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효값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hase Angle Synchronization for Accurate Calculation of Half-cycle RMS Value (정밀한 반주기 실효값 계산을 위한 위상각 동기화 알고리즘)

  • Ham, Do-Hyun;Lee, Kook-Sun;S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1-1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코드에서 요구하는 반주기 실효치 계산 방식을 국내 계통에 적용하기 위한 실효값(RMS)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정확한 실효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국내 계통 60Hz에 적합한 샘플링 주파수가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실효값 계산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실효값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데이터를 제시하고, 속응성 및 오차 특성을 비교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Powe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DSP (DSP를 이용한 Power Quality Monitoring System의 구현에 관한 연구)

  • Cho Young-Hoon;Lee Sang-Joon;Sul Seung-Ki;Kim Jae-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5-19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특정 지역의 전력을 모니터링 하여, 그 결과를 중앙 호스트 컴퓨터로 보내주는 전력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해 소개한다. 전력 품질을 진단하기 위하여 배전단의 각 상전압의 반주기 실효값을 측정하고, 매 5분마다의 평균 실효값 및 사고 시 순시 사고 전압의 저장 기능 및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TMS320LF2407을 이용한 DSP 보드를 제작하였다. 이 기기를 이용하여 얻은 실효값 및 사고 파형은 보드의 확장 커넥터에 접속된 유선 전화통신 모뎀 및 CDMA 또는 PCS 무선 통신 기기를 통하여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된다. 전송된 전압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며 분석 과정을 거쳐 특정 지역의 전력의 품질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 PDF

A Control Method For Three Phase Unbalanced Voltage (3상 교류 불평형 전압 제어 기법)

  • Chang, Doo-Won;Choi, Kyeong-Dal;Joo, H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128-1129
    • /
    • 2007
  • 본 논문은 3상 불평형 전압이 부하에 인가될 때 선간 전압의 실효값을 측정해서 불평형을 검출하고 불평형이 발생되면 선간전압의 실효값이 평형이 되도록 각 상의 상전압을 전력소자를 사용한 위상 각제어를 통해서 각 상별 스위칭각을 비대칭적으로 조절함으로서 3상 전압 불평형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모의 실험을 통해 유도전동기 부하에서 검증하였고 이를 통한 고조파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the Effective Internet Diameter Based on Hop Counts of Effective Connections (실효 접속의 Hop Count에 기반한 인터넷 실효 지름의 측정)

  • 이지웅;김재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745-747
    • /
    • 1999
  • 인터넷이 급성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더 나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 역시 급증하였다. 네트웍 연구가들은 제한된 네트웍 자원 하에서 오류제어, 흐름 제어, 그리고 폭주 제어를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에 대해 연구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연구의 가장 큰 난점 중 하나가 인터넷에는 네트웍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근간이 되는 방법이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고 따라서 네트웍의 구조와 상태, 플로우의 흐름 및 통계 등에 대한 기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오류 제어나 흐름 제어, 그리고 폭주제어 기술을 연구할 때 가장 필요한 자료중의 하나가 네트웍 토폴로지이다. 그 중에서도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거리 정보인 Network Diameter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구자 임의로 이 값을 할당하거나 혹은 특정 실험실에서만 유효한 Network Diameter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구자 임의로 이 값을 할당하거나 혹은 특정 실험에서만 유효한 Network Diameter 값을 제시해오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처럼 비객관적이거나 특수값으로만 사용되어 오던 Internet Diameter를 실효 접속에 근거하여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KAIST에서 전세계로 나가는 실측 접속 자료로부터 접속 Hop Count의 분포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타 인터넷 연구에 적절한 자료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power conversion losses analysis for the ZVS full bridge converter (영전압 스위칭 풀브릿지 컨버터의 전력변환 손실특성에 관한 연구)

