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험 분석 방법

Search Result 12,122,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A Tendency of Experiments and Hardware Countermeasure on Power Analysis Attacks (전력분석공격에 대한 실험 및 하드웨어적 대응방법의 동향)

  • 안만기;이훈재;황운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12a
    • /
    • pp.169-173
    • /
    • 2003
  • 스마트카드는 내부의 암호 알고리듬이 수행될 때, 비밀키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물리적인 정보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물리적 정보를 이용하는 전력분석공격은 현재 많은 이론적 분석, 실험 및 대응방법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하드웨어적인 전력분석공격 실험 및 대응방법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산과정과 데이터의 해밍 웨이트에 따른 실험 동향을 예측한 후 하드웨어 대응방법들에 대한 동향과 문제점들을 기술한다.

  • PDF

Comparison of MEL-LPC and LPC-MEL Analysis Method for the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s.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을 위한 MEL-LPC 분석 방법과 LPC-MEL 분석 방법의 비교)

  • 김주곤;김범국;정호열;정현열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833-83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청각 주파수 분해능을 가진 MEL-LPC Cepstrum을 음소단위의 HMM(Hidden Markov Model)을 기반으로 하는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선형예측(LP) 분석 후에 후처리로서 주파수를 왜곡시킨 LPC-MEL 분석이 계산량이 적고 효과적이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주파수 분해능은 많이 개선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분해능을 개선하기 위해, 원 음성신호로부터 직접적으로 멜주파수로 왜곡시킨 후 선형 예측 분석을 수행하는 MEL-LPC 분석방법을 이용한 음소기반의 화자 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여 기존의 LPC-MEL 분석방법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MEL-LPC 분석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음성 데이터베이스는 음소 및 단어 인식실험에서는 ETRI 445단어 DB, 연속 숫자음인식 실험에서는 KLE 4연속 숫자음 DB를 사용하였다. 화자 독립 음소인식 실험의 경우, 묵음을 제외한 47개의 유사 음소에 대하여 4상태 3출력의 Left-to-Right 모델을이용하였다. 단어 및 연속 숫자음 인식 실험의 경우, 유한상태 네트워크에 의한 OPDP법을 이용하였다. 화자 독립 음소, 단어 및 4연속 숫자음 인식 실험결과, 기존의 LPC-MEL Cepstrum을 사용한 경우보다 MEL-LPC Cepstum을 사용한 경우가 더 높은 인식률을 나타내어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MEL-LPC 분석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s in Information Retrieval (정보검색에서 실험연구 방법을 이용한 연구의 분석)

  • 곽철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5 no.3
    • /
    • pp.27-4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l to analyze the papers of experiments in information retrieval for systematic categorization. The result shows that broad categories are systems, units of analysis, variables. It found three subcategories in the units of analysis: search results, queries, user. Variables are divided into human variable and non-human variables and each variables are divided into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subcategories.

  • PDF

Graphical Models for DNA Microarray Data Mining

  • 양진산;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2.06a
    • /
    • pp.49-61
    • /
    • 2002
  • 현대적 실험방법 및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최근 생물학적 자료는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자료의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석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는 전통적인 생물적 실험에 있어서 실험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실험비용을 줄여 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별히 micro array data의 분석에 있어서 graphical model에 기반한 기계학습 방법들을 소개한다. 이중 GTM 은 특히 시각화 효과가 뛰어난 방법으로 Graphical model 에 기반한 GTM의 제반 특성을 소개하고 이를 yeast data의 분석에 적용시킨 결과를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Presentation file을 수신 보관 중)

  • PDF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Hong Ik University (균일분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얼굴인식 시스템)

  • 조성원;박준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71-175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LVQ(Learning Vector Quentization) 신경회로망의 새로운 가중치 초기화법을 제안하고 이를 얼굴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초기가중치를 패턴 결정 경계면 주변에 설정함으로써 인식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얼굴인식의 특징 추출 방법으로서는 주성분 분석, 모멘트, 푸리에 기술자, 모멘트+주성분 분석 및 푸리에 기술자+주성분 분석 등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인식부의 LVQ 신경회로망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가중치를 최초 패턴으로 가지는 경우, 평균값을 취하는 경우, 랜덤하게 사용하는 경우 등에 비해서 우수한 인식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to Characterize the Transport of Microplastics in Saturated Porous Media (포화 다공성 매체에서 미세플라스틱 이동 특성 규명을 위한 정량분석 방법 개발 연구)

