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보정

Search Result 75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velopment of Automated Calibration Algorithm for Reference Values of Hydrological Data Quality Management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의 보정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 Park, Hee-Seong;Cho, Herin;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6-506
    • /
    • 2015
  • 수문자료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료로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점검방법에서 설정한 기준 값을 말하며, 특히 수문자료의 오류 추출을 자동화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값이다. 해당 값은 점검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관측소의 관측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실무에서는 기존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해 초기값을 추정하고 이후 관측자료들에 대한 실제 품질 판정을 기준으로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수작업에 의해 시행착오법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대상으로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자동점검기준의 보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그림1과 같은 추정 이상치 집합과 실제 이상치 집합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두 집합의 교집합인 A를 증가시키는 구조이다. 이를 이용해 자동점검기준의 적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향후 실무에 적용될 경우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신속하고 적절하게 보정함으로써 수문자료 품질관리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Mapping for Adjustment of Colors on Ink Jet Printer with Error Back Propagation (잉크젯프린터의 칼라 보정을 위한 오차역전파 알고리즘의 매핑 연구)

  • 김홍기;조맹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23-325
    • /
    • 2000
  •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 및 주변 장치간에 칼라를 정확히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니터 상의 이미지를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참조테이블(Look Up Table) 방식을 살펴보고 이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신경회로망에 의한 칼라보정 매핑 방법을 제안하였다. 참조테이블 방식에서는 3차원으로 구성된 테이블을 구성하기가 쉽지 않고 구간 사이의 칼라값은 보간법을 써서 구해야 한다. 신경회로망에 의한 방법에서는 일단 학습을 완료하면 실시간으로 칼라를 보정해 주는 장점이 있다. 실험에서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한 칼라 샘플의 모델을 통한 결과 값을 비교해 보고 상호간의 장단점과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을 토의하였다.

  • PDF

The Realiz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DGPS for LBS (LBS를 위한 무선 인터넷 DGPS 구현)

  • Kang, Joon-Mook;Cho, Sung-Ho;Lee, Eu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1
    • /
    • pp.3-12
    • /
    • 2008
  •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wireless internet DGPS using MS Visual Basic Active X control for LBS. The coordinate correction method was used in this system because of convenience of both direction communication on Web. The PictureBox control and bitblt function were used in coordinate display module. The MS Comm control, MS Winsock control (TCP/IP), MS CommonDialog control, MS Sysinfo control were used in internet DGPS communication module and published on Web. Realtime internet DGPS were tested using the syste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and near realtime monitoring through this system could be performed.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w-Complexity Real-Time Barrel Distortion Corrector for Wide-Angle Cameras (광각 카메라를 위한 저 복잡도 실시간 베럴 왜곡 보정 프로세서의 설계 및 구현)

  • Jeong, Hui-Seong;Kim, Won-Tae;Lee, Gwang-Ho;Kim, Tae-Hw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6
    • /
    • pp.131-137
    • /
    • 2013
  • The barrel distortion makes serious problems in a wide-angle camera employing a lens of a short focal length. This paper presents a low-complexity hardware architecture for a real-time barrel distortion corrector and its implementation. In the proposed barrel distortion corrector, the conventional algorithm is modified so that the correction is performed incrementally, which results i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required hardware modules for the distortion correction. The proposed barrel distortion corrector has a pipelined architecture so as to achieve a high-throughput correction. The correction rate is 74.86 frames per sec 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314MHz in a $0.11{\mu}m$ CMOS process, where the frame size is $2048{\times}2048$. The proposed barrel distortion corrector is implemented with 14.3K logic gates.

Analysis of Horizontal Positioning for WADGPS using MTSAT (MTSAT를 이용한 WADGPS의 수평위치 해석)

  • Yeu, Hoon;Kim, Jeok-Kyo;Lim, Soo-Bong;Lee, Yong-W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3 s.37
    • /
    • pp.71-77
    • /
    • 2006
  • MSAS satellite is the geostationary satellite for realizing WADGPS that can get the position of moving object in a wide area receiving the correction signal created from a ground using satellite. In this study, we analyzed two different data. One is using the cor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MTSAT-2 satellite of MSAS and the other is receiving the data of DGPS using BEACON receiver. As we compared both data, we could get the conclusion that the position accuracy of both data is also can get up to the standard or the conventional real-time code DGPS. As a result, we can expect that if we use MTSAT-2 satellite and BEACON receiver together, we can apply them LBS part that require real-time data or the obtaining geospatial information that does not require high accuracy much regardless of topography.

