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험 개선

검색결과 10,632건 처리시간 0.045초

미국 Washington D.C.의 장기간 추적자 확산실험자료를 이용한 INPUFF Model과 ISC Model의 평가 (Evaluation of INPUFF and ISC Model Using Longterm Tracer Experiment in Washington D.C.)

  • 이종범;송은영;황윤성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8-179
    • /
    • 2000
  • 최근 들어 인체에 무해하고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추적기체를 이용한 확산실험을 통해 기존의 대기오염 확산모델 등에 대한 평가 및 개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정 지형을 대상으로 한 확산실험도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지역에서의 오염물질의 이동과 확산은 오염물질의 농도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중략)

  • PDF

CALPUFF 모델을 이용한 서해상 추적자 확산실험의 적정 배출조건 설정 (Proper Emission Condition of Western Sea Tracer Dispersion Experiment Using CALPUFF Model)

  • 이종범;황윤성;이강웅;노철언;최덕일;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0-202
    • /
    • 2000
  • 도시지역에서의 오염물질의 이동과 확산은 오염물질의 농도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최근 들어 인체에 무해하고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추적기체를 이용한 확산실험을 통해 기존의 대기오염 확산모델 등에 대한 평가 및 개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정 지형을 대상으로 한 확산실험도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다목적 홀의 음장 가변 시스템 (Sound Field Control System for Multipurpose Halls)

  • 강성훈;이재원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83-286
    • /
    • 2001
  • 본 논문은 전기적으로 음장을 가변하여 청감적 인상에 변화를 주는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실험은 마이크로폰으로 무대의 음원을 수음하고 잔향기로 옆방향 반사음과 잔향음을 각각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였다. 실험 결과 실내의 청감적 인상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 음원 수음 시 발생하는 하울링, 실내 잔향과 다른 스피커의 음색, 잔향기에서 발생하는 음색 변조 둥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IFCI를 이용한 FARO L-14 실험 모의(ISP-39)

  • 황문규;김희동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732-73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IFC6.0코드 검증과 개선점 파악을 목적으로 유럽공동체 연구소 JRC-Ispra에서 수행한 Faro L-14실험을 모의하였으며 이는 ISP-39 참여하에 수행하였다. ISP-39는 용융물과 냉각재 반응 시 용융물 냉각 현상에 있어 관련 해석 코드를 검증하고 각 코드의 한계점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계산 결과 용기 내 압력상승 및 냉각재 상승에 관한 경향은 잘 모의하고 있다. 한편 절대값에 있어 실험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냉각재와의 혼합 시 용융물의 분쇄가 실제보다 덜 예측되고 이에 따른 열전달량의 예측 미달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결국 Lagrangian코드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PDF

수조 및 저수지 실험을 통한 수중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법 순방향 링크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Underwat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on Forward-Link through Water-Tank and Lake Experiment)

  • 서보민;손권;조호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2호
    • /
    • pp.199-208
    • /
    • 2014
  •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법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강인하고 높은 주파수 재사용 효율 특성으로 인해 열악한 수중 환경에서의 유망한 매체 접속 제어 기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중 매체 접속 제어기법의 성능 분석이 모의실험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해상 및 저수지에서의 실제 실험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중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법의 순방향 링크에 대한 트랜스시버를 설계한다. 수조 실험을 통해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법의 수중 환경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며, 수조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된 성능의 트랜스시버를 설계하고 모의실험과 저수지 실험을 통해 성능 개선을 확인한다. 사용자 데이터는 월시 부호를 사용하여 다중화되며, PN 획득 과정을 통해 위상 오류 정정 및 PN 부호 역확산을 수행한다. 또한 성능 향상을 위해 인터리빙 기법과 높은 오류 정정 효율을 가지는 채널 부호화 기법을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다중화 데이터는 모두 오류 없이 복원되었으며, 세 개, 네 개의 다중화 데이터는 15% 이하의 오류율로 복원되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접합부의 구조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Joints for Precast Concrete Segment)

  • 이영학;김민숙;정보나;김희철;김관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9-65
    • /
    • 2009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공법은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각 세그먼트의 조립으로 인한 접합부의 응력집중 및 큰 변위로 인해 구조적으로 불리한 거동을 보여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폭넓은 적용에 있어 그 한계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 성능이 개선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접합부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균열 및 파괴양상, 변형률, 최대하중, 변위 연성도의 측면에서 제안한 접합부의 구조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성 및 구조성능을 고려하여 전단키 및 포스트텐션, 강봉 등의 적용여부를 변수로 한 접합부를 제안하고 이에 대해 정적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전단키 및 포스트텐션을 적용한 SGSP 실험체는 최대하중의 측면에서 일체형 실험체에 비해 약 86%에 준하는 내력을 보였으며 연성 측면에서는 일체형 실험체의 연성 능력 이상의 연성거동을 보임으로써 제안한 접합부의 개선된 구조성능 및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선 가시화를 이용한 FEM과 실험에 의한 진동판에 대한 개선된 진동 벡터 인텐시티장 (Improved Vibration Vector Intensity Field for FEM and Experimental Vibrating Plate Using Streamlines Visualization)

