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링재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강관다단 그라우팅에 적용하는 속경성 실링재 개발 (Development of rapidly hardening seal material applicable to steel pipe multistage grouting)

  • 신현강;정혁상;김동현;유용선;김동훈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01-32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강관다단 그라우팅에 적용하는 속경성 실링재 개발에 관한 실험적 내용을 다루었다. 강관다단 그라우팅 공법에서 실링재는 본 주입재의 주입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주입하며 주입 후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겔화 상태에서 본 주입재를 주입해야 한다. 그러나 주입된 실링재가 겔 상태가 되기 이전 유동성이 있을 경우 본 주입재와 함께 혼합됨은 물론, 주입재의 역류가 발생되어 원지반으로 주입이 곤란하며, 반대로 너무 시간이 지나 겔화단계를 넘어 고결되었을 경우 본 주입재가 지반내로 주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실링재의 유동성이 없어져 겔화 상태로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강관다단 그라우팅의 공사시간이 결정되며, 이는 전체 터널의 공사기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링재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실링재의 겔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칼슘알루미네이트 재료를 개발하였고, 실링재 겔화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아울러 실링재의 겔 상태에서 블리딩율에 대해서도 각 품질기준과 시험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2액형 점착 실링재의 누수보수재 평가에 관한 연구 (2 Component Adhesive Leakage Repair Sealant Evaluation)

  • 조일규;김근허;오상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96-40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 발생 시 콘크리트 배면에 주입하여 보수를 시행하는 1액형 점착 실링재에 대해 알아보고 새로운 콘크리트 배면 주입재인 2액형 점착 실링재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2액형 점착 실링재는 아스팔트 계열의 주제와 라텍스 계열의 증점제로 구성된 실링재이며, 주제와 증점제의 배합비에 따라 실링재의 점도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주제와 증점제의 배합비를 투수시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주입성, 경제성, 성능을 고려하여 적정배합비를 6:1로 정하고 KS F 4935 평가를 진행하였다. 2액형 점착 실링재는 static mixer를 활용한 카트리지 타입의 용기를 이용하여 주입이 가능하고 KS F 4935 시험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 결과 KS 기준을 만족하였다.

PC 구조물 부재간 접합부에 적용되는 실링재의 수밀성 평가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to Prepare a Watertightness Evaluation Plan for Sealant Applied to Joints Between Members of PC Structures)

  • 김태호;김용로;고효진;박진상;김동범;이상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5-56
    • /
    • 2023
  • 본 연구는 PC공법에 적용되는 실링재를 대상으로 수밀성 측면의 내구성 평가방안 마련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KS표준의 품질기준에 동일하게 만족하는 실링재 5종을 선정하여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시험결과 5종의 실링재 중 3개 실링재가 바탕면과의 탈락 및 균열 등 수밀성 저하를 나타냈으며, 2종의 경우 육안관찰 상 큰 변화는 없었으나, 추가분석을 통해 소재의 응력 저하율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결과를 근거로 향후 실링재 간 수밀성 측면의 성능검토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하여 제품 선정 시 활용 가능한 수밀성 평가방안의 타당성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덧씌우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전단반사균옅 모사시험을 이용한 줄눈 실링재의 반사균열 지연효과 비교분석 (Evaluation of Sealing Effect on Performance of Overlaid Asphalt Pavement using Accelerated Reflection Cracking Test in Shear Mode)

  • 최동춘;이상범;이영관;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9
    • /
    • 2003
  • 본 논문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덧씌우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반사균열 제어를 위해 줄눈 실링재를 사용한 포장에서의 반사균열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용된 시험방법은 전단반사균열 모사실험 방법으로 실내에서 덧씌우기 아스팔트의 반사균열 저항성 시험을 위해 개발된 시험기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줄눈 실링재는 반사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링재 E를 사용하였을 때 피로수명은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수평변형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B의 경우 수평변형은 가장 적게 나타났고 동적 안정도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실링재의 인장강도가 높은 것일수록 혼합물의 반사균열저항성이 더 좋았다.