  • Suhyeon Park;Minjune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76-376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담수 자원인 지하수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하수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오염을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 대수층 내 현장 실태조사가 수행 중에 있으며, 실험실 규모의 컬럼 실험을 통해 지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 이동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많은 개수의 분석 시료를 동반하며,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 정량분석을 위해서 고가의 분석기기(라만분광기,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분광기, 열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의 종류를 판별하고 개수를 측정하고 있다. 또한, 컬럼 실험을 수행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 정량분석을 위해 탁도 분석,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 현미경을 이용한 계수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고가의 분석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유체 속 다른 물질이 포함되어있을 경우에 민감하고 농도를 비율 혹은 개수로 표현하기 때문에 질량 측면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농도를 과소·과대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현미경을 이용한 계수 방법의 경우에는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위에 언급한 다양한 분석법들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 내 미세플라스틱 이동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내 실험에 사용될 수 있는 형광이미지 기반의 미세플라스틱 정량분석법을 개발하였다. Nile Red 형광염료를 이용하여 미세플라스틱을 염색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미세플라스틱 시료의 질량과 미세플라스틱 형광이미지의 형광강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Nile Red로 염색된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수중 노출 테스트를 진행하여, 실내 대수층 모의실험 시 미세플라스틱 질량을 정량화할 수 있는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상관 분석 결과, 미세플라스틱 질량과 이미지의 형광강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중 노출 실험 전과 후의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형광강도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세플라스틱 정량분석 방법이 포화 다공성 매체로 구성된 컬럼실험 시 유출수의 미세플라스틱 질량 추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되며, 대수층 내 미세플라스틱의 이동 특성 규명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Trend and The Issues of Domestic Studies in Relation to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과학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이슈)

  • Kang, Kyung H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4 no.1
    • /
    • pp.23-3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domestic studies related to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We reviewed articles published according to year, method, subjects and topic. The methods reported commonly in science education books were extracted. Experiment, coope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were methods which had been researched widely. Experimental study of them was utilized most. And next content analysis, survey, and case study were utilized much. The most object of experimental study was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reviewed papers showed effects which were related to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inquiry ability and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research to apply and develop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variously. We ought to enlarge research direction to analyze context which applies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educational field by qualitative study. We should try to study effect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longitudinally and latitudinally.

  • PDF

Cleaning Procedure for Stopping Residue Interference on Glassware and Equipment in Laboratory (실험기구의 재사용 강화를 위한 세척방법에 관한 소고)

  • 이용욱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18 no.2
    • /
    • pp.1-2
    • /
    • 1992
  • 실험기구의 청결도는 실험 및 분석에 있어서 생명과 같이 중용한 것으로 실험실에서 초자기구와 그외 기구, 그리고 장비 등을 사용하는 연구자와 실험요원들이 원하는 바는 이 기구들이 완전히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찌꺼기들은 시료분석의 오차를 유발하고, 분리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미생물 실험에 있어서는 2차 감염이나 배양물 성장저해 그리고 신속성이 낮아지는 결과 등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기구는 청결히 세척되어야 하며 어떠한 방해물질도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이는 바로 적절한 세척제를 선택하고 또한 효과적인 세척방법이 병행되어야 함을 뜻한다. 본 고에서는 세척제의 선택과 세척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논해보고자 한다.

  • PDF

Tracer Test on Transverse Mixing in Natural Streams (자연하천에서 횡혼합에 관한 추적자 실험)

  • Baek, Kyong Oh;Seo, Il Won;Jeon, Tae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409-413
    • /
    • 2004
  • 자연하천에서의 횡혼합 특성을 분석하고 횡분산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추적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추적자 실험은 섬강에서 세번, 홍천강에서 두번, 청미천에서 한번, 총 여섯 군데에서 실행되었다. 각각의 실험에서 속도, 수심, 유속과 같은 수리량이 측정되었다. 추적자로서는 미량으로도 관측이 용이하며 병원에서 진찰용으로 사용할 만큼 인체에 해롭지 않은 방사성 동위원소 (I-131)를 사용하였다. 추적자 실험을 통해 얻어진 농도데이터와 수리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횡분산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때 모멘트 방법과 수정모멘트 방법 그리고 유관모형 추적법이 사용되었다. 세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횡분산계수를 토대로 각각의 방법이 자연하천에서의 횡분산계수를 산정하는데 합당할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여섯 경우의 지형이 다른 자연하천에서 구한 횡분산계수를 토대로 하천의 형상에 의해 하천에서의 횡분산 거동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a Small Scale Time-Course Microarray Experiment (소규모 경시적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의 통계적 분석)

  • Lee, Keun-Young;Yang, Sang-Hwa;Kim, By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1
    • /
    • pp.65-80
    • /
    • 2008
  • Small scale time-course microarray experiments are those which have a small number of time points. They comprise about 80 percent of all time-course microarray experiments conducted up to 2005. Several statistical methods for the small scale time-course microarray experiments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applied three methods, namely, QR method, maSigPro method and STEM, to a real time-course microarray experiment which had six time points.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se three methods based on a simulation study and concluded that STEM outperformed, in general, in terms of power when the FDR was set to be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