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근경색 쥐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급성심근경색 쥐 모델의 심정지 후 조기 저체온 치료가 심폐소생술 결과에 미치는 효과 (Early hypothermia improves outcome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fter cardiac arrest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at models)

  • 박정현;임희경;김지희;이영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19
    • /
    • 2016
  •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쥐 모델에서 심장정지를 유발시킨 후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조기 저체온 치료를 적용하여 심장근육의 기능회복과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체중 450-550g의 수컷 Sprague Dawley 쥐 10 마리에 개흉을 실시하였다. 왼내림심장동맥을 묶어서 심근경색을 유발시켰다. 왼내림심장동맥을 묶은 후 90분 동안 심실세동을 유도하고,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정상체온군)은 회복과정에 정상체온으로 유지한 군이며, 실험군(저체온군)은 회복과정에 $32^{\circ}C$ 4시간 저체온을 유지한 군이다. 연구 결과: 심박출량, 좌심실박출률, 심근수행지수는 심폐소생술 후 첫 4시간 동안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의 생존시간은 대조군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p<.050).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조기 저체온 치료의 적용이 급성심근경색의 심폐소생술 후 심장 기능을 개선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치료법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다.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한 소동물 심근경색 PET 영상의 정량적 평가 기술 (Quantitative Assessment Technology of Small Animal Myocardial Infarction PET Image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 우상근;이용진;이원호;김민환;박지애;김진수;김종국;강주현;지영훈;최창운;임상무;김경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1호
    • /
    • pp.42-51
    • /
    • 2011
  • 전통적으로 심근 생존능을 식별하고 심근 관류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핵의학영상이 이용되고 있으나 경색영역을 정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극성지도의 분포를 분석하여 특성에 맞는 적응적 임계값을 이용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쥐 심근경색 모델은 왼쪽 관상동맥을 결찰시켜 제작하였다. 소동물PET 영상은 37 MBq $^{18}F$-FDG를 쥐의 꼬리정맥에 주사한 후 60분 섭취 후 Siemens Inveon SPECT/PET 스캐너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ECG 신호와 함께 획득하였고, OSEM 2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PET 영상의 심근 극성지도는 Siemens QGS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 후 자동으로 심근 벽을 설정하여 작성하였다. 심근경색영역의 기준데이터는 TTC 염색으로 설정하였으며 전체 좌심실대비 염색된 영역의 백분율로 획득하였다. 최적의 임계값 설정을 위해 절대치 설정 방법, Otsu 알고리즘,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Multi Gaussian mixture model, MGM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절대치 설정 방법은 10~90%까지 10%단위로 미리 정의 된 임계값을 이용하였고, Otsu 알고리즘은 영상 내에서 두 군집의 분산을 최대로 하는 임계값으로 설정하였다. MGMM 방법은 영상의 화소 강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가우시안 분포함수(MGMM2, $\cdots$ MGMM4)로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가우시안 분포를 구하여 적응적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극성지도 평가지표는 각각의 알고리즘에서 측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하고 전체 극성지도와 경색영역의 백분율로 획득한 후, TTC 염색으로 획득된 기준데이터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차이는 절대치 방법의 20%에서 $7.04{\pm}3.44%$, 30%에서 $3.87{\pm}2.09%$, 40%에서 $2.15{\pm}2.07%$이었다. Otsu 방법은 $3.56{\pm}4.16%$이었으며 MGMM 방법은 $2.29{\pm}1.94%$이었다. 소동물 PET 극성지도에서는 30% 임계값이 조직학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TTC 염색으로 측정한 크기가 10% 이하에서는 MGMM 방법이 절대치 방법보다 작은 차이를 보였다(MGMM: 0.006%, 절대치방법: 0.59%). 이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모델 평가를 위하여 생체영상 극성지도에서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MGMM은 사용자의 선택 없이도 자동적으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 임계값을 찾아주는 방법으로 극성지도에서 심근경색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심근경색에 의한 심정지 후 치료적 저체온증으로 호전된 쥐의 심폐소생술 모델 (Hypothermia Improves Outcome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fter Cardiac Arrest In a Rat Model of Myocardial Infarction)

  • 노상균;김지희;문태영;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70-173
    • /
    • 2011
  • Therapeutic hypothermia(TH) improves neurological outcomes and reduces mortality among survivor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nimal and human studies have shown that TH results in improved salvage of the myocardium, reduced infarct size, reduced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nd better long-term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settings of regional myocardial ischemia.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 on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dysfunction and survival time after cardiac arrest and resuscitation in a rat model of myocardial infarction (MI). Thoracotomies were performed in 10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450-550 g. MI was induced by 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LAD). Ninety min after LAD ligation, ventricular fibrillation induction and subseque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performed before defibrillation attempts. Animals were randomized to two groups: a) Acute MI-Normothermia b) Acute MI-Hypothermia ($32^{\circ}C$ for 4 h). Myocardial functions, including cardiac output,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myocardial performance index were measured echocardiographically together with duration of survival. Ejection fraction, cardiac output and myocardial performance index were $54.74{\pm}9.16$, $89.00{\pm}8.89$, $1.30{\pm}0.09$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better in the TH group than those of the normothermic group at the first 4 h after resuscitation($32.20{\pm}1.85$,$41.60{\pm}8.62$,$1.77{\pm}0.19$)(p=0.00). The survival time of the hypothermic group ($31.8{\pm}14.8$ h)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normothermic group($12.3{\pm}6.5$ h, p<0.05). This study suggested that TH attenuated post resuscitation myocardial dysfunction in acute MI and would be a potential strategy in post resuscitation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