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측간격계수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Wind field prediction through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under tropical cyclones (생성적 적대 신경망 (GAN)을 통한 태풍 바람장 예측)

  • Na, Byoungjoon;So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0-370
    • /
    • 2021
  •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경로, 강도 및 폭풍해일의 사전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이중, 태풍의 경로와는 달리 강도 및 폭풍해일의 예측에 있어서 바람장은 수치 모델의 초기 입력값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정확한 바람장 정보는 필수적이다. 대기 바람장 예측 방법은 크게 해석적 모델링, 라디오존데 측정과 위성 사진을 통한 산출로 구분할 수 있다. Holland의 해석적 모델링은 비교적 적은 입력값이 필요하지만 정확도가 낮고, 라디오존데 측정은 정확도가 높지만 점 측정에 가깝기 때문에 이차원 바람장을 산출하기에 한계가 있다. 위성 사진을 통한 바람장 산출은 위성기술의 고도화로 관측 채널 수 및 시공간 해상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통해 일련의 연속된 과거 적외 채널 위성 사진 흐름의 패턴을 학습시켜 미래 위성 사진을 예측하고, 예측된 연속적인 위성 사진들의 교차상관 (cross-correlation)을 통해 바람장을 산출하였다. GAN을 적용함에 있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한반도 근방에 접근했던 태풍 중에 4등급 이상인 68개의 태풍의 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된 총 15,683개의 위성 사진을 학습시켜 생성된 이미지들은 실측 위성 사진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성된 이미지들의 교차상관으로 얻어진 바람장 벡터들의 풍향, 풍속, 벡터 일관성 및 수치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벡터들의 품질 계수를 구하고 정확도가 높은 벡터들만 결과에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6개의 라디오존데 관측점에서의 실측 벡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장하여, 이와 같이 AI 기법과 이미지 교차상관 기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바람장으로부터 태풍 강도예측에 필요한 요소인 태풍의 눈의 위치, 최고 속도와 태풍 반경을 직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위성 사진을 기반으로 한 바람장은 단순화된 해석적 바람장을 대체하여 폭풍 해일 모델링의 예측 성능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Assessment of Depth-averaged Velocity Conversion Factors in a Natural River with Measured Velocities (자연하천의 유속측정에 의한 수심평균유속환산계수의 산정)

  • Kim, Young-Sung;Lee, Hyun-Seok;Yang, Jae-Rheen;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97-1901
    • /
    • 2010
  • 이동식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홍수유량의 산정을 위해서 임의의 유량측정지점에서 측정한 표면유속 값에 수심평균유속환산계수 0.85를 적용하여 그 지점의 평균유속을 계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지점에서 흐름조건 및 기상학적으로 요인으로 인한 이 계수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유량을 산정하게 되어 각 흐름조건을 고려한 유량산정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하천 현장에서 표면유속과 수심별유속의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흐름조건에 따른 표면유속과 평균유속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용담 수자원시험유역의 동향지점에서 하천을 횡단하며 바닥에서 수표면까지 수심방향으로 0.05~0.10 m의 간격으로 프로펠러 유속계를 이용하여 정밀법으로 각 수심에서의 유속을 측정하였다. 정밀측정된 수심별 유속을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하고 이를 수체 (water column)의 가장 최상층에서 측정한 유속을 표면유속으로 가정한후 이로부터 수심평균유속환산계수를 산정하여 흐름조건에 따른 계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천 현장에서 흐름조건의 변화에 따른 표면유속과 수심별유속의 정밀측정을 통한 이들 깊이별 유속의 변화여부를 용담수자원시험유역의 동향지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당시 풍속이 느려서 (1.5~3.1 m/s) 바람으로 인한 유속에 미치는 영향이 수심별 유속분포상으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양안에서 평균유속과 표면유속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는데 이는 벽면 마찰에 바닥마찰의 영향이 추가됨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수심별 유속측정 결과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환산계수가 0.632~1.352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환산계수가 1.0 이상인 경우는 양안에 인접한 두 지점인데, 이들 두 경우는 유속분포가 이론적인 유속분포와는 상반된 유속이 측정 - 표면유속이 수심평균유속보다 느림 - 되었다. 환산계수가 0.6~0.8 사이에서 형성된 경우는 표면유속이 평균유속보다 25~55% 정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제 측정결과를 검토해보면, 전반적으로 양안에 인접한 측선에서 표면유속이 평균유속보다 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유속이 1.0 m/s 이상인 경우에 0.677~0.790의 환산계수 값을 보이는데 이 경우 수심이 50 cm 이하여서 바닥마찰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흐름조건별 표면유속과 수심별유속의 측정을 할 수 있는 현장여건 - 유속, 수위 등의 동일흐름 조건에 대해서 -에 많은 부분이 제약되어 이의 정밀분석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측정시의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흐름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실내실험장치를 이용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 PDF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South Korea using Terra MODIS images and METRIC model (Terra MODIS 위성영상과 METRIC 모형을 이용한 전국 증발산량 산정)