  • 누룰 파와지;정재은;오재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8호
    • /
    • pp.777-783
    • /
    • 2012
  • 진동 인텐시티는 진동시스템에서 진동원의 위치를 찾는데 사용되어 왔다. 벡터 표현법 사용에 의해 파워흐름의 원인과 진동에너지 전달경로가 밝혀질 수 있다. 그러나, 판과 같은 구조물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벡터 가시화를 사용하여 명확한 전달경로를 알아낼 수 없었다. 실험적으로 큰 면적의 물체에서는 측정점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이것은 측정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FEM과 실험에 의한 모든 면에서 파워흐름 전달경로를 분명하게 가리키기 위해 유선 표현법이 사용되었다. 진동 인텐시티 전달경로를 분명하게 향상시키기 위해 실험과 FEM으로부터의 유선 표현을 비교하였다. 또한 FEM과 실험의 개선된 전달경로 가시화를 기존의 벡터표현과 비교하였다. 이 유선 가시화는 큰 표면을 갖는 판과 같은 구조물에 대해 진동원과 상세한 에너지 전달경로를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그 뿐만 아니라, 이 가시화 방법은 실험과 FEM 해석에 대해 많은 측정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직교배열실험을 이용한 자동채염기 구조설계의 민감도해석과 대리모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urrogate Models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Structure Design of Automatic Salt Collector Using Orthogonal Array Experiment)

  • 송창용;이동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8-146
    • /
    • 2020
  • 본 논문은 다양한 설계하중조건 상태에서 자동채염기 구조설계의 성능분석과 개선을 위해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설계민감도 평가와 대리모델의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계획법은 수치해석 기반의 직교배열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설계인자는 주요 구조부재의 두께치수 변수를 고려하였고, 응답치는 중량과 강도성능을 선정하였다. 직교배열실험을 통해 설계인자 별 응답치에 대한 정량적인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최소의 중량증감으로 구조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조건을 탐색하였다. 직교배열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반응표면모델, 크리깅모델, 그리고 체비쇼프 직교 다항식과 같은 다양한 대리모델을 생성하였다. 대리모델의 결과를 통해 직교배열실험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자동채염기 구조설계 공간 탐색에는 반응표면모델이 가장 적합한 대리모델로 평가되었다.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발효 생강나무 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fermented Lindera obtusiloba flower extract)

  • 박상남;윤중수;이옥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96-3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강나무 꽃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해 DPPH 실험, ABTS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폴리페놀 농도 측정,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통해 항산화 물질의 정량을 실시하였다. 플라보노이드, DPPH, ABTS에서는 발효 후의 항산화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5.0%, DPPH 실험에서는 33.27%, ABTS 실험에서는 29.82%의 항산화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항염능 실험에서는 세포 독성 실험과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항염능을 알아보기 위한 NO 생성 억제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독성의 경우 대조군과 발효군 모두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지만 발효군에서 더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발효군이 대조군에 비해 50% 이상의 항염능 증가를 보여 발효 생강나무꽃이 기존 생강나무 꽃에 비해 더 개선된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홍수도달시간 산정식 적용성 개선을 위한 실증실험 (Empirical experiment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formula for time of concentration)

  • 금호준;고택조;주재승;김예림;정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3-123
    • /
    • 2021
  • 도시하천유역이나 복합유역 등 지역적 성향을 고려한 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 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유하시간보다 유입시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유하시간만을 고려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할 때, 소규모 유역의 경우 하도가 없고 유역면적이 5km2 내외 또는 하도의 저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도달시간이 짧아 홍수량이 과대 산정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재해영향성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에서는 도달시간 이외에 매개변수인 저류상수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왜곡한다는 근복적인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중·대규모 하천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홍수 도달시간 산정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입시간이 지배적인 소규모 복합유역에 적용 가능한 도달시간 산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증실험을 통해 기존 유입시간 산정식을 개선하고,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홍수도달 시간 측정을 위한 강우유출 실내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장치는 본체(길이3m×폭1.2m×높이0.8m)와 경사조절 장치(0~15도)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전면부를 타공(ø10mm)하고 상·하단에서 지표와 기저유출을 집수하여 티핑버킷으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토체 내에는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강우유출 발생시간 동안 토양수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흐름인 유하시간(Kraven 공식)을 계산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기 보다 지표면 흐름인 유입시간(Kerby 공식)에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불투수 면적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달시간은 감소하고, 불투수 유역이 하류에 위치할수록 유출발생시간이 빨라졌다. 실증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기존 유하시간과 저류상수를 보정하는 도달시간 산정방식(연속형 Kraven)과 유입시간을 보정한 도달시간 산정(수정 Kerby)으로 도출된 유출량을 실측 유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에서 모의된 홍수량이 기존 방식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첨두홍수량을 보였으며, 설계자 임의성이 배제된 일관성있는 해석값을 제시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