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무전이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5초

건축실무 전문화에 관한 UIA 국제 표준안(Ⅱ) - 부록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4호통권360호
    • /
    • pp.58-69
    • /
    • 1999
  • WTO 세계무역기구의 발족과 더불어 국가간의 개방과 정책에 따라 건설시장은 물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 관련 부분은 민간사업뿐 아니고 정부 조달시장까지도 개방되어 정부부처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구매하는 물품(설계 및 시공 포함)에 외국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축 설계의 경우 "서비스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의해 원칙적인 기준만 체결되어 있을 뿐 상호인증에 관한 세부사항은 서로의 제도가 동일하거나 합의한 나라를 제외하고는 당사국간의 상이한 제도와 운영체제로 인하여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4년간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건설제도 기획단을 운영하여 시장개방에 대처해 왔으나 국제적인 건축 설계 관련 단체인 UIA와는 의견 교환이 없었다. 특히 상호인증에 따른 기본 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는 건축교육, 실습 및 훈련, 건축사 자격 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정리하여 국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축설계 관련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제건축가연맹(UIA)에서는 용역실무협의회를 설치하여 이미 2년여에 걸쳐 인정방법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6월) 북경 총회에서 상호인정 표준안을 공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3단체(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가협회)주관으로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고자 건축계와 정부가 함께 참석하여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또한 본협회 국제위원회에서 한국측을 대표하여 지난 98년 12월에 열린 UIA 용역실무위원회(PPC)에 참석하여 상호인정에 대한 우리측 입장을 개진한 바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문호 개방에 따른 한국건축의 현안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점이 검토되고 아울러 우리 건축계의 입장 정리와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UIA 국제 표준안 전문에 이어 부록을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간호 분야 실무지침의 수용개작 방법론에 따른 통증간호 실무지침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ai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 은영;유미;구미옥;조용애;김경숙;김태희;이현희;전미진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evidence-based guideline for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Korea by adapting previously developed pain guidelines. Methods: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was conducted using 24 steps according to th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developed b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in 2012. Results: The newly developed pain management guideline consisted of 9 domains and 234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each domain was: 13 general instruction items, 51 pain assessments, 14 pain interventions, 66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cute pain, 41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 cancer pain, 35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 noncancer pain, 21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2 documentations, 10 nursing education items, for pai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w pain management guideline can be used to address pain in hospital settings.

유튜브 이용 동기 및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Tube Usage Motives and Affinity on User Activity)

  • 이은선;김중인;김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6
    • /
    • 2020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동영상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활용하여 유튜브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이용자 활동을 시청 전과 동안 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청 전 활동인 구독채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기는 유용한 즐거움과 사회적 상호작용인 것에 비해, 시청 동안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기는 유용한 즐거움, 사회적 상호작용, 인간관계 연결, 유용한 정보탐색, 공동시청과 같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에 대한 친밀감도 시청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결과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CAT을 이용한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 of LID(Low Impact Development) using the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 장철희;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8-278
    • /
    • 2012
  • 최근 녹색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시 내에서의 물의 순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물의 순환을 고려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법령, 기준, 지침 및 조례 등을 제정하여 물순환을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시설 설치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시설들의 조합이 유역규모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홍수저류지와 침투시설에 대하여 설계하고 시공을 하였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하여 도시 계획 단계에서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별 LID 시설(침투, 저류 등)에 대한 단위 시설의 규모 설계에 그치고 있어 개선 시설이 다중으로 조합되어 분산 계획되었을 경우, 유역 규모에서 물순환의 긍정적인 변화를 판단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도시지역에서의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과 연계된 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독일, 호주 및 미국에서는 STORM, Urban Developer, SUSTAIN(System for Urban Stromwater Treatment, and Analysis INtegratration) 및 SWMM LID(Storm Wastewater Management Model LID) 등의 모형을 출시하고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은 국내의 유역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 저수지 혹은 하천에서의 취수 등과 같이 국내의 복잡한 물순환 형태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물순환 해석모형에 의한 LID 시설을 계획하는 방법은 홍수저감에 국한되어 있고, 하천 유량이나 지하수위 측정 자료가 부족한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유역 물순환 및 도시 개발과 같은 토지이용 변화가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데 있어 제한이 있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LID 시설들이 유역의 물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종합적, 정량적으로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개발 지역의 장기간에 걸친 물순환의 변화를 예측하고 물순환을 개선시키는 대안 시설의 효과를 사전에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김현준 등(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이 개발한 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다. 특히, CAT은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 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대상유역으로는 경기도 Y지구를 선정하였으며 도시개발 시나리오(전원도시 및 산업도시 등)에 따른 LID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도시유형별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 전 후 물순환 변화량 분석 및 LID 시설 계획에 의한 물순환 개선효과를 살펴보면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평균 강우량을 1,271mm라고 할 때 산업도시의 경우 도시 개발 전의 증발산, 직접유출 및 기저유출은 각각 53%, 29%, 19%로 나타났으며 도시 개발 후 35%, 54%, 12%로 직접유출이 개발 전에 비해 86%나 증가하여 개발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ID 시설을 계획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발산, 직접유출, 기저유출이 44%, 34%, 13%로 나타나 도시 개발 후의 왜곡된 물순환 체계가 개발전의 수준과 근접하게 나타나 LID 시설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토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CAT 모형을 사용하여 도시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진단하고,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향후 도시유역에 대한 물순환 정상화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설계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 매뉴얼 작성지침 개발 (A guideline for freeway incident management manual)

