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처리

Search Result 7,62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GPGPU Based Real-Time Image Processing Framework on a Smartphone (스마트폰에서의 실시간 영상처리를 위한 GPGPU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

  • Lee, Man Hee;Kang, Seungheon;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7-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해당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레임워크의 경우 OpenGL ES 2.0 기반의 Shading Language 를 이용하여 모바일 GPU 에서 병렬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고속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매 프레임의 입력 영상을 텍스처로 지정하고 연산 결과가 저장된 프레임 버퍼의 내용을 그대로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메인 메모리와 GPU 메모리 사이의 자료 이동을 최소화 하였다. 현재 상용화 된 스마트폰에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적용시킨 결과 필터링 기반의 여러 가지 영상처리 알고리즘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레임워크의 실시간 활용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Distributed Real-Time Wargame Simulation Using TMO Model (TMO모델을 이용한 분산 실시간 워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

  • 박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03a
    • /
    • pp.33-36
    • /
    • 1998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위게임 체계는 실 기동훈련체계를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육군의 부대훈련체계로서 정착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실시간에 전장상황을 처리하고 필요시 진행시간 조정, 상황 재현 등의 임의 통제가 가능한 워게임 모델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 다제대 동시훈련이 가능한 분산형 워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을 수행한 내용으로, 연대전투모델에서 분산 처리가 가능한 분야를 도출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 기준에 맞도록 모델링에서 분산 처리가 가능한 분야를 도출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 기준에 맞도록 모델링에 반영하였다. 분산 워게임 모델 구현을 위하여 실시간 분산객체 기술의 한 분야인 TMO(Time Triggered Message Triggered Object) 모델을 기반으로 nstks처리 모델을 설계하였고,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분산형 워게임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저가의 후처리 GPS를 이용한 매핑 시스템 연구

  • 임수봉;이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31-435
    • /
    • 2003
  • GPS측량 방법은 크게 나누어 후처리 방법과 실시간 처리 방법으로 구분되며 후처리 방법은 다시 Static, Stop&Go 및 동적(Kinematic) 방법으로 세분되고 실시간 처리 방법은 DGPS(Differential GPS)와 RTK(Realtime Kinematic) 방법으로 세분된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측량법 중 우리나라의 실무에서는 유독 후처리 방법 중의 Static 측량과 실시간 처리방법중의 DGPS 측량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그런 배경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원인은 공공측량 작업규정 등의 측량 관련 법규에서 다양한 종류의 GPS측량기법을 제도적으로 인정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일반 측량기술자들의 GPS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때문이라 볼 수 있다.

  • PDF

Real-time active vision system using log-polar transform (다해상도 변환을 이용한 실시간 능동 시각 시스템)

  • 이상웅;최형철;강성훈;유명현;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5-30
    • /
    • 2000
  • KUeyes(Korea University's eyes)는 인간의 시각 정보처리 과정을 모델로 하여 고려대학교 인공시각연구센터에서 개발된, 스테레오 컬러 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동시각 시스템이다.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KUeyes는 병렬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영상 획득 및 영상 처리 모듈을 가지고 있으며, 다해상도 영상 변환 기법을 사용하여 입력 영상의 처리속도를 증진시키고 있다. 이 시스템은 외형적으로는 처리된 영상에 따라 반응하여 움직이는 10-자유도의 헤드 아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칼라 정보와 움직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지능적이고 빠르게 개체를 탐지하고 추적하는 인간의 시각 반응 및 인식 모델을 KUeyes에 탑재하여 구현하고 실험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KUeyes가 인간의 시각, 인식시스템을 적절히 모델링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KUeyes의 작동 방식과 거기에 탑재된 영상 처리 기법들이 인간의 시각 정보처리 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임을 시사한다.

  • PDF

Hard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Real Time Compression and Recognition of Check Image (수표영상의 실시간 압축 및 인식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설계 및 구현)

  • 오승환;신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541-5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1비트 단위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수표의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처리하고 또한 수표의 하단부에 기록된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현을 보여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실시간 처리를 위해 하드웨어에 적합한 알고리즘이 소개되며, 실제로 PLD로 설계 구현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online transation process using F.T(Fault Tolerance) (EAI의 F.T을 통한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에 관한 연구)

  • Cho,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190-192
    • /
    • 2005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통합)는 기업간 또는 기업 내부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비즈니스 프로세서을 통합 하는것[1]이며, 본 논문에서는 어느 한쪽 프로세서가 중단되어도 다른 프로세서가 그 처리를 이어 받아서 중단없는 데이터 및 프로세스를 처리함으로써 기업의 전체 프로세스에는 영향이 없게하는 방법을 C API 프로그램의 구현을 통하여 증명함으로써 무중단 실시간 처리 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며. 로그파일 모니터링 방법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에 대해서 설명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할것이다.

