였다. 저자들은 지속성 심방세동의 수술적 치료에 양극고주파전극을 이용한 Cox maze 수술의 결과를 조사하고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Cox maze III 수술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7년 7월까지 40명의 환자가 양극고주파전극으로 Cox maze 수술을 받았다. 그 결과를 절개-봉합법으로 수술 받은 35예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두 다른 심장수술과 함께 심방세동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1내지 2개월마다 추적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에 정규리듬의 전환율은 양극고주파전극방법과 절개-봉합방법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95.0%/97.1%, p=1.0), 마지막 추적시간까지 정규리듬 전환율도 차이가 없었다(92.5%/91.6%, p=1.0). 다변량 분석(Cox-regression)으로 양극고주파군에서 심방세동의 지속 및 재발의 위험인자는 수술 후 좌심방의 내경이었고(hazard ratio 31, p=0.005), 양군 전체의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세동의 지속 및 재발의 위험인자(Cox-regression)는 수술 6개월에 심방세동의 출현(hazard ratio 92.24, p=0.003)과 수술 후 좌심방의 내경(hazard ratio 16.05, p=0.019)이었다. 대동맥차단시간과 체외순환시간은 양극고주파전극군에서 더 짧았다. 결론: Cox maze 수술 시 양극고주파전극의 사용은 절개-봉합법과 같이 우수한 정규리듬 전판율을 보이며, 수술 후 좌심방의 크기가 심방세동의 지속 및 재발에 영향을 주는 독립인자였다.

성인에서 최소절개를 이용한 개심술 (Open Heart Surgery Through other than Full Sternotomy in Adults)

  • 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576-580
    • /
    • 1998
  • 서울중앙병원에서 1989년 개원 이래로 시행해 오던 우전측부 개흉술을 통한 심방중격결손증과 승모판막에 대한 수술 결과를 알아보고 1997년 8월부터 10월까지 보다 광범위하게 시행된 최소침습적인 개심술의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최소침습적인 수술 조작에 대한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우전측부 개흉으로 17예의 심방중격결손증, 4예의 승모판 성형술, 6예의 승모판막치환술, 그리고 1예의 세번째의 심장수술에서의 삼첨판과 승모판 재대치술을 시행하여 1예의 출혈로 인한 재수술을 제외하고는 이 접근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1997년 8월부터 10월까지 6례의 대동맥판막 치환례중 누두흉 1례를 제외한 5례에서 4례는 상부흉골절개를, 1례에서는 횡흉골절개를 시도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에 7예의 심방중격결손증에서 우전측부 개흉술과 하부 흉골절개로 수술을 시행하여 무리없이 수술을 마칠 수 있었고 미용적인 면과 출혈량에서 특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저자는 이러한 최소 침습적인 개심술이 안전하고 환자의 호응이 높아 앞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 PDF

우측 흉골외측 절개를 이용한 승모판막 치환술 -1례보고- (Mitral Valve Replacement by Minimally Invasive Right Parasternal Incision -A Case Report)

  • 김학제;조원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15-1018
    • /
    • 1997
  • 개심술 특히 판막 질환의 수술에 있어서 정중 흉부 절개의 방법은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절개 방 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판막 질환의 수술시 우측 흉골외측 절개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최소화함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부속 구로병원에서는 우측 흉골외측 절개와 심방 중격 절개를 이용하여 1례의 승모판막 치환 술을 시행하였는데, 이 방법의 사용시 기존의 정중 흉부 절개의 방법과 비교하여 특이한 합병증이나 어려움 을 경험할 수는 없었고,훌릉한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환자는 수술 절개 부위에 대하여 미용적인 면에서 매우 만족하였다.

  • PDF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심방세동 수술의 중단기 결과 (The Influence of Simplified Surgical Procedures on the Surgical Treatment for Atrial Fibrillation with using the Cut-and-Sew Technique)

  • 최종범;김종헌;이미경;이삼윤;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13-319
    • /
    • 2008
  • 배경: 심방세동의 외과적 치료방법으로는 Cox maze-III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수술시간이 길고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어서 수술시간을 단축하고자 좌측 심방의 maze수술이나 폐정맥분리술만을 시행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심방세동 수술방법의 변형이 심방세동의 수술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기존 심장질환과 심방세동을 동반한 40예(남 17예; 여 23예)에서 심방세동 수술을 시행하였다. 23예에서 Cox maze-III 수술을, 10예에서 좌심방 maze 수술을, 7예에서 폐정맥 분리술을 시행하였다. 심방에 전도차단 병변을 만들기 위해 절개봉합법이 이용되었으나, 폐분리절개선에서 승모판륜까지의 심방벽과 관상정맥동의 전도차단에는 냉동프로브가 사용되었다. 결과: 심방세동 수술 후 $50.0{\pm}21.6$개월의 추적결과 Cox maze-III 수술을 받은 23예는 모두 정규리듬(동리듬이나 심방리듬)으로 전환되었고, 좌심방 maze 수술을 받은 10예 중 7예(70%)에서, 폐정맥 분리술을 받은 7예 중 4예(57.1%)에서 각각 정규리듬으로 전환되었다(p=0.002). 결론: 심방세동 수술에서 동리듬이나 심방리듬으로 높은 전환율을 얻기 위해서는 양심방에 Cox maze-III 수술을 시행해야 하며, 좌심방 maze 수술이나 폐정맥 분리술 같은 국한적인 수술방법은 심방세동의 치료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심방중격결손 수술 후 폐색전증을 동반한 우심방 절개 봉합 부위에서의 우심방 혈전의 수술적 치료 -1예보고- (Surgical Removal of Large Thrombus at the Suture Site of the Right Atriotomy after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Associated with Pulmonary Embolism -1case-)

  • 황여주;안영찬;전양빈;이재웅;박철현;박국양;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448-451
    • /
    • 2004
  • 개심술 후 폐색전증을 동반한 우심방 혈전의 발생 예는 매우 드물다. 10개월 전 심방중격결손 수술을 받았던 54세 여자 환자가 좌측 흉막통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폐관류주사 검사에서 다발성 분절성 관류 결손 소견을 보였고 경식도 초음파 검사에서 우심방 벽에 위치하는 크고 줄기가 있는 움직이는 종괴가 발견되었다. 헤파린 치료 시작 13일 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크기가 전혀 줄어들지 않아 개심술하에 종괴를 제거하였다. 병리 소견에서 우심방 기질성 혈전으로 밝혀졌고, 수술 후 환자는 별 문제 없이 회복되었으며 퇴원 후 와파린 치료를 받고 있다.

발살바동 동맥류 파열의 외과적 치료 - 10례 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Ruptured Sinus of Valsalva Aneurysm)

  • 김우찬;윤정섭;김치경;조규도;왕영필;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07-1211
    • /
    • 1996
  • 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선 최근 10년간 10예의 발살바동 동맥류 파열환자를 경험하였다. 8명은 선천성이었으며 2명은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후천성이었다. 동반된 심질환으로는 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 4예, 심방중격결손증 2예, 심실중격결손증 1례, 승모판막폐쇄부전증 1례 그리고 삼첨판막폐쇄부전증 1례가 있었다. 전례에서 동맥류가 우관상동에서 발생하였으며, 8명의 환자에서 우심실으로 2명의 환자에서 우심방으로 파열하였다. 저자들은 대동맥절개와 동맥류가 파열된 심방 또는 심실절개를 통한 수술을 선호하였으며, 8명의 환자에서 Dacron 첩포를 사용하여 봉합하였고 2명의 환자에서는 단순봉합하였다. 전 환자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술후 사망예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