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미 가공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원내에서 5축 밀링기로 가공한 PMMA temporary crown의 다양한 임상적 활용

  • 서상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8-83
    • /
    • 2017
  • 치과용 CAD/CAM이 점차 보급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material의 종류와 활용할 수 있는 범위도 늘어나고 있다. 치과용 캐드캠의 가장 큰 장점은 한번의 방문으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 할 수 있다는 점인데, 지르코니아나 복잡한 심미 보철의 경우 하루만에 제작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임시치관용 PMMA 재료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심미성과 기능성을 가진 임시치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종보철물에 대한 test crown이나 template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내에서 5축 밀링기로 가공한다면 임시치관을 빠른 시간에 큰 범위까지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원내에서 가공하는 PMMA 임시치관의 다양한 활용과 임상증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금속관 및 가공의치에 의한 회복시 치주적으로 고려할 사항 (Periodontal Considerations With Crown and Bridges)

  • 김기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2권8호통권183호
    • /
    • pp.651-653
    • /
    • 1984
  • 치관부 파절이나 치아결손 혹은 치아형태의 이상이나 변색된 치아등으로 보철치료가 요구되는 경우 저작, 연하, 발음등의 회복과 심미적인 회복이 중요한 목적이 되며, 전치부에서는 심미성이, 구치부에서는 기능적인 회복이 더욱 강조된다. 보철치료후 치료목적을 달성하고 건강한 구강내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철물이 지대치 및 주위조직에 생물학적으로 조화되어 병적상태를 유발시키지 않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술전에 올바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고, 지대치 형성, 인상채득 및 임시관 장착, 금속관 및 가공의치 제작, 구강내의 시적(try-in), cementation등 모든 과정을 주위조직과 관련하여 주위 깊게 행하여야 한다.

  • PDF

선박 인테리어용 섬유제품 적용 난연/내광 복합기능성 가공 연구 (Dyeing and Finishing on Interior Textile of Shipping)

  • 김미경;정대호;김영국;안승국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103-103
    • /
    • 2012
  • 크루즈 페리 선박의 인테리어 섬유 내장부품은 고도의 난연성과 내구성, 그리고 높은 수준의 감성과 심미적 기능을 만족하는 고기능성 소재로 구성된 섬유 복합체이다. 이는 화재, 전복 등 돌발 사고에 대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고,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제공함으로서 안전운행을 유도하며, 높은 수준의 감성과 심미적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품위와 가치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 난연기능이 부가된 난연사의 경우 복합가공 즉, 방오, 항균, 소취 기능을 추가 부여하게 되면 난연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가혹한 난연 성능이 요구되는 선박용 인테리어 섬유제품의 경우 그 규격을 만족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원사제조에서부터 염색공정, 가공공정에 걸쳐 각 단위 공정별로 복합적으로 난연, 방오, 항균소취 기능들의 추가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사용자 입장에서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된 원단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많은 후가공 공정시 난연가공과 더불어 복합적으로 추가 가공시 난연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인테리어 섬유제품의 Spec.을 만족시키기 위해 난연 직물의 염색 후가공에 적용되는 염조제 성능을 조사하고 고견뢰 및 균염을 만족하는 난연 내광 등의 복합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기술을 검토하였다.

  • PDF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PET fiber containing coconut activated carbon)

  • 고정안;임지혜;김영운;류중재;박용완;김의화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82-82
    • /
    • 2011
  • 최근 국내외 섬유시장은 생활패턴의 변화로 레저 활동 인구가 급증하고, 스포츠 및 케쥬얼 의류의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다기능성을 발휘하는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존의 기능성과 차별화된 신소재 및 기능성 소비자 needs가 증가되고 있다.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는 최근 H사에서 코코넛 열매껍질을 원료로 탄화시켜 얻어진 활성탄소를 polyester에 혼입 방사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원사로 우수한 흡한속건성, 항균, 소취성 그리고 UV 차단 기능성 등 최근 소비자의 needs에 맞는 고기능성 신섬유 소재로 기존의 유사 기능성 섬유(숯, 대나무, 기능성 무기물 혼입 원사 등)에 비해 물질의 표면적과 공극이 넓어 보다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활성탄소를 함유한 원사로 짙은 원착색으로 인해 의복의 심미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 단계의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의 심미성을 보완 할 수 있는 편직기술과 활성탄소 입자 소실을 방지하고 기능성 발현에 알맞은 염색 가공 공정을 확립하여 심미성과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원단의 물성과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의류용 크롬유혁의 가공조건에 따른 항미생물효과 (The Effect of Finishing Condition on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hrome-Tanned Leather for Apparel.)

  • 심미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4-78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data of the effect of antimicrobic finishing on chrome-tanned leather for apparel.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ditions of antimicrobic finishing on content of antimicrobic agents in the specimen by analysis and on the antimicrobic activity of specimens by means of shake flask test. The optimum conditions of antimicrobic finishing were found to be ; the concentration of Si-QAC-0.5%(o.w.f.), treating time-30minute, and drying method-air drying.