  • PDF

구조용 실링마감재의 내환경 조건에 따른 탄성복원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lastic Resto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nvironmental Resistance Condition of Structural Sealing Finishing Materials)

  • 장필성;강동원;홍순구;김영근;김성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12
    • /
    • 2018
  • 본 최근 건축물 외벽공사에 커튼월 공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외벽 커튼월 공법은 공기단축 및 경제적 효용이 크다는 장점으로 인해 건물의 외벽으로도 널리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커튼월 공법의 프레임과 유리를 연결해 주는 구조용 실란트에 대한 내후성 및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열화를 대체한 시험은 KS F 4910 규격에는 부재한 실정으로 안정적인 커튼월 공법 도입과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필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기환경하에서 거동에 대한 탄성복원력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조용 실란트를 대상으로 열에 대한 실링재의 열화를 평가하였다. 국내에서는 구조용 실란트의 가변형 변위거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기 환경에 노출된 열화조건을 대체하여 실험실 조건에서 재현한 결과를 확인하고, 설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구조용 실링재는 KS F 4910의 품질기준은 만족하지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조건에서는 시험체의 파단과 표면의 균열 등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내후성 시험에서는 시험체 모두 불용의 상태를 확인하여 향후, 커튼월 공법에 사용되는 구조용 실링재의 장기적인 내구성능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구조용 실링재가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내구성능 평가를 실시가 요구된다.

점착유연형 고무 아스팔트계 누수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의 내화학 시험방법 개선 연구 (A Study on Chemical Resistance Test Method of the Adhesively Flexible Rubberized Injection Seal for Water Leakage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 박완구;김동범;박진상;김선도;김병일;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0-241
    • /
    • 2017
  • In this stduy, we will references to provide reasonable basis for the test environments applicable to the chemical resistance test covered by KS F 4935 『Injection-type Sealing Materials for Water Leakage Crack of Adhesive and Flexible Rubber Asphalt』, analyz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test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materials. As a result, we assured more objective data in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test methods.

  • PDF

누수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의 시공 기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struction Standard for Sealer of Injection Type for Leakage Maintenance)

  • 임민찬;조일규;선윤숙;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1-54
    • /
    • 2005
  • The concrete structure hasn't perfect waterproofing performance but if it doesn't have a joint part that could isolate a permeability. Concrete structure(communication tunnel and underground structure) has an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joint. There are a lot of joint type after construction or expansion, shrinkage, vibration, over load, performance of decline etc.. they offer a water of way by variety change. In this reason, It carries in effect a waterproofing work for the concrete structure of waterproofing. but the structure has a behavior that cause a problem by waterproofing layer of damage, heaving phenomenon, temperature of shrinkage. In this study, we will estimate a field of application for Sealer of injection type for leakage maintenance of construction standard on 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 PDF

국내산 1성분계 실링재의 기초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Single-Component Sealant in Domestic Production)

  • 신세준;최윤호;이영준;현승용;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8-189
    • /
    • 2019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component and other sealant were analyzed to provide repair methods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sealant due to crack generation. Humidity studies have shown that acrylic silicone is effective in many areas of fluidity and temperature change, and that polysulfide-silicon is most effective in resistance to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and external pressure.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drying shrinkage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various building materials and sealant, as well as the use of sealant, is analyzed, and construction methods derived accordingly, and prevention of defects are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construction project.

  • PDF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 말단장치의 요구성능 분석을 통한 설계·제작 및 기술적 타당성 분석 (The Development of an End-Effector in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er and Technical Feasibility Analysis)

  • 이정호;이원재;유현석;김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D호
    • /
    • pp.367-376
    • /
    • 2012
  • 도로면 크랙실링 공법은 도로면에 발생된 크랙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보수함으로써 후속 크랙 방지 및 동결피해 방지를 통해 도로의 평균상태지수를 높일 수 있는 예방적 차원의 유지보수 공법이다. 그러나 재래식 크랙실링 공법은 도로상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매우 위험하고, 노동 집약적이며, 노무자의 숙련도에 의해 작업 품질 및 생산성에 큰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는 재래식 크랙실링 공법을 자동화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자동화 장비를 개발해 오고 있으나 실용화 실적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말단장치의 성능(생산성, 품질 향상 측면)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나 기존에 개발된 일부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말단장치는 크랙실링의 품질 제고를 위한 필수 작업 기능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말단장치 내에서 실런트가 응고되는 등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 개발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 말단장치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장 적용성이 높고 품질 제고가 가능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 말단장치의 설계안 및 실물(full-scale)제작을 통한 기술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