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리진단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urrent Issues in the Diagnosis of Malingering : Sensory and Motor Symptoms (꾀병 감별법 : 감각 및 운동 이상을 중심으로)

  • Song, Ji-You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2 no.2
    • /
    • pp.103-121
    • /
    • 2004
  • Conversion disorder and factitious disorder should be ruled out before making diagnosis of malingering. For this work, inspection of patient's behavior along with complete neurological examinations, psychological tests, and meticulous psychiatric interview are necessary. Facial expression test, thermography, dynamometry were failed differentiating conversion disorders to the malingered pain and motor symptoms, however, controlled diagnostic block showed positive result partly in patients with regional or cervical pain syndrome. Chronic pain patients who are related to the process of litigation encounter stressful life situations which lead them into various neurobehavioral and psychosocial complications. Most of suspected malingered patients would not revealed pure form rather mixed with factitious and/or conversion features. At the time of increasing number of chronic patients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s or industrial injuries who are involved in litigation, psychiatrist are needed sharp eyes and tenacity for evaluating malingering or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 PDF

Brown-Sequard Syndrome Produced by Cervical Disc Herniation : Manual and Exercise Therapy after Operation-Case Studies (경추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후군 : 수술 후 도수치료와 운동치료 효과-사례연구)

  • Kim, Myung-Jo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15 no.1
    • /
    • pp.79-85
    • /
    • 2009
  • 목적 : 브라운시쿼드는 대부분 척추손상과 수질외 척추 종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드물게 경추 디스크가 브라운시쿼드의 원인이 된다. 경추디스크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세의 수술후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이다. 방법 : 50세 남자로써 브라운시쿼드 증세로 진단을 받고 수술후 좌측 팔과 다리에 운동신경에 의한 마비증세가 있었으며(팔>다리), 우측으로 감각과 온도감각이 저하된 경우이다(팔>다리). 측정방법은 통증지수(VAS), 근력(Distal PowerTracII$^{TM}$ test), 지구력(Ergometer) 측정과 심리상태(설문)를 치료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물리치료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 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수치료는 통증완화와 근력강화를 위한 MET, MFR, Mobilization 등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은 슬링시스템 등을 이용한 운동과 견관절의 불안정을 위해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이 케이스는 수술후 이상 징후가 척수압박으로 인하여 보다 넓게 통증이 나타났으며, 운동 및 감각신경이 둔해지고 온도에 대한 감각이 반대편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좌측 어깨, 팔 견갑부의 근육 마비와 우측의 감각이 떨어진 현상이 나타났다. 물리치료 후 단기목표와 장기목표에 있어서 통증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이 회복되어 각각 팔 통증에서는 VAS 8 ${\rightarrow}$ 1, 상지 하지의 운동기능은 Trace ${\rightarrow}$ Good 로 평가 회복되었으며, 근력측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치료과정 결과에서 심리적 상태의 설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긍정적 신뢰가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결과 다리의 근력이 증가는 걷기 운동 및 에르고메터의 지구력 및 균형이 레벨1의 10분 수행능력이 레벨 20에서 30분 수행능력으로 향상되어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결론 : 예상하지 못했던 수술 후유증(side effects)에 대한 치료과정이 환자의 심리에 심각한 부정적인 생각이 신체의 기능과 감정의 손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과정에서 기능적 향상과 더불어 정신적인 심리의 정서 안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청각심리검사

  • 안회영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4.06a
    • /
    • pp.93-100
    • /
    • 1994
  • 애성은 후두질환 특히 성대의 질환으로 인하여 소리의 구성요소인 음질(음색), 높이 세기(크기) 및 지속시간등에 이상이 있는 것을 말하며 그 정도의 성질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것을 여러 방법으로 분류하는 것은 애성의 "메카니즘"을 알기 위해서도, 또 애성의 치료 효과를 알기 위해서도 유익하며 필요하다. 이제까지는 애성은 단지 주관적으로, 애성 (+), (++), (+)등으로 기록하여 왔으나 애성을 잘 들으면 보다 많은 진단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을 상세하게 판정하여 기재하는 것은 장애의 진행, 개선, 수술후의 경과 등을 알기 위해서 임상상 크게 참고가 된다. (중략)

  • PDF

Adaptive Multilayered Student Modeling using Agent (Agent 기반 적응적 다중 학습자 모델링)

  • 이성곤;유영동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63-268
    • /
    • 1999
  • 지능형 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 모델은 학습자의 반응을 토대로 교수모듈과 전문가 모듈을 연계하여 새로운 학습자 모델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성공적인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많은 대학교 및 연구소에서 그동안 학습자 모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단일 학습자 모형을 기반으로 두고 있으며, 이러한 단일 학습자 모형을 이용한 시스템들은 학습자의 지식 또는 학습자의 성향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움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듈과의 인터페이스 부분에서 중복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지식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각 모듈간의 중복된 정보를 보완할 수 있는 다중 학습자 모형을 개발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이러한 다중 학습자 모형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agent기법을 적용하였다. Agent를 이용한 다중 학습자 모형을 적용하여 구현한 시스템은 첫째, 단계적인 접근 방법으로 보다 정확한 학습자의 지식 진단이 가능하다. 둘째, 학습과정중 학습자의 심리 상태 및 학습자의 선호도 등 파악이 용이하다. 셋째, 교수모듈과 전문가 모듈과의 연계에 있어서 정보의 중복됨의 최소화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Critical factors Making Koreans Poor Readings (한국인의 독서부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 박정길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2
    • /
    • pp.43-7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itical factors that have made Koreans such poor readers. What is the factors in make poor progress in reading of the Korean. The emphasis was put on identifying some indigenous barriers against buiding ‘good’ reading habits. Especially investigated ar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historical, socio-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for correcting and improving the poor reading of Korean.