  • PDF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치아 비율을 가지는 환자에서 치은 절제술을 동반한 전치부 심미수복 증례 (Anterior esthetic restoration accompanied by gingivectomy of patient with unesthetic tooth propor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a case report)

  • 한상연;이종혁;최석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208-217
    • /
    • 2018
  • 상악 전치부는 심미적으로 민감한 부위이며, 치아 외형과 치은의 조화도 치료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이 필수적이며, 필요 시 치아 주위 연조직에 대한 처치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연조직 처치로서 외과적 치관연장술 중 하나인 치은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심미적인 보철 수복을 할 수 있다. 상악 전치부는 심미뿐 아니라 기능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지대치 주모형과 순측만을 수정한 진단 납형 모형을 스캔 및 중첩하여 디자인 및 가공하면, 최소한의 교합조정을 통해 기존의 편안했던 교합을 재현해 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은절제술 및 모형 중첩을 통해 심미 수복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심미와 기능모두에서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치은 변연을 고려한 상악 전치부의 심미 수복 증례 (The esthetic prosthodontic treatments in maxillary anterior area, considering the gingival margin)

  • 손다흰;백장현;우이형;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8-444
    • /
    • 2016
  •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은 치과 영역의 심미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치료이다.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통해 치아의 형태나 배치, 색상 등을 대체함으로써 심미성의 개선이 가능하다. 이러한 치료를 계획할 때, 안모 및 치아와 입술과의 관계 분석, 치아와 치은의 분석 등을 통해 환자마다 개별적인 고려 사항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려 사항 중 치아 주위 치은 구조를 적절히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치은 변연의 높이, 치은 정점의 위치, 치간 유두의 재건, 출현 윤곽, 좌우 측의 대칭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치은 구조가 항상 적절히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철 치료 시 비심미적인 치은 구조의 개선을 위한 처치를 계획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증례에서는 치은 외형의 결함으로 인한 비심미성을 개선하기 위해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에서 외과적 처치 없이 각각 pink porcelain, 치은 연하 형태의 형성, 가공치 기저부 형태의 조정을 통해 만족할만한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치과 CAD/CAM용 Nano Hybrid Ceranic 소재를 이용한 심미 치과보철물의 제작 (A Making of Aesthetic Dental restorations with Nano Hybrid Ceramic material by CAD/CAM System)

  • 최범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8-108
    • /
    • 2016
  • 전통적인 Metal-ceramic 보철 제작 방식으로부터 All-ceramic 보철에 이르기까지 최근 신소재 개발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심미적인 욕구일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각각의 치과용 수복 재료는 재료 별로 강도, 인성, 기계 가공의 효율성 및 사용에 필요한 다양한 과정을 기반으로 임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Glass ceramic과 같은 단일 소재의 경우 약한 물성을 고려하여 주로 싱글 크라운과 같은 간단한 보철에 사용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파괴 인성을 가진 지르코니아 재료의 경우 싱글 크라운은 물론 브릿지의 제작에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르코니아 재료는 제작 과정에서 긴 Sintering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Chair side에서 빠른 보철물 제작에 쉽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주로 Lab. side에서 사용하고 있다. CAD / 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용도로 개발 된 Hybrid ceramic 소재는 Resin Nano Hybrid Ceramic이라고도 하며, 개선 된 물성을 포함한 나노 세라믹 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심미적이며 기능적인 보철물의 제작이 용이한 과정과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향상된 내구성을 바탕으로 보철물의 제작 과정에 유리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Nano Hybrid Ceramic 재료는 Composite Resin과 Glass ceramic과 같은 단일 소재들이 가진 장점들을 이용하여 술자들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오랜 연구를 통해 개발된 치과 수복 아이템이며 Nano ceramic filler가 혼합된 구조로 되어있어 치과 수복용 복합소재로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Nano Hybrid Ceramic소재는 Composite resin의 가공 과정에서 쉽게 파절되지 않는 개선된 물성과 Glass ceramic이 가진 심미성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Chair side와 Lab. side에서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때 임상적용이 쉽고 유용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금관 가공의치에서의 대구치 지대치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 STUDY ON MOLAR ABUTMENT DIES)

  • 정헌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0
    • /
    • 1995
  • Abutment dies which resemble the actual size and shape of crown abutment is essential in most of the research area of fixed prosthodontics like marginal accuracy, crown seating, behavior of luting agent and so on. Seeing the large portion of research is done with round shaped dies in different size and cone angl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rown abutment is self-evident. 500 molar abutments were collected randomly through the commercial dental laboratoy, regrdless of their position in the dental arch, sex, and age. The measurements of 22 points of a die were done, and the results were as fogbows : 1. The height of the molar dies was $3.9{\pm}1.2mm$ 2. The bucco-lingual width was $8.9{\pm}1.2mm$ at the base, and $7.4{\pm}1.2mm$ at the occlusal. 3. The desio-sistal width was $8.2{\pm}1.2mm$ at the base, and $7.0{\pm}1.3mm$ at the occlus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