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습 수업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7초

코로나 19 상황 하 기본간호학 실습 블렌디드 러닝수업 경험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Basic Nursing Practice Blended Learning in Corona 19 Situation Class experience - focus group interview)

  • 유미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7-6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본간호학 실습 교과목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자 시도된 질적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8명이 참여한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을 진행하였으며,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운영은 홀수주차는 비대면 온라인 학습, 짝수주차는 대면실습 방식으로 구성하여 14주차 까지 진행 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총 250개의 진술이 유의미하게 추출되었고, 8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상위범주, 2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4개의 상위범주는 '갑작스러운 수업방식 변경에 대한 부적응', '학습 능률 저하와 수업의 혼돈', '온라인 수업에 대한 양가감정', '새로운 학습법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 으로 진술되었다. 본 연구는 온택트 시대 간호대학생을 위한 기본간호학 실습 블렌디드 러닝수업에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실습교과목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학습도우미 시범.실습법이 학생의 과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n How Much Multiple Teaching Assistants affect Students' Study Results and Self-Efficacy)

  • 김복순;김병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4
    • /
    • 2010
  •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컴퓨터교육에서는 실기 위주의 수업방식과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실습 교수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 학습 단점 중 하나인 학생들의 개개인의 다양한 능력차이로 인해 교사의 시연 속도에 맞추어 따라가기 힘든 학생들의 개별 지도 확대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3개 학반을 선정하여 교사주도의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 한명의 학습도우미 활용한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 그리고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세 집단간의 과제수행능력 및 자기효능감, 컴퓨터 학습에 대한 호응도 및 흥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 실습 수업 집단이 과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도우미 활용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호응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 이나핼;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0-92
    • /
    • 2017
  • 목적 : 플립드 러닝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을 받은 작업치료 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수업 후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1학기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전공필수과목인 '감각통합치료 및 실습'을 수강한 3학년 학생 중 10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의미단위 20개, 중심의미 8개, 주제 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반복학습의 만족감을 가져왔다. 하지만 교수와의 면대면 수업의 부재로 소통과 집중력의 문제를 호소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 실습수업에 흥미를 보였고, 적극적인 실습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결론 : 실습이 요구되는 감각통합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수업은 시간의 확보와 실습 몰입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다른 작업치료교과목도 플립드 러닝으로 수업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플립드 러닝 수업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자세가 필요하다는 성찰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 교육 분야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 방법을 활용한 실습선 수업 설계 및 운영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Training Ship)

  • 김부기;김누리;김준호;최현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43-748
    • /
    • 2019
  • 본 연구는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학습활동과 이에 따른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한 문제기반학습(PBL)을 '실습선 수업'에 맞게 재설계하고 운영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 학업적 자기조절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와 수업전반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참여에 대한 수업 전·후의 차이에서 학습활동, 수업확장, 수업참여 전체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조절에 대한 수업 전·후의 차이에서 '평가'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후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과제 선호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수업전반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역시 문제기반학습(PBL)을 활용한 실습선 수업을 설계 및 운영하면서 학생 개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문제기반학습 수업의 운영에서 드러난 한계점 및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며 덧붙여 실습선 수업의 성공적인 문제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에 대하여 제안 하였다.

가정과교육에서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and sewing clas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7-139
    • /
    • 2018
  • 본 연구는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손바느질 실습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수업은 3단계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준비 단계에서는 기초 손바느질에 관한 동영상과 ppt자료를 온라인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수업 중에는 사전학습여부를 퀴즈로 확인한 후 미니시범을 보이고, 기초 손바느질을 하는 기본과제와 이를 활용한 소품 만들기 응용과제를 하도록 하였다. 수업 마무리 단계에서는 과제전시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플립러닝 수업효과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성찰일지로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플립러닝 수업의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동영상과 ppt자료, 퀴즈, 기본과제와 소품 만들기 응용과제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수업에서 상호작용이 원활하다고 하였으며,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의 경우 동영상을 활용함으로써 사전학습으로 인한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의 증가와 수업 중 반복학습에 대한 장점이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본과제 외에 응용과제를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수업과 개별화학습으로 일반적 실습수업보다 긍정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손바느질 실습에 플립러닝이라는 새로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reas of Practice Concern and Reflections on the Science Classes in Student-Teaching)

