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보정

Search Result 75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Realtime Clock Skew Estimator for Tim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of WUSB and WBAN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 시각동기를 위한 실시간 클럭 스큐 추정)

  • Hur, Kye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1
    • /
    • pp.1391-1398
    • /
    • 2012
  • Time synchronization is crucia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uch as Wireless USB and WBAN for diverse purposes from the MAC to the application layer. This paper proposes online clock skew estimators to achieve energy-efficient time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By using recursive least squares estimators, we not only reduce the amount of data which should be stored locally in a table at each sensor node, but also allow offset and skew compensations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Our skew estimators can be easily integrated with traditional offset compensation schemes. The results of simulation and experiment show that the accuracy of time synchroniz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through our skew compensation algorith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System Realization for Fisheye Lens Camera (어안렌스 카메라의 영상왜곡보정처리 시스템 구현)

  • Ryu, Kwang-Ryol;Kim, Ja-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11
    • /
    • pp.2116-2120
    • /
    • 2007
  • A realization for imag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system with DSP processor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image distortion correcting algorithm is realized by DSP processor for focusing on more real time processing than image quality. The lens and camera distortion coefficients are processed by the Lookup Tables and the correcting algorithm is applied to reverse mapping method for geometrical transform. The system experimentation results in the processing time about 31.3 msec $720{\times}480$ wide range image, and the image is stable and spontaneous to be about 8.3% average PSNR variation with changing a wide angle.

Real-Time Face Detection, Tracking and Tilted Face Image Correction System Using Multi-Color Model and Face Feature (복합 칼라모델과 얼굴 특징자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검출 추적과 기울어진 얼굴보정 시스템)

  • Lee Eung-J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4
    • /
    • pp.470-481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face detection, tracking and tilted face image correction system using multi-color model and face feature information. In the proposed system, we detect face candidate using YCbCr and YIQ color model. And also, we detect face 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projection method and track people's face using Hausdorff matching method. And also, we correct tilted face with the correction of tilted eye features. The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for 110 test images and shows good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obust to detection and tracking of face at real-time with the change of exterior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ilted face. Accordingly face detection and tilted face correction rate displayed 92.27% and 92.70% respectively and proposed algorithm shows 90.0% successive recognition rate.

  • PDF

Error Correction of Real-time Situation Recognition using Smart Device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인식의 오차 보정)

  • Kim, Tae Ho;Suh, Dong Hyeok;Yoon, Shin Sook;Ryu, KeunH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9
    • /
    • pp.1779-1785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rror correction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sensor event data obtained by smart devices such as wearable and smartphone. In the context awareness through the smart device, errors inevitably occur in sensing the necessary context inform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which degrades the prediction perform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y Kalman filter's error correction algorithm to compensate the signal values obtained from 3-axis acceleration sensor of smart devic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erro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data which is detected and reported by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constituting the time series data through the Kalman filter.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eal-time context-aware syste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기술현황분석 - 공작기계 채터진동 감지용 임베디드 디바이스 개발 및 CNC 자율보정

  • Kim, Dong-Hun;Song, Jun-Yeop
    • 기계와재료
    • /
    • v.24 no.2
    • /
    • pp.96-109
    • /
    • 2012
  • 채터진동은 공작기계에서 가공중에 소재와 공구사이에 나타나는 급격한 상대진동을 말한다. 이러한 진동은 가공 소재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가공툴과 기계에 손상을 유발시키는 인자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공작기계의 구동 중 발생되는 채터진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공구의 회전속도와 이송 속도를 제어하여 자율보정함으로써 보다 빨리 채터진동의 영향을 보상함을 물론 보다 정밀한 가공물을 생산할 수 있는 채터진동 감지 및 보정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의 공작기계의 채터진동 보상장치는 공작기계에 임베디드 형태의 디바이스로 개발되었으며, 구성은 공작기계의 채터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감지된 채터진동에 따라 보상값을 예측하여 산출하는 채터보상기를 포함하여 공작기계의 CNC제어기의 연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 PDF

Improvement of Hydrologic Accuracy for Radar-derived Rainfall Estimation in Urban Watershed (도시유역에서의 레이더 추정강수의 수문학적 정확도 개선)