  • PDF

Psycho-soci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a Level of Internet Addiction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에 따른 사회 심리적 건강)

  • Chung, Miyoung;Cho, Ok-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366-376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Psycho-social Well-being depending on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among 749 college students. The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Criterion Inventory was used to classify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Internet overuse and Internet normal use.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each group was measured by hopelessness, idea of suicide, suicide attempt, stress, social isolation, and mental health.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x^2$-test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psycho-social well-being between two groups(the overuse and normal use group). Moreov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placed 82 people (10.9%) in the internet overuse group and 667 people(89.1%) in the internet normal use group. The internet overus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hopelessness, idea of suicide, suicide attempt, stress, social isolation, and mental health scores than the internet normal use group. Therefore, people in the internet overuse group were more likely to have worse Psycho-soci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 that the Internet overuse should be screened early because it can be useful in developing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and then finally improving the psycho-social well-being.

A Review and Suggestion for Korean Depression study from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한국인 우울 연구를 위한 문화심리학적 고찰과 제언)

  • Jung-Min Chae;Soonmook Lee;Jong-Nam Kim;Sung Won Choi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1 no.2
    • /
    • pp.205-225
    • /
    • 2015
  • This study is performed to fine a way to illuminate the direction of depression study suitable to Korean culture. To do so, it is found that from when we started to use the term of 'depression' and how we Koreans conceptualize depression. And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to psychopathology including depression are reviewed.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ways to study depression with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are suggested. Specifically speaking, at the first, it is found that the term of depression has not been used before colonialized times by Japan, but terms of 'Ul-Uep', 'Kwang-Zeung', and 'Jun-Kwanng' are used from at least times of King SeJong. Term of depression was actually us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 and spread after introduction of DSM to Korea via Japan. Second, the way to compromise universalist and relativist perspectives is recommended and the perspective of absolutist is not recommended. Lastly, in Korea depression shares with 'HwaByung' in some area, but not with 'Han'.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combine etic factors(universal perspective) and emic factors(culture-relative perspective) to study depression suitable for Korean culture.

  • PDF

Diabete Care: Pharm story - 당뇨병과 정신건강

  • Lee, Ji-Hye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88
    • /
    • pp.51-57
    • /
    • 2013
  • 당뇨병과 정신건강은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당뇨병이 스트레스나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데 다른 정신건강 문제와도 관련이 있을까? 당뇨병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만도 수월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게 정신건강 관리를 하라는 것은 또 다른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정신건강에 관심을 기울이고 함께 관리하지 않을 수 없다. 건강하고 안정적인 정신건강 상태는 당뇨병 관리의 뒷받침이 되므로 당뇨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소이다. 종종 정신건강 문제는 당뇨병 관리의 방해요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정신건강 관리는 당뇨병 관리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때, 비로소 당뇨병 자가관리를 지속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는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가끔은 정신장애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일부 환자는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장기간의 심각한 정신과적 증상으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당뇨병 진단 후 당뇨병을 심리적으로 수용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정신장애를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신장애도 만성질환의 속성을 가지므로 정신장애를 동반한 당뇨병 환자는 만성질환 관리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정신장애를 최대한 예방하고 적시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심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당뇨병과 관련 있는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 PDF

Validation of a Dwelling Depression Scale Based on Analysis of Projective Images (투사이미지 분석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척도 타당화 연구)

  • Lee, Yewon;Park, Chongwook;Woo, Sung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2
    • /
    • pp.1-7
    • /
    • 2018
  • As the living environment is regarded as a key factor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necessity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depression for the elderly has increased. In order to diagnose accurately, it is crucial to consider variables such a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In this study, 301 persons over 65 years old who live in single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over 65 years were surveyed from 1 January 2018 to 2 February to measure the dwelling depression by applying projective imag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welling depression and projective images are clarifi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evalu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eriatric dwelling depression index(GDDI) and the GDDI based on projective images(GDDI-I) are clarified. The accuracy of the GDDI-I is analyzed. As a result the projective image questionnaire has a correlation with the existing self-report questionnai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will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on psychological diagnoses using the projective method.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및 치료)

  • Choi, Young-Chan;Kim, Seong-Tae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5 no.4
    • /
    • pp.319-328
    • /
    • 2009
  •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have been defined as a collective term embracing a number of clinical problems that involve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asticatory muscles, and associated structures. Since Dr. Costen, an otolaryngologist, published his article in 1934 claiming that pain in and around the jaw and "related ear symptoms" improved with alteration of the bi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have been within the concept of occlusion. However most of the modern descriptions for TMD no longer include occlusal disorders within their domain. Despite this trend toward the exclusion of occlusal disorders from TMD domain, the historical linkages between TMD and occlusal therapy are still strong. Currently the most popular theories regarding TMD etiology are based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In the future, treatment modalities should be directed at the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of joint and muscle pain as well as the psychosocial aspects of chronic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