  • 백승걸;오창석;강정규;남두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61-72
    • /
    • 2005
  • 돌발상황은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수 없으며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2차사고와 상당한 교통지정체가 발생하기 때문에 돌발상황 사전사후 전 과정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 및 처리를 위해서는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관리적 차원의 돌발상황 대응 및 처리에 대한 매뉴얼은 전무하며, 돌발상황에 대한 정의마저도 담당실무기관별로 상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체계의 요소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문제점 분석과 조치 및 대응체계, 실무상의 매뉴얼 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관리적 차원의 돌발상황 대응 및 처리에 대한 매뉴얼은 전무하며, 돌발상황에 대한 정의마저도 담당실무기관별로 상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체계의 요소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문제점 분석과 조치 및 대응체계, 실무상의 매뉴얼 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돌발상황관리시스템 매뉴얼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돌발상황관리 시스템 매뉴얼 유형설정을 위해 관리단계별, 관리기관별, 돌발상황 유형별로 구분하여 유형을 설정하였다. 셋째, 돌발상황관리시스템 매뉴얼 작성지침개발을 위해 매뉴얼 작성지침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현장 대응매뉴얼, 교통관리센터 대응매뉴얼로 나누어 구성요소를 구분하였고 세부 작성내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를 요약하면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시스템 구축 기준 제시, 국내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의 돌발상황 관리시스템 개선, 교통관리시스템 관련 실무자 교육교재 활용 등이다.

  • PDF

역할 모델(Role model)을 이용한 업무 개선 - 업무의 달인(達人)을 찾아라 -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Using a Role Model)

  • 정우영;류재광;김경식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08
  • 목적 : 역할 모델링의 목적은 효율적(빠르고, 쉽고, 정확 하게)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의 달인(達人)을 찾아 이를 모델로 하여 실무자들이 효과적으로 각자 맡은바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실무자들 간의 업무 능력의 편차를 발견하고 역할 모델을 제시하여 실무에 최적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정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이는 업무 기술 기준의 표준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실험재료 및 방법 :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는 6~7개의 역할 모델링 항목을 개발하였고, 실무에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첫째, Bone scan 검사 시에 발목 고정의 중요성 인식 및 고정의 효율 향상과 둘째, Bone scan 검사에서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의 표준화를 통한 업무 개선 사례를 보고한다. 결과 : 두 가지의 사례 모두에서 개선 전에 비하여 개선 후에 업무 효율을 향상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할 모델링(Role modeling)의 실무 활용은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업무 수행자 또는 우수한 집단들의 행동 및 업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탁월한 역할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업무 기술 기준 표준화에 적극 활용하여 직원들 간의 업무능력의 편차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담당 업무를 효과적으로 잘 처리하는 직원을 모델로 하여, 업무를 열심히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부족한 직원의 성과 향상을 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하겠다. 핵의학팀은 역할 모델링 항목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무에 활용하여 업무를 개선해 나아갈 계획이며 업무 개선 활동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하고 있다.

