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선 시운전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1초

구속모형실험을 통한 부선의 조종성능 추정 (Study on the Maneuverability of Barge by Captive Model Test)

  • 윤근항;김연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613-618
    • /
    • 2012
  • 부선이 선미 예인되는 상황에서의 예부선 통합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선 단독 조종성능 추정을 위한 구속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속모형실험결과로부터 부선 실선의 저항성능을 추정하였고, 도출된 유체력 미계수를 이용하여 선회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부선의 선회시뮬레이션을 위해 부선에 작용하는 예인력의 힘과 방향을 단순히 모델링하고, 예인줄 방향각 변화에 따른 선회시뮬레이션 결과 비교와 실선시운전시험결과와의 선회직경 비교를 통하여 수학모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예인줄 방향각이 커질수록 선회직경이 작아지는 정성적인 경향을 확인하였고, 실선시운전결과와 비교 시 배수량 차이 등에 의하여 선회직경이 작게 추정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Supply Ship의 시운전중 상부구조물 과도진동 원인 분석 및 저감대책 (A Countermeasure for Excessive Vibration on Bridge Deck during a Sea-Trial of Supply Ship)

  • 손성완;김강부;강현승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3-1017
    • /
    • 2003
  • 선박의 진동문제는 고출력 엔진의 채용과 고속화 및 전문화가 되면서 구조의 최적화에 따른 경향화 설계 및 각종 주요 기진원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새로운 진동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특히 최근 중소형 조선에서 건조중인 특수한 선박들의 경우 비교적 대용량의 출력을 가진 엔진과 긴 추진 축계 시스템 등으로 인하여 과도진동의 발생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upply Ship의 시운전 중에 발생한 상부구조물의 과도진동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의 실선 진동 계측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책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구조의 진동특성 검토 및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피리고 제시된 진동저감 대책이 적용된 후에 재 시운전시 진동 계측을 수행하여 대책 안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실선 시운전을 통한 무인수상정 정수중 조종성능 평가 (Evaluation of Maneuverability in Still Water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through Sea Trials)

  • 전명준;윤현규;유재관;이원희;구평모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8권4호
    • /
    • pp.253-261
    • /
    • 2021
  •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evaluating maneuverability in still water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based on data measured by performing sea trials. First, we set up a test scenario that is easy to analyze the maneuverability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o identify and verify the dynamics model. Since the attitude of hull vari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hich has a planing hull shap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jet RPM, speed and attitude is analyzed by performing straight forward tests at various speeds. The turning test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n which the waterjet angle rotates while turning are performed by changing the waterjet rotation angle under the condition of two representative speeds to analyze turning ability. The turning ability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ncludes speed reduction, yaw rate, heel, and turing diameter at steady turning phase according to the speed and RPM.

속력시운전 데이터 계측 및 분석 시스템 개발 (On the Development of Speed Trial Data Measurement and Processing System)

  • 한만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22-28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개인용 컴퓨터와 신호변환기를 사용한 데이터 취득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선박의 속력시운전시 계측되는 축마력, 축회전수, 선속등의 데이터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시운전이 수행되는 동안의 어느 한 순간의 값을 대표값으로 할 수가 없다. 변동폭이 큰 데이터의 대표값을 얻기 위하여 본 고에서는 이동평균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동평균값이 변하는 추이도 실시간 그래프로 보여준다. 현재는 8 채널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분석된 데이터의 저장 및 프린트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되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향후의 확장이 쉽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속력시운전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선박의 조종시험시 주요 데이터의 변하는 추이를 기록, 엔진의 헌팅문제의 검사, 진동의 스펙트럼 분석 등-에도 유용하며 이들 분야에 대한 실선에서의 적용 예를 보였다.

  • PDF

종합항법장치 및 GPS를 이용한 실선시운전 선박조종성능의 계측 (Measurement of ship's maneuverabilities using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and GPS)

  • 이덕수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6
    • /
    • 1996
  • On this paper, the traditional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ship's maneuverabilities during the sea-trial of newly built ship are summarized and new methods for the same measurement using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and GPS are introduced. After various sea-trials of training ship "HANNARA" which are equipped with modern INS and GPS system,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more accurate methods of measurement of ship's maneuverabilities during sea-trial using INS and GPS which are gradually becoming the basic navigational equipments on many newly constructed vessels.d vessels.

  • PDF

해상에서의 속도성능 해석법

  • 권영중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9
    • /
    • 1994
  • 해상의 신속성능해석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 하겠다. 이를테면 (1)시운전결과해석법의 개선, (2)Service Power Marhin 산정법의 개선, (3)연료경제성이 고려된 최적속력산정, (4)실선-모형선 상관수정값 개선, (5)고성능선박을 위한 통합설계법의 개선, (6)미래선박의 설계자료 수집, (7)용선계약과 관련된 문제점 해소등 수 많은 예를 찾을 수 있다.'1' 상기에 예시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하여서는 이론적인연구 이외에 선 속의 체계적인 mNOITORING이 추천되고 있다. 효율적인 Monitoring system을 문헌'2,3,4'에서 예를 찾을 수 있다.

