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증시험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24초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 = 실증시험과 현황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6권2호통권36호
    • /
    • pp.58-61
    • /
    • 1986
  •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기술에 대해서는 여러나라에서 연구개발중이며 이미 실용화 또는 실용화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국가도 있다. 미국에서도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행해지고 있는데 원자력발전소 사이트내저장을 위해 DOE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고밀도저장 및 건식저장의 실증시험계획을 소개한다.

  • PDF

미래형 서비스 실증을 위한 오픈플로우 기반 SDN 시험환경 구축

  • 김종원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3호
    • /
    • pp.43-50
    • /
    • 2013
  • 현존하는 프로토콜 중심의 네트워킹이 가지는 근본적인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소프트웨어-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이라는 새로운 흐름으로 해소하자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즉 실험자들이 점차 복잡해지는 네트워킹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집중화된 단순함으로 재편하여 손쉽게 해결하자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SDN에 기반한 미래형 서비스 실증을 위해 핵심적인 도구로 대두된 시험환경(또는 테스트베드)의 구축 방향과 사례를 살펴본다. 먼저 가상화되고 프로그램이 가능한 융합형 실험자원들을 다수의 실험자들이 공용하는 환경을 구축하고, 개별적으로 서비스 실증을 자유롭게 시도하는 전체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특히 융합형 자원을 Rack 방식으로 구성하고 이를 연동하여 시험환경을 구축하는 추세에 따라, 독자적인 SmartX Rack을 사용한 SDN 기반 서비스 실증을 위한 시험환경 구축 사례를 설명한다.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 규명을 위한 공학적 규모의 실증시험 (Engineering-scale Validation Test for the T-H-M Behaviors of a HLW Disposal System)

  • 이재완;박정화;조원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7-207
    • /
    • 2006
  •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공학적 성능은 공학적 방벽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2002년에 제안된 기준처분시스템 완충재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 실증을 위해서, 엔지니어링 규모의 실증장치인 KENTEX를 제작설치 하였다. 이 실증실험은 2005년 5월 31일에 시작하여 현재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 중인 KENTEX시설과 이 시설에서 수행 중인실험 및 향후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또한 센서 설치 및 운전조건 결정을 위해 수행한 운전 전 T-H-M 모델 계산결과도 기술하였다. 한국형 기준처분시스템의 실증연구와 관련하여, KENTEX 실증실험은 향후 추진될 지하시험시설에서의 현장시험에 필요한 자료와 경험을 제공하고, 기준처분시스템의 열적-수리적-역학적 거동특성과 평가모델을 검증할 것이다. 실험적으로는 처분장 완충재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블록의 제작 및 설치에 대한 엔지니어링 타당성을 보여 주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하굿둑 실증시험 시 염지하수의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 (During Demonstration Test of the Estuary Bank, Vertical Profiling Measurement in a saline groundwater)

  • 김병우;최두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7-447
    • /
    • 2022
  • 하굿둑 실증시험 및 개방 시 하굿둑으로부터 해안지역 대수층의 지하수 내 염분침투를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 담수(freshwater)와 염수(saltwater)의 경계면 변동 및 분포를 추적하기 위해 지화학적·물리적 접근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해안 및 하굿둑 주변지역의 담·염수 경계면 특성에 관한 조사 및 분석은 직·간접적 관측방법으로 이뤄진다. 직접 관측방법에는 심도별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tivity, EC) 측정 방법으로 1개 정밀센서(CTD-Diver)를 와이어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측정하는 방식과 자동 관측센서(CTD-Diver)를 공내 여러 관심심도에 이격거리에 따른 관측센서를 여러 개 설치하여 특정 관심심도별 연속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간접 관측방법에는 관심심도별 또는 특정 심도의 지하수 수질을 채취하여 지화학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직·간접적 관측방법에는 관심심도별 구간의 이격거리와의 공백과 조사시기에 대수층의 해수침투를 파악할 수 있으나 연속적 관측과 예측은 매우 어렵다. 직접적 관측방법 중 1개 정밀센서와 와이어를 이용한 특정 시·공간에 대한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은 가능하나, 연속적 관측과 예측 또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적 방법을 기반으로, 하굿둑 인근의 담수(freshwater)와 염수(saltwater)와의 경계면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는 하굿둑 실증시험 시 지하수 내 염분침투에 따른 지하수 환경 등에 대한 전반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하구언 일대의 지하수 내 염분침투 및 지하수 오염관리를 위해 실증실험 등 인위적인 요소와 강우, 태풍, 가뭄 등 자연적인 요소에 의해 여러 형태의 분포특성을 보이는 담수와 염수의 분포 및 혼합대의 특성에 따른 담염수의 경계면 형태별 분석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해수침투의 예방과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심도별 자동 수질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염지하수의 프로파일링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지중 송전관로 되메움용 순환골재의 현장실증시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 (Assessment on Applicability of Recycled Aggregates for Backfill Materials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s Based on Field Demonstration Tests)

  • 강성철;이강렬;안태봉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72-83
    • /
    • 2015
  • 지중 송전선은 전기저항에 의한 발열현상이 늘 있으며, 그 주변의 되메움재를 통하여 열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송전관로의 설계에는 발생하는 열을 주변 지반이 효과적으로 외부에 전달하여,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중 송전관로 되메움재용 순환골재의 현장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환골재의 품질기준 및 시공기준을 제시하고, 현장 실증시험을 통하여 송전관로의 열안정성을 분석하였다. 현장 실증시험에서는 순환골재 두 종류와 현재 되메움재로 사용하고 있는 모래의 열적 거동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순환골재는 시간경과와 관로에서의 이격거리에 따라 온도와 함수비 변화가 모래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순환골재는 지중 송전관로 되메움재로서 일반 모래를 대체하여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플랜트 환경모사를 위한 실증시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 System of Verification Test for Offshore Installation Simulation)

  • 주휘동;김태오;강규홍;하연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1호
    • /
    • pp.48-52
    • /
    • 2012
  • 해양플랜트에 대한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을 확보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는 평가 수행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해양플랜트 공정설계 및 기본설계기술의 자립화를 위해서는 신뢰성 평가 기반의 설계검증 기술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신뢰성 있는 실증실험 데이터 확보가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양플랜트 환경모사 실증시험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플랜트 공정모듈 환경모사 시스템 구성을 위한 환경제어 및 측정변수 분석과 도출된 변수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장치 및 제어시스템의 설계 계획안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