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환경디자인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32초

환경변화에 있어 디자인경쟁력을 위한 실내디자인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Management Strategy for Design Compectitiveness in Environmental Changes)

  • 장행수
    • 감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245-256
    • /
    • 2008
  • 최근 실내디자인산업은 내, 외적으로 많은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차 국제화, 전문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나 이러한 성장세와 동시에 실내 디자인업계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업계의 전반적인 문제일수도 있으나 실내디자인을 운영하는 틀과 이념에 대한 본질적인 면과 이에 따른 변화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 즉 디자인경영전략이 요구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되어 진다. 따라서 지금까지 적용되었던 디자인업계의 각종 전략들이 유용한 전략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단순한 경영의 논리를 벗어나, 새로운 환경과 변화된 가치관에 걸맞은 철저한 시장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가장 합리적이고, 만족스런 디자인이 탄생될 수 있는 틀로 전환하는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변화에 당면한 실내디자인업체의 현재 당면과제와 다양한 환경변화 요인들을 검토하고, 팽창과 다양한 변화에 따른 환경변화 요인들 중 현황 및 경향을 조사, 분석해봄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국내시장 개방과 고도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환경변화에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여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시사점을 찾은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실내디자인 학생의 성격 유형과 CAD 적성 및 태도의 연관성 (Personality Types of Interior Design Students: Implication for CAD)

  • 임영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160-165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 학생들간에 나타나는 CAD에 대한 태도, 적성과 그들의 성격 유형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들 성향이 CAD 교수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성격 유형 검사, CAD 성적, 그리고 교과목 성적을 통한 통계분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은 실내디자인 전공 3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실시 환경은 CAD가 디자인 도구로 쓰여지는 실내 디자인 실기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정확한 실험 결과 분석을 위해 CAD 숙련도 성적과 종합 교과목 성적이 분리. 채점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성격 유형은 의향형, 직관형, 느낌형, 및 판단형(ENEJ)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에 참여할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직관에 의해 사물을 인지하고, 문제 해결을 하는데 있어 감성에 의지하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판단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CAD에 대한 태도와 성격유형의 관계에서는 CAD가 유용하다고 생각한 학생들이 느낌형에 강한 선호도를 보였으며, CAD 적성과 성격 유형의 관계에서는 CAD 숙련도 성적이 높은 학생이 판단형에 강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CAD 성적이 뛰어난 학생이 종합 교과목 성적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AD 숙련도의 차이가 학생들의 전반적 디자인 능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성격과 학습인지 성향이 컴퓨터 교육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타 분야에서의 연구결과가 실내디자인 분야에도 타당성을 지님을 증명해주었으며, 실내디자인 수업에 있어 컴퓨터 관련 교과목의 교수법이 실내디자인 학생들의 성격 유형을 바탕으로 개발이 될 때 그 활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감성어휘별 색채배색에 의한 디지털 벽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Responsive Color Coordination Digital Wall)

  • 김주연;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4
    • /
    • 2002
  • 디지털 삶에서 인간들은 더 이상 보호막으로써의 건축 환경이 아닌 함께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감성반응 환경을 요구한다. 즉, 실내 공간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사람들의 기분을 만족시키기 위해 건물이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쉬지 않고 변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 PDF

울산광역시 공공시설 실내디자인의 환경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s Shown in Interior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Ulsan)

  • 정지향;이규백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95-404
    • /
    • 2003
  • 오늘날의 인류는 인위적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 온전한 공존관계를 유지하여 비자연성,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교감하며 풍요로와질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실내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표현을 실내공간에 자연요소로 도입하는 방안과 인간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물 또는 질서 있는 변화를 가진 아름다운 형태를 인위적인 디자인 형태로 표현하는 방안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환경친화의 개념과 발달 과정을 정의해 보고, 실내공간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환경친화적인 표현의 특성 중 자연요소 도입과 디자인적인 형태 표현으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연구분석의 사례로는 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울산광역시 공공시설의 실내공간으로 제안하였다. 환경친화적인 공간의 형성은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관련 연구가 더욱더 활성화, 전문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공간에서의 자연적 요소와 디자인적 형태의 표현이 폭넓은 이해와 심도 있는 연구로 병행될 때 바람직한 환경친화적인 표현이 창출될 것으로 본다.

  • PDF

단기교육 영향에 대한 실내환경적 성향의 안정성 규명연구 -'실내디자인 양식사' 수강경험이 실내환경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Stability of Environmental Disposition Validated Through a Shout Term Education -The Effect of 'Interior Design History' Course on Students' Environmental Disposition-)

  • 이연숙;이선미;이경은;민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호
    • /
    • pp.3-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ability of environmental disposition through analyzing the short term effect of the 'Interior Design History' course on students environmental dispositions, especially their interior image preferences toward traditional/modern, female/masculine, and simple/complex characteristics. The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experience of the Interior Design History cours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environmental disposition measured by IIPS(Interior Image Preference Scale). The measurements were done at both beginning and end of fall semester, 1997. Subjects were using 71 undergraduate students of Drafting course (control group) and 35 undergraduate students of Interior Design History course (experimental group) at Y Universit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F-test through ANOCOVA. This research revealed no effect of the Interior Design History course on students interior environmental dispositions. The stability of those environmental dispositions and also the validity of the IIPS were proved.

  • PDF

지속가능한 실내환경디자인 요소의 체계적 분류 - 초고층 아파트 단위 주공간의 디자인요소를 중심으로 - (A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Improving Sustainability -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Unit Plan Design Elements of High-rise Apartment -)

  • 이은정;박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8-55
    • /
    • 2006
  • A sustainable building must produce an interior environment that is safe, healthy, comfortable and supportive of human performance and well-being. The medical human comfort: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cost of unhealthy environment may cause much cost for healing. Research that buildings with daylight, fresh air, eco-materials and sustainable interior design are consistently rated as more comfortable and occupants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health.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ystematically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improving sustainability with a view to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super high-rise apartment unit plans. With a literature survey and design guide lines concerning sustainable design elements, three hierarchical categorization levels of human, environment, energy and resources systems that consists of upper, middle, low design elements have been proposed. A total of 6 items have been suggested for middle level of categorization and 24 items for lower level. Finally a total of 107 design elements concerning the 24 items and their relationahips have been revealed. The needs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for sustainability have been discussed.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 Job Model Centric Educational Program for a 4 Year Interior Design University Course: Based on a Case Study of an Interior Design Major at K University)

  • 정성욱;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6-555
    • /
    • 2019
  • 본 연구는 K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의 교육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내 외부 환경분석을 거쳐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실내디자인분야 직무모형을 구축하고 직무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여 4년제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목을 편성하였다. 실내디자인 직무에 따라 수립한 인재상은 '실내디자인분야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실내디자인분야 공간기획 전문가' 그리고 '실내디자인분야 시공관리 전문가'이다. 세부 직무모형에 따라 40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1학년은 학부 공통교과목, 2학년은 전공기초, 3학년은 전공심화, 4학년은 전공응용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내디자인분야의 산업체 조직구성현황 및 직무표준의 모형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 자체를 제안하고 구체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