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방세동 기전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심방세동치료에 적용된 심외막극초단파차단술 -1예 보고- (Epicardial Microwave Ablation of Atrial Fibrillation)

  • 박정식;이정환;안영찬;황여주;이재익;현성렬;전양빈;이창하;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609-612
    • /
    • 2004
  • Cox-Maze III 술식이 심방세동의 전형적인 수술요법이지만 탁월한 수술성적임에도 불구하고 수술의 복잡성, 장시간의 체외순환, 술 후 출혈의 위험부담으로 보편적이지는 못하다. 최근 들어서 심방세동의 병리기전에 대한 이해와 절개 및 봉합의 대안으로 여러 가지 에너지원의 개발로 인하여 Cox-Maze의 변형술식이 급격하게 발전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극초단파(microwave)를 이용하여 심방세동을 교정한 후 33개월 현재 양호한 상태로 동율동을 보이고 있어 문헌 보고하는 바이다.

KCNH2 돌연변이 L532P와 N588K가 심실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장의 3 차원 전기생리역학 시뮬레이션 연구

  • 김창현;임기무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6회(2017년)
    • /
    • pp.708-711
    • /
    • 2017
  • 전기적 신호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심방 부정맥은 심방세동으로 발전하는 대표적 심장 질환이다. 이러한 원인에는 세포 내 이온 채널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기전이 알려져 있다. 지속적인 연구로 밝혀진 대표적인 유전적 질환 중 하나로서 KCNH2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KCNH2 유전자 돌연변이가 심방부정맥을 유발하는 연관성연구를 기반으로 심실에서의 심장 질환 발현 연관성을 확인하고 심실부정맥과 심실세동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Ten tusscher 세포 모델에 KCNH2 유전자의 N588K, L532P 변이를 적용하여 2차원과 3차원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wild-type(WT)과 mutant-type(MT)의 전기전도 패턴을 비교했다. 그 결과 WT의 전도파형이 일찍 자가소멸(self-termination) 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MT는 회귀성 파형이 유지되었다(WT : 3.6초간 유지, MT : 지속적).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KCNH2 유전자 돌연변이가 심실 조직의 취약성 (Action Potential Duration 감소, WT : 270 ms, N588K : 130 ms, L532P : 100 ms)을 증가시켜 부정맥의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 PDF

허혈성 뇌졸중에서 심혈관 질환과 심방세동을 위한 혈청 바이오마커: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Serum Biomarke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Atrial Fibrillation in Ischem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우명수;문소라;이지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56-264
    • /
    • 2022
  • 허혈성 뇌졸중은 뇌동맥의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폐색되어 산소가 포함된 혈액이 뇌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신경 세포의 괴사를 유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연구된 허혈성 뇌졸중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심혈관 질환 및 심방세동 질환과 관련된 혈청 후보 마커를 정리하고, 각 마커의 OR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혈청 후보 마커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심혈관질환', '심방세동', '허혈성 뇌졸중', '혈청 표지자'를 키워드로 포함하는 논문에 대한 학술 Database 검색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모두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결과로 제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마커는 NT-proBNP, D-dimer, CRP 및 GFAP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T-proBNP는 허혈성 뇌졸중의 조기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심방세동(AF)의 표지자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심방세동 표지자가 발굴되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