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측자료

Search Result 1,54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pplication of Sediment Yield Estimation Methods for an Urbanized Basin (도시유역에 대한 토사유출량 모의기법 적용성 검토)

  • Son, Kwang-Ik;Roh, Jin-W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9
    • /
    • pp.737-745
    • /
    • 2009
  • Field measured sediment yield from an experimental urbanized basin was compared with the predicted sediment yields with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MUSLE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he experimental basin is 3.1km2 in area and fifty six percent of the total area had been urbanized. The hydrological data have been measured with T/M at the outlet of the experimental basin. Runoff from the basin and rainfall depth of the basin were measured every minute. Bed load and suspended load were also measured for a given flow rate. Runoff rating curves and sediment rating curve were developed for the last three years. RUSLE showed scattered prediction results but the average of the prediction values was close to the measured one. Meanwhile, MUSLE showed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sediment yield and predicted one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But MUSLE predicts high values than the real one. Therefore, adjustment is necessary to apply MUSLE in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from the experimental urbanized basin.

A Comparative Study of Monte Carlo and Autoregressive Methods for the Synthetic Generation of river Flows (하천유량의 모의발생을 위한 Monte Carlo 방법과 Autoregressive 방법의 비교)

  • 윤용남;이은태
    • Water for future
    • /
    • v.18 no.4
    • /
    • pp.335-345
    • /
    • 1985
  • The purpose of stochastic models for synthetic generation of river flows based on the short-term observed data is to provide abundant input data to the water resources systems of which the system performance and operation policy are to be determined beforehand. Among many of such models the Monte Carlo Method of synthetic generation, which is usually known to be appropriate for annual data generation, is employed to check if it can be applied for the generation of monthly flows.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s the statistical parameters of the generated monthly flows by Monte Carlo model based on the a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mont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generated flows by Thoms-Fiering multiseason model and with those of the observed monthly flows. On the other hand, the statistical parameters of the annual river flows obtained by adding the generated monthly flows year by year based on the Monte Carlo and Thomas-Fiering model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annual flows generated directly by annual Monte Carlo model with reference to those for the observed annual river flows. Based on the above comparative studies, the discussions are made and conclusions derived.

  • PDF

An Application of SWAT-K Model for Agricultural Watershed (복합유역 물수지 해석을 위한 SWAT-K 모형의 적용성 분석)

  • Park, Ki-Wook;Kim, Dong-Ju;Jo,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78-118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국내 적용을 위해 농촌용수지구의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기존 유출량 산정모형과 산정결과를 비교하였다. 모형을 적용을 위한 대상지구는 경기 평택, 용인에 위치한 이동저수지를 포함하는 용남용수구역을 선정하였다. 본 대상지구는 2001년 이후 농업지역의 수문관측을 위해 계측망을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는 지구로써 저수위, 하천수위, 강수량 등의 관측을 실시하고 있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기존의 GIS 자료와 대상지구에서 관측된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고 증발산량 산정에 필요한 다른 기상자료는 인근 수원측후소의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모형을 통해 산정된 유출량은 덕성교, 재인교, 묵방교, 미산교의 네 지점에서 측정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농업지역에서 저수지 운영 및 공급량 산정을 위해 많이 쓰이는 HOMWRS 모형과 비교한 결과 평균유출량이 덕성교 지점의 경우 1,651천$m^3$, 묵방교는 619천$m^3$이며 HOMWRS의 경우 덕성교 3,155천$m^3$, 묵방교 885천$m^3$로 각각 산정되었고, 이 지점의 실측 유출량은 덕성교 3,500천$m^3$, 묵방교 1,610천$m^3$로 실측값의 47%, 38%로 각각 산정되어 총유출량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SWAT 모형으로 일별 장기유출량을 추정한 결과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미산교, 묵방교에서의 일별, 월별 장기유출량은 실측치와 매우 가까운 값을 보였다. 그러나 상류지점에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어 저수지의 영향을 받고 있는 덕성교와 재인교에서의 장기유출량은 관측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실측값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저수지 및 관개수량의 환원수량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유출량을 산정한 결과로 SWAT 모형의 관개지구에 적용을 위해서는 저수지의 영향, 환원수량 및 관개용수 공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PDF

Hydrologic Disaggregation Model using Neural Networks Technique (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수문학적 분해모형)

  • Kim, Sung-W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79-9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neural networks models for the hydrologic disaggregation of the yearly pan evaporation(PE) data in Republic of Korea. The neural networks models consist of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s model(MLP-NNM) and support vector machine neural networks model(SVM-NNM), respectively. And, for the evaluation of the neural networks models, they are composed of training and test performances, respectively. The three types of data such as the historic, the generated, and the mixed data are used for the training performance. The only historic data, however, is used for the testing performance. The application of MLP-NNM and SVM-NNM for the hydrologic disaggregation of nonlinear time series data is evaluated from results of this research. Four kinds of the statistical index for the evaluation are suggested; CC, RMSE, E, and AARE, respectively. Homogeneity test using ANOVA and Mann-Whitney U test, furthermore, is carried out for the observed and calculated monthly PE data. We can construct the credible monthly PE data from the hydrologic disaggregation of the yearly PE data, and the available data for the evaluati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networks system can be suggested.