  • PDF

대학교 라카이브(Larchive) 인식 조사 및 실무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Larchive and its Practical Operation Plans)

  • 박도원;오효정
    • 기록학연구
    • /
    • 제77호
    • /
    • pp.151-187
    • /
    • 2023
  •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은 한정된 운영 공간을 활용하여 자료를 관리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라카이브(Larchive)는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 모델 중 하나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라키비움(Larchiveum), 즉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통합 업무 협력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기관이나 그 전 단계에서 차선책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대학 기록관과 도서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라카이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을 위한 보다 실무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라카이브'라는 개념 자체는 기록관과 도서관 담당자에게 상대적으로 인식이 낮았으나, 실무적인 관점에서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양 조직에 적합한 업무 협력 형태로서 '라카이브'가 합리적인 대안이라는 의견이 수렴되었고, '라카이브 인식조사'를 통해 물적 협력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업무상 협력의 관점에서의 개선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카이브 형태의 협력을 위해서는 공간 협력과 예산 확보, 인력 문제 등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라카이브 형태의 조직 협력을 위해 '교수·학습 지원', '연구지원 서비스', '큐레이션 서비스', '교사 자료 수집 및 관리', '평가 협조'의 관점에서의 라카이브 실무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병원 전 119구급의료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충북 제천.단양을 중심으로- (A Survey o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the Improv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 Assessments - Focus on the Jecheon.Danyans Area -)

  • 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93-299
    • /
    • 2008
  • 119 구급대를 이용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진단 받은 97명의 환자평가로는 혈압 27.8%, 호흡 23.7%, 맥박 33.0%를 측정하였고, 응급처치로는 산소공급 52.6%, 안정 12.4%, 심전도 체크 4.1%, Nitroglycerin(NTG) Aspirin 정맥로 확보 둥은 0%로 전체적인 수행율이 낮게 확인되어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병원 전 처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구급대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실무중심의 지속적인 교육, 교육 후에는 반드시 평가를 병행하여 적정수준 미달자에게는 재교육을 받도록 하는 등 구급대원의 자질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적인 초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자연형 소하천의 수리적 안정성 해석 (Hydraulic Stable Analysis of Passive River)

  • 이경훈;임상주;오창주;김태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44-1248
    • /
    • 2005
  • 최근 몇 년 사이에 자연친화적인 하천복원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자연형 하천공법의 적용 초기단계를 걷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계 복원과 더불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자연형 하천 공법의 개발을 위해 수리적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수리적 및 치수 방재적 측면에서 자연형 하천공법의 안전성에 대한 표준화되고 일관된 분석체계가 아직 구성되지 못하여 자연형 하천정비 공법의 실무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소하천 유역은 지역적 특성이 두드러지고 계절에 따른 유량변화가 심하여 하천의 수리적 안전에 대한 분석체계가 적절하게 갖추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공법에 따른 소하천의 수리적 안전성과 하천정비 전$\cdot$후의 치수기능의 변화를 Hec-Ras(river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적용대상 유역의 수리$\cdot$수문학적. 기하학적, 기상학적 자료들 기본으로 대상유역에 모의해 보았으며 그 결과로부터 자연형 하천정비 전$\cdot$후의 수리적 안전성을 해석하고 하천의 치수기능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Hec-Ras를 이용한 연구의 결과 값들은 국내에서의 자연형 하천공법 적용에 따른 하천의 수리적 안전성을 판단하는 표준화된 분석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자연형 하천정비의 기준과 적용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모전 수상작 분석을 통한 모션 인포그래픽 디자인 트렌드 연구 (Motion Infographics Design Trend Analysis of Competition Award-winning Works)

  • 임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93-304
    • /
    • 2016
  • 이 연구는 국내외 모션 인포그래픽 공모전 수상작을 대상으로 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한 것이다. 정보디자인 측면에서 모션 인포그래픽 디자인 과정을 정보 구조화, 정보 시각화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고려되어야할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하여 각 기준에 맞추어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작품에서 함께 나타난 공통점들은 모션 인포그래픽이란 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 방식들의 효용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주었다. 동시에 차이점을 통해서는 국내외의 모션 인포그래픽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내 모션 인포그래픽의 다양성 부재, 표현의 획일화 등을 읽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모션 인포그래픽을 제작하는 실무와 교육 분야에서 디자인 전략 수립의 틀로 그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