  • Yoon, Seong-Sim;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58-196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추정강수를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분석에 활용하고자 레이더 추정강수의 정확도를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WPMM(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과 Least-Square Fitting 방법을 적용하여 2003년 6월 $11{\sim}12$일의 강우사례에 대해 레이더 강수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결과에 편차보정기법을 적용하여 레이더 추정강수를 보정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도시하천인 중랑천 유역의 시단위 유역평균 강우량을 산정하고, 도시유출 모형인 SWMM모형을 이용하여 수문학적 적용성 및 정확도 개선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시유출해석에 있어서 WPMM 방법을 통해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가 AWS 관측강우를 적용한 것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간 보정된 WPMM의 레이더 추정강수를 이용한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관측유량과 유사하게 모의를 수행하여 실시간 보정된 레이더 강우의 유출 활용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Runoff Analysis by Using GRM with Multi-point Calibration Tool (GRM 모형의 다지점 보정기술을 이용한 유출해석)

  • Choi, Yun-Seok;Choi, Cheon-Kyu;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1-231
    • /
    • 2012
  • 격자 기반의 분포형 모형은 격자로 분할된 유역의 임의 지점에 대해서 유출량을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기존의 유출해석에서는 유역의 최하류 지점을 대상으로 모형을 보정하는 단일지점 모형보정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단일지점을 대상으로 모형을 보정할 경우, 보정 대상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격자 일수록 유출해석 결과와 관측 유량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으로 분할된 유역에 대해서 소유역별로 모형을 보정할 수 있는 다지점 보정기술을 이용해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유역내 여러 지점에 대해서 모형을 보정할 경우, 소유역 및 최하류 지점에 대한 유출해석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지점 보정기술은 유역내 여러 지점에 대한 유출량을 계산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홍수예보시스템 구축시, 대상 유역내 다수의 지점에 대해 실시간 유출해석을 손쉽게 수행하는 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Low-Complexity Real-Time Barrel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or Combined with Color Demosaicking (컬러 디모자이킹이 결합된 저 복잡도의 실시간 배럴 왜곡 보정 프로세서)

  • Jeong, Hui-Seong;Park, Yun-Ju;Kim, Tae-Hw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9
    • /
    • pp.57-66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low-complexity barrel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or for wide-angle cameras. The proposed processor performs the barrel distortion correction jointly with the color demosaicking, so that the hardware complexity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o reduce the required memory bandwidth, an efficient memory interface is proposed by utilizing the spatial locality of the memory access in the correction process. The proposed processor is implemented with 35K logic gates in a $0.11-{\mu}m$ CMOS process and its correction speed is 150 Mpixels/s 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606MHz, where the supported frame size is $2048{\times}2048$ and the required memory bandwidth is 1 read/cycle.

An Efficient Camera Calibration Method in Embedded System Environment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효율적인 카메라 왜곡 보정 방법)

  • Cheon, Seung-Hwan;Yu, Young-Ho;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623-626
    • /
    • 2011
  • 자동차를 위한 전방향(omnidirectional) 감시 시스템 같은 감시 시스템, 로봇의 시각 역할 등 다양한 비젼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광각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은 비선형적인 방사 왜곡을 가지고 있어서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왜곡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왜곡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므로 임베디드 환경에서는 왜곡 보정을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추가하거나 SOC 형태로 개발한 전용 H/W를 추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왜곡 보정 과정에 필요한 연산들을 분석하고, 연산량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왜곡 보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ARM11 기반 임베디드 환경에서 제안한 왜곡 보정 방법을 직접 구현하여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임베디드 환경에서 추가의 시스템이나 추가의 비용없이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노이즈필터를 이용한 DGPS 중파신호 수신 개선방안

  • Lee,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59-361
    • /
    • 2013
  • DGPS 기준국은 GPS 보정정보를 중파를 통해 실시간으로 송출하고 있다. DGPS 기준국의 감시를 위해 내륙감시국을 운영중이며 DGPS 기준국의 중파신호를 수신하여 감시하고 있다. 하지만 평창감시국에서 GPS 보정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저하가 발생하여 그 원인을 찾아보고 노이즈필터를 통해 해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