  • PDF

선박조종성능 평가를 위한 실선 실험연구 (A Study on Ship's Maneuverability Evaluation by Real Ship Test)

  • 임남균;한송희;구엔탈날라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3-389
    • /
    • 2011
  • 선박 성능과 항해 안전의 관점에서 선박조종 특성을 아는 것은 선박 설계에서 중요한 일이다. IMO 규정에 의하면 만재 적하된 even 조건(트림=0)에서 몇가지 선박 조종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박은 일반적으로 항상 만재 적재 조건으로 운항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박이 IMO 규정을 만족시키고, 모든 적재 조건에서 안전하게 항행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적재 조건에서 선박 조종 특성을 추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실선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조종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실선실험은 시뮬레이션 값 및 이전 연구와 그 경향이 일치한다. 실 해역에서 얻은 조종실험 데이터가 선박 조종성능 추정에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실시한 실해역 실험을 통하여, 선박 운항 상태에 따른 조종성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고속활주형어선의 종방향중심이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CG Variation to the Resistance Performance for High Speed Planing Fishing Boat)

  • 이귀주;이조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4호
    • /
    • pp.308-312
    • /
    • 2001
  • 이상에서와 같이 LCG위치에 따른 일련의 실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선형개발에 있어서 최적선형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성능검증의 일부로써 최적의 LCG위치를 찾는 것은 일반배치의 고려 및 실선에서의 운항 경제성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은 연구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 함으로써 앞으로의 선형개발에 있어서 유용하게 쓰이게 될 것이다. 2. 저항시험 결과로부터 선미방향으로 LCG위치를 2% 포인트씩 이동하게 되면 서서히 저항이 감소하다가 8%포인트 위치에서 최저점을 이루며 이는 실선속도 25노트에서 초기상태(0%LCG)에 비해 만재상태에서는 약 12.4%, 시운전 상태에서는 약 10%의 저항감소효과가 있었다. 그 이후 (10%LCG)부터는 다시 저항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선수트림이 커지게 되면서 선저의 활주면에 과도한 동적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저항감소의 원인이 되었던 침수표면적의 감소로 인한 마찰저항의 감소보다 동적압력에 의한 압력증가 영향이 더 커지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3. 나선상태에서보다 스프레이스트립(spray strip) 및 스케그 등과 같은 선형에 적합한 부가물을 부착하면 저항감소 및 직진성능 (course keeping ability) 향상 등의 이점이 있다. (이 논문의 결론 부분임)

  • PDF

실선 계측에 의한 수중익 강도 평가 (Evaluation of Foil Strength by Full Scale Strain Measurement)

  • 최익홍;정관용;김외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37-43
    • /
    • 1995
  • 장거리 고속 수중익 쌍동 여객선의 실선 시운전중에 실시한 응력 계측과 분석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고속 쌍동선에 설치된 수중익의 중앙부 스트럿부재에 응력 게이지를 부착하여 항해중인 선체에 작용하는 양력과 파랑 변동하중에 의하여 나타나는 수중익 응력을 계측하였으며 이로부터 수중익의 부재력과 수중익에 작용하는 동적하중을 평가하였다. 계측된 수중익 응력의 크기 성분 분포로부터 선박의 예정 취항 해역에서 선박의 수명 동안 나타날 수 있는 최대 기대 응력값과 수중익 양력을 장 단기 해석을 수행하여 추정하였다. 본 계측의 분석에서 채택한 장 단기 해석에서는 서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정된 수중익의 최대 기대 응력값을 수중익 재료의 항복응력과 비교하므로서 본 쌍동선 수중익 구조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최대 기대 수중익 양력을 설계에 적용된 하중변수와 비교하므로서 설계 과정에서 채택한 하중 연수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계측 방법과 데이타 분석 과정은 실선계측 자료를 효과적으로 설계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PDF

PMM 모형시험에 의한 조종성능 추정 -수학모델에 따른 비교 연구- (Prediction of Manoeuvrability using PMM Model Tests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al Models-)

  • 이호영;염덕준;신상성;이태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8-55
    • /
    • 1997
  • 본 논문은 초기설계 단계에서 HPMM시험을 이용하여 조종성능을 추정하기 위해서 Abkowitz와 MMG 수학모델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MMG 해석에 의한 알고리즘은 일본의 MMG 그룹의 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되었다. 해석 결과는 정유운반선을 대상선박으로 선정하여 Abkowitz 수학모형 및 실선 시운전 결과와 비교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