  • PDF

Video Segmentation Using Image signal and Human characteristic (영상신호 특성 및 Human 특징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분류)

  • Kim, Min-Joon;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284-287
    • /
    • 2016
  • 영상에서 배경으로부터 객체를 분류하는 영상 분류 알고리즘은 물체 인식 및 추적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에서 다수의 초기 프레임을 참조하여 실시간 영상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전경과 배경을 구분하는 확률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초기 프레임 동안에 카메라의 특성을 추출하여 카메라에 적응적으로 영상을 분류한다. 또한 분류된 영상에서 human의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된 결과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의 실시간 분류 처리를 위하여 복잡도를 최소화 하였다.

  • PDF

A Study on Real-Time Image Transmission and Applicable Method using Wireless Transmission Communica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과 활용방안)

  • Kim, Woo-Sun;Heo, Joon;Kim, Sung-Hoon;Woo, Su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83-28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선망을 이용했던 기존의 통신 방식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정보 전송이 가능한 무선통신서비스(HSDPA 방식)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의 영상들을 실시간으로 전송해 보았다. 또한 전송 시에는 촬영 장소와 촬영 시간 및 촬영 카메라의 왜곡 계수 등도 같이 전송하여 후처리(Post-Processing) 작업 시에 필요한 영상보정이나 영상 정합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부분들을 웹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Real-Time Performance of the IGS RTS and Ultra-Rapid Products (IGS RTS와 Ultra Rapid 실시간 성능 분석)

  • Kim, Mingyu;Kim, Jeongr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9 no.3
    • /
    • pp.199-206
    • /
    • 2015
  • For real-time precise positioning, IGS provides ephemeris predictions (IGS ultra-rapid, IGU) and real-time ephemeris estimates (real-time service, RTS). Due to the RTS data latency, which ranges from 5 s to 30 s, a short-term prediction process is necessary before applying the RTS corrections. In this paper, the real-time performance of the RTS correction and IGU prediction are compared. The RTS correction availability for the GPS satellites observed in Korea is computed as 99.3%. The RTS correction is applied to broadcast ephemeri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RTS correction. The 3D orbit RMS error of the RTS correction is 0.043 m. Prediction of the RTS correction is modeled as a polynomial, and then the predicted value is compared with the IGU prediction value. The RTS orbit prediction accuracy is nearly equivalent to the IGU prediction, but RTS clock prediction performance is 0.13 m better than the IGU prediction.

Real-time Depth Image Refinement using Hierarchical Joint Bilateral Filter (계층적 결합형 양방향 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깊이 영상 보정 방법)

  • Shin, Dong-Won;Hoa, Yo-Sun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9 no.2
    • /
    • pp.140-147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real-time depth image refin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epth map acquired from Kinect camera, we employ constant memory and texture memory which are suitable for a 2D image processing in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In addition, we applied the joint bilateral filter (JBF) in parallel to accelerate the overall execu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depth image, we applied the JBF hierarchically using the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CUDA). Finally, we obtain the refined depth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real-time depth image refinement algorithm improved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 depth image and the computational time was 260 frames per secon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with Real-time Z-R Relationships (실시간 Z-R관계식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산정기법의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Gwang-Seob;Kim, Jong-Pil;Yim,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21-1124
    • /
    • 2009
  • 면적강우량은 수치예보모형(NWP; Numerical Weather Prediction)이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등에서 가장 중요한 입력변수이다. 기상레이더는 광범위한 시공간분해능을 지닌 강우관측기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이용한 강우추정에 대한 연구는 Z-R 관계식을 이용한 방법, 지상우량계와 연계한 통계적인 방법 등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Marshall and Palmer(1948)가 제시한 Z-R 관계식은 층운형 강우에는 비교적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적운형 강우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못하다. 또한 지상우량계와 연계한 방법은 주로 geostatistic 기법(ordinary kriging, co-kringing, kriging with external drift 등)을 사용하지만, 배리오그램(variogram)을 작성해야 되는 등 계산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실무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우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우량계로 관측된 강우량과 레이더 추정강우 사이의 보정계수를 이용한 실시간 Z-R 관계식으로 레이더강우를 추정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정확한 레이더 강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부산레이더 반경 240km 이내 지역이며, 강우사상으로는 2002년 8월 31일 (태풍 "루사")의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지상관측 강우량자료는 AWS(Auto Weathering System) 중에서 부산레이더 관측범위 내에 존재하는 68곳의 1시간 누적강우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실시간 Z-R 관계식을 이용할 경우 단순히 지상우량계와 레이더 강우 사이의 보정계수를 사용하면서 물리적인 범위를 벗어나 과대 추정되는 결과를 발생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과대 추정되는 부분을 제한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타당한 면적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