  • Kim, Jin Uk;Lee, Yong Gwan;Chung, Jee Hu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3-10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erra MODIS 위성영상과 Mapping Evapotranspiration at high Resolution with Internalized Calibration (METRIC) 모형을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한반도 전국의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플럭스 타워 실측 증발산량과 비교하였다. METRIC은 전 세계에 널리 적용된 바 있는 에너지 수지 기반의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SEBAL) 모형의 개념과 기술을 기반으로 현열(Sensible Heat Flux) 추정 모듈을 개선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METRIC 모형은 기존 C#으로 개발되어 있던 SEBAL 코드에서 현열 추정 모듈을 수정하였고 연산 속도 개선을 위해 Python으로 재작성하였다. METRIC 모형의 위성 자료로 Terra MODIS 위성의 MOD13A2(16day, 1km) NDVI, MOD11A1(Daily, 1km)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및 MCD43A3(Daily, 500m) Albedo를 구축하였으며 500m 공간해상도의 Albedo는 1000m 해상도로 resample하여 활용하였다. 기상자료는 기상청 기상관측소의 풍속, 풍속측정높이, 습도, 10분 간격 이슬점 온도, 일사량 자료를 위성 자료와 같은 공간해상도로 내삽(Interpolation)하여 구축하였다. 모형결과 검증을 위해 국내 플럭스 타워 (설마천, 청미천, 덕유산) 증발산량 관측 자료와의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MSE(Root mean square error) relative RMSE (RMS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및 IOA(Index of Agreement)를 산정하고, 기존 SEBAL 모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본 모형의 개선점을 보이고자 한다.

  • PDF

Preliminary assessment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effect using vertical wells based on a numerical model (수치모델을 활용한 수직정의 지하수 인공함양 효과 예비 평가)

  • Choi, Myoung-Rak;Hwang, Chan-Ik;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0-290
    • /
    • 2020
  • 연구지역인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신곡마을은 상시 가뭄지역으로서 농번기 물부족을 겪고 있으며, 물 확보의 수단으로서 지하수 인공함양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수직정 방식의 지하수 인공함양시 주입 효과를 예비 평가하였다. 모델 지역은 가로 세로 2,450 × 2,350 m로서 10 × 10 m 간격의 격자로 구성하였으며, 현장에서 실시된 지하수위 조사 및 9공의 시추조사, 1개공의 양수시험 결과로부터 수리전도도, 지층분포 등을 구성하였다. 정류모델결과, 실측 및 예측 지하수위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는 0.53 m, 표준화제곱근오차(Normalized RMS)는 6.79%, 상관계수는 0.99%로 나타났다. 수직정을 통한 주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입량을 5 ㎥/d, 10 ㎥/d, 15 ㎥/d, 20㎥/d, 주입기간을 1일, 3일, 7일, 우물의 개수를 1개, 3개, 5개일 때 등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부정류 모델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주입의 효과인 지하수위 상승량 및 상승 범위 등을 토대로 물 부족 기간의 인공함양 시나리오(주입정의 위치, 갯수, 심도, 기간 등)를 예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추후 정밀 모델 및 실제 현장 주입 시험 등을 토대로 인공함양 설계를 추진할 예정이다.

  • PDF

Study on Water Quality Predictability throug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Non-point Pollutant Management Area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의 머신러닝 기법을 통한 수질 예측 가능성 연구)