  • Ka, Dong-Hoon;Ahn, Tae-Young;Bong, Sang-Cheol;Kim, Don-S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58-6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영전압 스위칭 풀브릿지 DC-DC 컨버터의 회로방식에 대한 전력변환 효율 특성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분석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보고한 것이다. 먼저 기존회로에서 내부손실이 없는 이상적인 등가회로를 유도하고 스위칭 동작 파형을 이용하여 주요부분에 대한 전류의 실효값을 유도하였다. 이상적인 등가회로에 내부손실 저항을 삽입하고 전류의 실효값으로부터 주요소자의 전도손실을 계산하여 컨버터의 전력변환손실과 효율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입력전압 400V, 출력전압 12V, 최대전력 720W의 시험용 회로를 구성하여 해석 결과와 비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excitation control system for synchronous generator robust for frequency variation (주파수 변동에 강인한 수차발전기 여자시스템 개발)

  • Park, Manki;Ryu, Hoseon;Lee, Uitaek;Moon, Jooyoung;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33-434
    • /
    • 2016
  • 전력계통은 안정된 전압과 주파수의 전력수급이 요구되는 가운데 발전기의 안정성은 주요 요소이다. 그런데 수차발전기 운전 중 부하 탈락 시 급격한 주파수 상승에 의한 발전기 과전압발생은 발전기 여자시스템의 제어신호인 전압실효값 오차에 기인한 것이다. 이런 오차를 최소화하고 발전기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해 ZCP(Zero Crossing Point)와 FPGA를 이용한 주파수 검출영역 확장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정된 전압실효값을 계산하는 기법을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기존 57~63Hz 주파수 영역의 DFT 대비 확장된 30~90Hz 대역의 전압실효값 오차는 최대 24.68%에서 0.22%로 대폭 개선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Self Oscillating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Using SEPIC Converter (SEPIC 컨버터를 이용한 형광등용 자려 발진형 전자식 안정기 개발)

  • 김왕식;한재현;조계현;박종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4
    • /
    • pp.20-25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PFC method for an electronic ballast using SEPIC converter. Generally, the Boost Converter Type PFC has a DC 400V and output voltage is a bigger than input rms voltage. But the SEPIC type converter has above 0.95 Power Factor and wanted output voltage. This paper employs the SEPIC(Single Ended Primary Inductance Converter) Converter for PFC and the Ring core for oscillating method. Consequently, We reduced element's size and capacity in a converter with minimum voltage for the operating lamp.

A Study on effective humidity application to Canadian fuel moisture code (캐나다 연료 수분지수에 대한 실효습도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 Park, Houng-Sek;Lee, Si-Young;Yun, Hw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8-4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연료 수분지수의 정확도를 보정하여, 산불발생의 예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입력 값인 상대습도와 실효습도(Effective humidity)를 이용한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캐나다 연료수분지수인 미세연료수분지수, 가뭄지수, 부식층수분지수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에 따라 실효습도를 사용한 캐나다 기상지수의 민감도가 상대습도를 사용하여 산출된 지수보다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산불 발생 예측의 지표인 미세연료 수분 지수의 분석결과, 실효습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미세연료 수분지수의 적중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미세연료 수분지수의 적용보다 상대습도의 적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rain attenuation prediction model using effective permittivity (실효유전율을 이용한 강우감쇠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 김혁제;조삼모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9 no.1
    • /
    • pp.52-59
    • /
    • 1998
  • We calculated the wave attenuation due to rain using the effective permittivity of the air with raindrops. The effective permittivity depends on the complex permittivity of rain drop and the fractional volume occupied by the raindrops. We calculate the complex permittivity of rain drop and the raindrops' volume using Marshall-Palmer Rain drop size distribution. The rain attenuation calculated by effective permittivity i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ITU rain attenuation model, and the two rain attenuation models have a very close agreement. The effetive permittivity model underestimates the rain attenuation under 50 GHz, and overestimate at the frequencies under 50 GHz copmpared with the ITU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