  • PDF

실시간 완료 규약 프로토콜

  • 윤용익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5 no.4
    • /
    • pp.61-66
    • /
    • 1998
  • 원자성 완료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분산 시스템 내에서 트랜잭션들 사이의 원자성 및 일치성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분산 트랙잭션 처리 과정 중에서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신뢰성 있게 진행이 될 수 있는 방안ㄷ르을 제시하고 있다 즉 원자성 완료 프로토콜은 분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류 발생에 대하여 신뢰성 있는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준다 그러나 일반적인 원자성 완료 프로토콜들을 실시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시간적인 요구 조건들은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두 단계 완료 프로토콜에서는 트랜잭션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될수 있다 또한 삼단계 완료 프로토콜에서는 빠른 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실시간 시스템의 기본조건을 무시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실시간 시스템에 유용한 원자성 완료 프로토콜은 단순히 원자성과 일치성만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적인 제약조건도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분산 시스템을 위한 원자성 완료 프로토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Real Time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Digital Filter Using a Sub-band Structure (SUB-BAND 적응 디지털 필터 실시간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류차희;윤대희;유재하;차일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6
    • /
    • pp.13-20
    • /
    • 1993
  • 충격 응답 시간이 긴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한 실시간 적응 디지털 필터를 구현하였다. 대상 시스템의 충격 응답 시간이 길 때, 일반적인 적응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렴 속도 저하와 계산량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브밴드 구조를 갖는 적응 디지털 필터를 구성하였다.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서는 GQMF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4개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대역별로 적응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수렴 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대역별 신호를 동시에 분산 처리하기 때문에 계산량 면에서 효율적이므로 시스템의 충격 응답이 긴 경우에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하드웨어 구성은 범용 신호 처리 프로세서인 DSP56001을 호스트 프로세서로 사용하며, 적응 디지털 필터 칩 DSP56200을 사용하여 각 대역 적응 필터를 구성하였다. 실험은 충격 응답 시간이 16 kHz 필터링 시 2000 탭 길이로 가정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부동 소수점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밴드를 나누지 않은 기존의 방법과 서브밴드 시스템의 비교 실험 결과 입력이 백색 잡음인 경우 대역별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가 있었으나, 음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유색 잡음인 경우 서브밴드 시스템이 단일 시스템에 비해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GIS Engine for LBS (LBS를 위한 실시간 GIS 엔진의 설계 및 구현)

  • 윤재관;김동오;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244-246
    • /
    • 2002
  • 최근 무선 인터넷과 핸드폰, PDA, H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LBS가 점차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동체의 위치 데이타는 GPS와 같은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용량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의 정적인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GIS를 사용하여 이러한 데이타를 처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적인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LBS를 위한 실시간 GIS 엔진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실시간 GIS 엔진은 LBS에서 필요한 공간, 비공간, 위치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실시간 GIS 엔진은 인터페이스 관리자, 질의 관리자, 인덱스 관리자, 데이타 로더, 레이어 관리자, 위치 데이타 관리자, 메타 데이타 관리자, 객체 관리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HP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 공간 데이타 타입, 공간 연산자, 가변 길이 데이타 처리, 테이블 자동 확장 기능 등을 추가하여 LBS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가변 길이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adline information management techniques to support real-time GPU tasks in container-based cloud environments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시간 GPU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데드라인 정보 관리 기법)

  • Kang, Jihun;Gil, Jo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56-59
    • /
    • 2022
  •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개인화 및 맞춤화가 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이나 요구사항에 따라 실시간 AI 추론 및 데이터 분석과 같이 데이터를 서비스 요청 즉시 처리해야 하는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데드라인 할당 및 관리 기능이 제공되지 않으며,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에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작업의 실행과 같은 작업 상태를 알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GPU 작업의 실시간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GPU 작업의 시작 및 종료 상태의 추적과 데드라인 할당 기법을 위한 실시간 처리 정보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