  • Yeong Na Yu;Min Hwan Shin;Dong Hyuk Kum;Kyoung Jae Lim;Jong G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7-467
    • /
    • 2023
  •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수질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비점오염원이 문제가 되고 있는 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마련이 어려운 실정이다. 기존에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동측정망은 1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나, 비점오염원이 문제가 되는 유역에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수온, DO, pH 등 현장항목만을 측정하고 있어 하천의 수질오염을 대표할 수 있는 T-P나 SS 등의 수질분석 항목의 부재하다. 이로인해 유역의 수질개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오염원의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 중 골지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질항목별 상관성을 분석하고,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DT, MLP, SVM, RF, GB, XGB 등의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수질 예측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입력변수인 탁도 항목이 예측 수질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항목에서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수질 예측 분석 결과, 검무교와 태봉2교, 제1여량교는 RF 기법에서 결정계수(R2) 0.57~0.86, RMSE 16.49~175.60으로 예측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말교는 SVM 기법에서 R2 0.65, RMSE 57.69로, 송계교는 XGB 기법에서 R2 0.74, RMSE 282.86으로 가장 예측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와 같이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수질 예측은 가능하나, 예측성이 우수한 머신러닝 기법의 R2 비교 결과, 유역면적이 큰 제1여량교와 작은 관말교에서 0.57과 0.65로 다른 지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MSE 비교 결과, 상류 산간지역에 발생한 국지성 호우의 영향으로 흙탕물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 태봉2교 지점과 우선관리지역이 합류되는 송계교 지점에서 175.60과 282.86으로 예측값과 실측값의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같이 하천 수질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역면적 혹은 유역특성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추가로 적용하여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 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예측한 수질 항목 이외에 입력변수를 추가로 확보하여 수질의 예측 가능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Immunosuppressive effect of Cryptosporidium bnileyi infection on vaccination against avian infectious bronchitis in chicks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닭전염성기관지염 예방접종에 대한 면역억제 효과)

  • 이재구;양홍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6 no.3
    • /
    • pp.203-206
    • /
    • 1998
  • Two-day-old commercial chicks were inoculated orally with 2 × 106 oocysts of Cwptosporinium bailevi and vaccinated with 103.5 EID50/head of a commercially available avian infectious bronchitis (IB) live virus vaccine at 4 and 14 days following inoculation. Chicks infected with C. baileyi were shown to have an immunosuppressive effect on IB virus. It is concluded that infection with the protozoon in early life may increase their susceptibility to IB.

  • PDF

End Bearing Load Transfer Behavior of Rock Socketed Drilled Shafts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선단하중전이거동 분석)

  • Cho, Hoo-Yeon;Jung, Sang-Sum;Seol, Hoon-Il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5 no.8
    • /
    • pp.77-93
    • /
    • 2009
  • The load distribution and deformation of rock socketed drilled shafts subjected to axial loads were evaluated by a load transfer approach. The emphasis was laid on quantifying the end bearing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ock socketed drilled shafts based on 3D Finite Difference (FD) analysis performed under varying rock strength and rock mass conditions. From the results of FD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ltimate unit toe resistance ($q_{max}$) was influenced by both rock strength and rock mass conditions, while the initial tangent of end bearing load transfer curve ($G_{ini}$) was only dependent on rock strength. End bearing load transfer function of drilled shafts socketed in rock was proposed based on the FD analysis and the field loading tests which were performed on weathered rock in South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field loading tests, it is found that the load transfer curve by the present study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general trend observed by field loading tests, and thus represent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ediction of load transfer behavior of drilled shaft.

Estimation of low flow by grid-based continuous hydrologic modelling (격자기반 분포형 수문모델링을 활용한 하천갈수량 산정)

  • Lee, Yonggwan;Jang, Wonjin;Lee, Jiwan;Han, Daeyoung;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3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분포형 수문모델링을 통해 하천갈수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분포형 수문모형은 단방향흐름 알고리즘에 의한 토양 물수지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운동파(kinematic wave) 이론을 적용하여 지표 및 지표하 유출을 모의한다. 또한, 격자별로 수문학적 물수지요소인 차단량, 증발산량, 침투 및 침루량, 지하수충전량 등을 계산하며, 댐·보 방류량을 해당 지점 격자의 물수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2개의 다목적댐과 3개의 다기능보가 위치한 금강유역(9,645.5 km2)에 적용하였으며, 유역 면적과 하천 유속을 고려하여 1 km × 1 km 격자를 구성하고 10분 간격으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수문모의를 진행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 유역 인근의 12개 기상관측소로부터 시단위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검보정은 일단위 관측유량(Q), 플럭스 타워 증발산량, 실측 토양수분 및 지하수위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댐 및 보 지점에 대해 Q와 1/Q로 검보정을 수행한 결과, 평균 결정계수(R2)는 댐 지점에서 0.53~0.65, 보 지점에서 0.46~0.69의 값을 나타냈으며, Nash-Shtcliffe efficiency(NSE)는 댐 지점에서 0.46~0.55, 보 지점에서 0.31~0.65의 값을 나타냈다. 공간 보정을 위해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하수위에 대한 검보정을 수행할 예정이며, 유황곡선을 활용하여 하천차수, 토양속성 및 토지이용에 따른 하천갈수량을 분석할 예정이다.

