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천현장

검색결과 753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사회복지실천 현장 내 기본 실천기술의 실증적 확인 및 분류 (Basic Social Work Practice Skills: Its Empirical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Practice Field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6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 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현장실습교육의 운영 (Student Field Study by University-Industry Partnership)

  • 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93-195
    • /
    • 2001
  • 첨단이론과 현장실무능력을 겸비한 새로운 실천적 공학기술교육의 중심대학으로 특성화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의 학생 현장실습교육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한기대 재학생이 재학기간 중에 일정기간 동안 산업체에서 현장 실습교육을 필수 교과목으로 이수하도록 하여 산업발전에 부응하는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산업현장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산업체가 요구하는 창조적 직무수행능력을 갖춘 우수한 실천 공학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에 한기대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학생 현장실습교육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교수 현장연구학기제의 합리적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Strategy for Faculty Field Research by University-Industry Partnership)

  • 허용정;김광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79-182
    • /
    • 2001
  • 첨단이론과 현장실무능력을 겸비한 새로운 실천적 공학기술교육의 중심대학으로 특성화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의 교수 현장연구학기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경쟁력을 갖춘 실천공학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교수들이 현장연구와 경험을 통하여 실용적인 교수기법을 개발함으로써 현장 적응능력이 있는 고급기술인력을 양성, 보급할 수 있도록 교수 현장연구학기제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교수 현장연구학기제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의 내용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종합사회복지관의 종사자 훈련에 대한 적용 (Exploring Practice Tasks and KSA of Korean Social Worker : Strategics for Developing Training Contents.)

  • 조성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115-142
    • /
    • 2007
  • 현직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 프로그램은 현장의 실천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복지사가 실제로 어떤 과업을 수행하고 동시에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역량(KSA)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이를 훈련에 반영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실천과업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전국의 사회복지사 중 340명을 표본추출하여 실천현장에서 활용되는 111개의 실천과업과 업무에 필요한 89개의 지식 기술 능력(KSA)을 가지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실천영역은 '직접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 '조직전략 및 인적자원관리', '간접서비스' 영역으로 분류되고, 각 영역별로 중요한 실천과업들이 선정되었다. 동시에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이 중요도, 필요도, 보유수준 등에 따라 우선순위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 훈련 프로그램 내용개발을 위한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 PDF

사회복지 프로그램 제안서에 나타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Content Analysis on the Program Design Activities in the Proposals for Social Work Programs in Korea.)

  • 서인해;공계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1호
    • /
    • pp.103-125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결과물인 제안서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징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민간복지재단에서 전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을 대상으로 공모한 사업에서 2005년 및 2006년도에 제출된 노인복지분야의 73개 제안서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특성과 프로그램 디자인의 특성에 관하여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는 제안서의 구성과 작성하는 방법이 공모사업에서 이미 정형화가 되어 있지만 개별적인 제안서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상의 디자인 활동은 매우 다양하며, 구성요소의 영역별로 질적인 측면에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제안서 작성에서 프로그램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념 및 요소간의 논리성, 조사기술의 적용, 실천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절차화와 관련된 다양한 어려움과 혼란도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실천현장의 이러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어려움과 혼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교육,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Theori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ottom-up Perspectives)

  • 김미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07-119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서 교수 행위를 바라보는 상반된 두 가지 관점 중 bottom-up 관점에서 유아 교사의 실천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으로 유아교육에서는 top-down 관점을 중심으로 발달심리학 이론, 발달에 적합한 이론과 실제에 관한 담론, 그리고 발달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다양한 프로그램모델의 틀 안에서 유아교사의 실천과 교수행위를 정의하고 합리화해 왔다. 둘째, 이와 반대로 bottom-up 관점은 현장에서의 교사의 행위와 실천이 이론을 이끈다고 보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사가 현장에서 실천방법을 구성해 가는데 초점을 둔다. 이 관점에서 실천은 이론의 근거가 되며, 교사는 암묵적 이론을 형성하면서 연구자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서 개인경험, 학교풍토와 맥락, 그리고 우세한 교육담론이 교사의 이론을 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다. 셋째, 실제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결과로부터 예비교사는 경험으로부터 오는 교수에 대한 기대가 양성과정에서의 담론과의 교류, 실습 및 학교의 영향으로부터 교수에 대한 이론을 발달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현직교사들은 그들이 지닌 암묵적 지식의 전개가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행정적 압력 및 현장의 복잡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개인적으로 발달시킨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라 bottom-up 관점에 근거한 향후 교사 실천에 관한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학교현장으로의 유비쿼터스 환경 적용을 위한 전략 모색 - 교육정보화정책 실천과정 분석을 기초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environment in a School)

  • 홍지영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9-206
    • /
    • 2006
  • e-러닝의 학교 현장 도입과 마찬가지로 유비쿼터스 기술이 대두되면서 학교 현장으로의 유비쿼터스 환경 적용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기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적용을 통해서는 우리가 기대하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e-러닝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보화정책 실천과정 분석을 기초로 유비쿼터스 환경 적용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