  • 정애란;맹승호;이선경;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93-90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4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육실습록,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들을 수집하였고, 교육실습이 끝난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은 수업환경 및 교수전략에 대한 관심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고 과학내용에 대한 관심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업환경 및 교수전략에 대한 관심 영역 중에서는 수업운영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 수업운영 중에서도 수업분위기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는 영역이 학생통제나 수업분위기 조성,과학교사의 역활,수업자료에 대한고민 등의 매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반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대부분이 '즉각적인 수준'과 '기술적인 수준'에 머무르며, '숙고적인 수준'이나 '변혁적인 수준'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예비 과학교사들의 이러한 과학수업에 대한 관심 영역이나 반성적 사고에는 교과 실습지도 교사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내타났다.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육실습에서 과학수업의 관찰과 개선을 위한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의 활용 (Application of the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for Observing and Improving Science Teaching in Teaching Practicum)

  • 김수정;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1-9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과학과 교육실습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한 과정을 돕고자 하였다. 4명의 예비교사와 지도교사가 KTOP을 이용하여 수업을 관찰, 분석하고, 협의 과정을 통해 다음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KTOP에 의한 수업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협의 활동을 하여 KTOP이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에 실제적인 안내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KTOP을 이용한 협의 활동이 다음 수업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더 많은 반복적인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교육실습과정에 대한 관찰과 면담, 설문을 통해 KTOP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는 KTOP 활용에 대한 확신을 갖고 학생 중심의 수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고, KTOP의 항목수를 줄이고, KTOP의 양식을 좀 더 편리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학습이란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보건의료계열 학생들의 해부학 교육 개선을 위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 임상병리학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중심으로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Survey of Human Anatomy Dissection Course Taught by Health Science Departments: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 정세훈;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9-494
    • /
    • 2017
  • 해부학 교육은 보건의학계열 학생들에게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이며 중요하다. 해부학 교육의 질적 개선 및 다양성을 위해서 임상병리학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기존의 해부학 교육과 카데바실습(cadaver dissection)의 만족도, 이해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해부학 수업에 대한 수업의 만족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공에 따른 교과서 중심의 해부학 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과에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전공에 따른 해부학 수업의 이해도의 차이 역시 없었다. 다만, 전공에 대한 만족도은 임상병리학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카데바실습 전. 후의 카데바실습에 대한 인식 분석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성별이나 고등교육 교과과정과 관계없이 카데 실습이 해부학수업에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실습 후 카데바실습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조사결과 모든 학생이 카데 실습 후에도 실물실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3~4시간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이번 결과로 해부학 교육의 다양성을 위한 학생들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카테바실습 및 실물을 이용한 실습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이 학습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ADPM 기반의 실기 수업을 위한 저작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개발

  • 구정모;한병래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01-310
    • /
    • 2004
  • 현재 7차 교육과정의 컴퓨터교육에서 실기 위주,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학생 수, 실습 환경의 열악함,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실기수업을 제대로 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실기 수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인 시범 실습형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한 ADPM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ADPM 기반의 실기 수업을 위해, 학습내용을 담은 전자책과 실습 내용을 동영상으로 캡처한 것을 서로 동기화 시켜 학습자들에게 제공한다면 학습자의 질문대기시간을 줄이고,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 습관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 속도와 수준을 고려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ADPM을 지원해주기 위한 저작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은 저작 시스템에서 부족했던 전자책을 뭔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기능과 동영상 캡처, 동영상과 전자책과의 동기화 기능을 보완하여 컴퓨터 실기 수업 방법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