  • PDF

Evaluation Methods of Compression Index and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by Back Analysis of Settlement Data (현장계측치로부터 역산한 압축지수와 압밀계수의 평가 방법)

  • Lee, Dal Won;Lim, Seong Hun;Kim, Ji M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27 no.1
    • /
    • pp.39-47
    • /
    • 2000
  • A large scale field test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i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parameters of the very soft clay at a test site. Compression index and the coefficient of horizontal consolidation obtained by back-analysis from the settlement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means of laboratory tests. The Hyperbolic, Asaoka's and The Curve fitting methods are used to estimate final settlements and coefficients of consolidation. 1. Final settlement predicted with the Hyperbolic method was the largest, and the settlements predicted with the Asaoka's and the Curve fitting methods were nearly the same range, and it was concluded that smear effect has to be considered on design in the case that spacing of drains is small 2. The relationships of the measured consolidation ratio (Urn) and the designed consolidation ratio($U_t$) were showed as $U_m$ = (1.13~1.17)$U_t$, $U_m$ = (1.07~1.20)$U_t$, $U_m$ = (1.13~1.17)$U_t$ on the Hyperbolic, Asaoka's and the Curve fitting methods, respectively. The relations on the Asaoka's and the Curve fitting methods were nearly the same range. 3. The relationships of the field compression index($C_{cfield}$) and virgin compression index($V_{cclab}$) were showed as $C_{cfield}$ = (1.26~1.45)$V_{cclab}$, $C_{cfield}$ = (1.08~1.15) $V_{cclab}$, $C_{cfield}$ = (1.04~1.21)$V_{cclab}$, on the Hyperbolic, Asaoka's and the Curve fitting methods, respectively. 4. The ratio ($C_h/C_v$) of the coefficient of vertical consolidation and the coefficient of horizontal consolidation that is obtained by back-analysis from the settlement data was $C_h$=(0.7~0.9)$C_v$, $C_h$=(0.9~1.5)$C_v$, $C_h$=(2.4~3.0)$C_v$ on the Hyperbolic, Asaoka's and the Curve fitting methods, respectively. 5. It was concluded that the exact consolidation coefficient must be determined after the final settlement is predicted again when the consolidation is finished, because the field consolidation coefficient is decreased as the time allowed to be alone is increased.

  • PDF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Equation for Estimating VO2max from the 20 m PSRT in Korean Middle-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20 m 점증 왕복달리기 검사를 이용한 여중생의 VO2max 추정식 개발)

  • Park, Dong-Ho;Song, Jung-Ran;Lee, Sang-Hyun;Kim, Chang-Sun
    • Exercise Science
    • /
    • v.23 no.1
    • /
    • pp.1-1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from the 20 m Progressive Shuttle Run Test (20 m PSRT) in Korean middle-school girls aged 13-15 years. The 20 m PSRT and VO2max were assessed in a sample of 194 participants. The sample was randomly split into validation (n=127) and test-retest reliability (n=99, 32 out of 127 participants also performed validity test) groups. 127 participants performed a graded exercise test (GXT, stationary gas analyser) and the 20 m PSRT (portable gas analyser) once to develop a VO2max prediction model an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modified 20 m PSRT protocol (starting at 7.5 km/h and increasing by 0.5 km/h every 1 min). 99 participants performed the 20 m PSRT twice for test-retest reliability purpose. Mean measured VO2max (39.2±5.1 ml/kg/min) from the potable gas analyz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hat measured during the GXT from stationary gas analyzer (37.7±5.7 ml/kg/min, p=.001) using the modified 20 m PSRT protocol. But it was a narrow range (1.5 ml/kg/min). The measured VO2max from the potable and stationary gas analyzers correlated at r=.88(p<.001). Test-retest of the 20 m PSRT yielded comparable results (Laps r=.88 & final speed r=.85). New regression equations were developed from present data to predict VO2max for middle-school girls: y=.231×Laps-.311×weight(in kg)+46.201 (r=.74, SEE=4.29 ml/kg/min). It is concluded that (a) the modified 20 m PSRT protocol is a valid and reliable test and (b) this eq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valid estimates of VO2max of Korean middle-school girl aged 13-15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