Review of the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Method of Harbor Tranquility (항만정온도 추정방법 개선방안 검토)

  • Jeong, Weon Mu;Ryu, Kyo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6
    • /
    • pp.397-404
    • /
    • 2014
  • In Korea, harbor tranquility is generally estimated by using both methods of investigating harbor calmness under abnormal wave condition and evaluating the harbor serviceability. The efficiency of the former method is questionable as the tranquility of a harbor is judged by a wave height criterion that is arbitrarily determined without rational basis. In case of the latter method, the utilization rate of a harbor is estimated by using the exceedance probability of wave height or the distribution of wave heights and periods that is obtained from longterm measured or hindcasted wave data. Use of long-term data is desirable in order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exceedance probability. Meanwhil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maximum allowable wave height for cargo handling works is too simple and has limitations for being used in an actual field condition. Problems of existing method for estimating harbor tranquility were verified by the wave observation data in Busan New Port. And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bservation data wa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long-term wave monitoring inside and outside of major ports in Korea in order to establish more advanced standard for evaluating harbor tranquility based on such observed wave data.

An Analysis of River-Bed Changes in the Daecheong Dam Downstream (대청댐 하류구간에 대한 하상변동 분석)

  • Jeong, Sang-Man;Choi, Kyu-Ho;Kim, D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96-1600
    • /
    • 2006
  • 자연적인 하천은 하도 상황의 변경,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 댐과 저수지, 하천 골재채취의 영향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하상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청댐 하류구간의 실측자료를 토대로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하여 예측된 결과와 실측단면을 비교하였으며, 실측단면이 장기하상변동 모의결과보다 상당히 저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금강의 측량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금강의 하상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대청댐 상류보다 저하폭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분석 결과 대청댐 건설로 인한 유사차단으로 인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요원인으로 금강의 골재채취가 금강하류 하상변동에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pendence of Oceanic Ambient Noise Due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ound Velocity (음속의 수직분포에 따른 해수중 주위잡음의 의존성)

  • 최복경;김봉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3-9
    • /
    • 1998
  • 해수중 주위잡음에 미치는 음속구조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직 음속분 포를 가지는 경우에 대한 음파전달 모델의 결과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해수중 주위잡음의 실측자료를 이러한 모델결과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표층 도파관(surface waveguide) 이 형성되는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주위잡음의 실측자료와 모델결과를 비교한 결과, 표 층 도파관은 수심의 증가에 따라 음속이 증가하는 양의 음속 기울기를 가질 때 뿐만 아니라 음속이 어느 수심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상하 두 층의 음속 균일층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잘 형성되고 있었다. 특히, 표층 도파관내의 주위잡음 레벨은 도파관 이심의 주위잡음 레벨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음파전달 모델에 의한 수치계산 결과로부터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occurred flow change on dry section in Anyangcheon (소하천 유역에서의 강우 오염부하량 강우-상관관계 분석)

  • Kim, Man-Sik;Lee, Dong-Ryul;Kim,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63-967
    • /
    • 2006
  • 어떤 강우사상에 대해서 특정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은 첨두농도, 산술 평균농도, 첨두 오염물질 부하량, 평균 오염물질 부하량 또는 총 유출 부하량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이재수 등, 2001).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강우시 발생하는 총 부하량이 개개의 농도 또는 첨두 부하량보다 더욱 중요하다. 그 이유는 유출사상이 비교적 짧고,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수체, 특히 저수지나 댐 내에서는 어느 정도의 혼합 현상이 수반되므로 저수지내의 오염물질 농도는 강우로 인한 유출수(저수지로 유입되는)내 개개의 농도변화보다는 결국 총 부하량의 반응이기 때문이다. 특히, 저수지나 호수에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에 대해서 총 부하량은 가장 중요한 수질영향 및 결정 변수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강우사상에 대한 평균농도 또는 유량가중 평균농도(EMC, event mean concentration)는 비점원 오염물질의 유출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절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EPA, 1983). 본 연구에서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과 수질농도를 실측하여 대상하천에 대한 수문자료를 구축하고, 오염부하모의 모형을 통해 대상유역에서의 강우사상별 오염부하량을 모의하였는데 모형의 보정은 실측된 유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실측된 수질농도자료와 유량자료로 산정한 오염부하량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형에 대하여 100개의 강우사상에 대한 무작위 모의를 수행하였고, 결과자료를 활용하여 대상하천에 대한 강우-오염부하량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Stream Bed Variation at the Down Stream Part of Ji-chun (지천 하류부의 하상변동 분석)

  • Choi Ho;Jung Jae Uk;Lim Chang So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65-9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상변동 예측모형 중에서 HEC-6와 GSTARS 모형을 선택하여 지천 하류부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고 실측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구간은 지천하류부의 신지천교부터 상류쪽으로 1320m구간이다. 2003년 11월 7일에 하천측량을 실시하고 2004년 6월 24일과 2004년 9월 24일에 측량을 실시하였다. 하상재료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2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채가름 분석에 의해 입도분포 곡선을 작성하였다. 두 모형의 경계조건으로는 수위-유량자료와 유입 유사량 자료가 필요하므로 수위-유량 자료는 대상구간의 신지천교 구룡 수위표에서 얻었고, 유입 유사량은 Toffaleti공식, Meyer-Peter와 Muller공식, Ackers와 White공식 3가지 방법으로 산정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유입 유사량 산정공식 중에서 지천 하류부의 하상변동을 실측치와 가장 유사하게 예측한 공식은 Toffaleti 공식이었으며 최심부의 종방향 하상변동은 GSTARS 모형이 HEC-6 모형보다 실측치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