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대기오염물질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실내 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 장치법

  • 문길주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90-299
    • /
    • 1992
  • 대기질의 악화와 오염원이 많아짐에 따라, 실내공기 정화장치 또한 재래식의 방법을 벗어난 방 식으로 설계 시설되어야 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유해 물질과 작은 먼지들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환풍장치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더욱이 대도시의 생활은 오염 원과 작업장 및 거주지가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특별히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풍장치가 설계되어야 한다. 끝으로 작업장안에서 오염원 격리수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여, 청정공 간(clean room)을 요구하는 반도체 및 제약회사 등은 건축물자체 오염원에서 멀리 떨어져서 지 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과 건축물의 자재 및 공기정화장치가 새롭게 연구되어 설계되야 한다.

  • PDF

Assessment of Indoor Radon Pollution from Underground Water (지하수로부터의 라돈 실내오염 평가)

  • 유동한;김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0-131
    • /
    • 2000
  • 라돈(Rn-222)은 우라늄(U-238) 방사능계열의 원소로서 라듐(Ra-226)의 붕괴시 자연생성되는 가스상 물질이다. 화학적으로는 불활성이며 무색, 무취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기보다 8∼9배 무겁기 때문에 지표면 가깝게 존재하므로 인체노출이 쉬운 물질로 알려져 있다. 라돈은 최근까지도 온천 등지에서 건강에 매우 좋은 원소로 알려져 왔으나 사실은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마시거나 호흡했을 경우,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Doull et al, 1999) (중략)

  • PDF

Indoor Smog Chamber Study I: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the Growth of Atmospheric Aerosols (실내 스모그 챔버 연구 I: 상대습도가 대기 에어로졸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김민철;배귀남;박주연;임득용;진현철;문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67-168
    • /
    • 2002
  • 서울 지역의 스모그 현상은 1차 오염물질에 의해 생기는 런던형 스모그 및 광화학 반응에 의한 LA형 스모그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특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서울 지역의 스모그 특성을 체계적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스모그 현상에 대한 현장조사 연구뿐만 아니라 챔버 실험을 통한 스모그 생성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시정장애(visibility reduction) 현상을 거치는 대기의 기상 특성을 보면 대부분 상대습도가 높은 조건이 낮에도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략)

  • PDF

The Simulation for Wire-Plate Type Plasma Reactor Manufacture (선 대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 제작을 위한 시뮬레이션)

  • Lee, Hyun-Soo;Lee, Dong-Hoon;Park, Jae-Yoon;Han, By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b
    • /
    • pp.103-108
    • /
    • 2003
  • 산업화에 기인하여 공장 및 수송수단 증가로 대기배출가스량이 증가 그 결과 대기오염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실내오염가스의 정화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제거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선 대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 제작에 필요한 최적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반응기 내부의 전위 및 전계분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여기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의 실내라돈 농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영준;김진용;박성은;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97-298
    • /
    • 1999
  • 라돈과 라돈 낭핵종은 예전부터 생활환경 중에 존재해 왔던 것으로 최근 산업화등으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는 다른 오염물질과는 그 발생원이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폐암, 위암등의 암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미국, 캐나다, 체코의 우라늄 광산 및 스웨덴, 영국의 비우라늄 광산에서 확인된 바 있어 그 관리의 중요성이 나날이 대두되고 있다(Guimond 등, 1979; UN, 1977).(중략)

  • PDF

Indoor comfort environment modeling engine (실내 쾌적성 모델링 엔진)

  • Lee, Jae-Min;Jeong, Hye-Seong;Kim, Dong-Ju;Jeong, Hoe-Joong;Kim, Ji-Won;Do, Yun-Hyung;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536-53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analyzes environment information by using deep learning and then provides a suitable environment for users by predi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change. As the level of living improves,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In particular, as the air quality deteriorated due to the recent occurrence of dust, smog,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the indoor air quality as well as the outdoor air became a serious problem. The increase of indoor pollution due to the lack of ventilation and the use of chemicals is a serious problem for modern people who have a lot of indoor living. In order to solve this indoor air pollution, a system has been proposed that measures the state of air quality through sensors and maintains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However, existing system has a difficulty to apply mos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to various users depending on sensors only.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predicts the indoor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indoor pollu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using the deep learning. Then, the predicted indoor environment is modeled and learned in this system, and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user is suggested. Afterwards, the system receives feedback from the user and repeats the process of re-learning the proposed environment so that it can create the optimal environment for the user.

  • PDF

A Study on the Smart Filter System for External Environment Recognition (외부환경 인식용 스마트 필터 시스템에 대한 연구)

  • Seo, Do-Won;Yoon, Keu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2
    • /
    • pp.271-278
    • /
    • 2021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ilter system that recognizes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utomatically removes pollutants according to pollution level. Recently, the occurrence of various pollutants in indoor and outdoor space has adversely affected the human body. Especially, various fine dust generated in the atmosphere becomes worse in closed residential space or office space. Although air pollution can be temporary lowered through ventilation,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fine dust changes in real time, and such problems become serious in the space where many people reside, such as at home or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pollution level of fine dust inside the residential space in real time and to reduce the pollution of indoor ventilation through automatic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ilter system for external environment recognition. The structure of smart filter syste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air quality inside and outside, removes pollutants, implements the function, and confirms the operability by manufacturing prototype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smart filter system for solving fine dust problems was examined.

Photooxidation Reaction of Toluene/$NO_x$ Mixture in an Indoor Smog Chamber (실내 스모그 챔버를 이용한 톨루엔/$NO_x$ 광화학 반응 현상의 관찰)

  • 이영미;이승복;배귀남;김민철;문길주;박주연;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67-168
    • /
    • 2003
  • 광화학 스모그는 대기 중으로 배출된 일차 오염물질인 /NO$_{x}$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햇빛에 의해 반응하여 오존과 그외 다른 광화학 물질들을(photochemical oxidants) 생성시키는 현상이다. 서울의 경우 이런 VOCs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톨루엔은 광화학 반응을 통해 이차 유기 에어로졸(secondary organic aerosols)을 생성하는 능력이 매우 높은 방향족 화합물이다(Na and Kim, 2001). 지금까지 톨루엔의 이차 유기 에어로졸 생성에 관한 연구와 다른 방향족 탄화수소에 관한 연구가 스모그 챔버 실험을 통해 많이 이루어져 왔다. (중략)

  • PDF

Measurement of Deodorization Efficiency of Indoor Air Cleaner (탈취제품의 탈취 성능 측정 연구)

  • 허귀석;김정우;유연미;이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57-258
    • /
    • 2003
  • 사회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생활공간은 대부분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의 80-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오히려 실외공기보다 실내환경의 공기오염이 수백 배 높은 실정이다1). 대부분의 시간을 특정공간에서 보내게 되므로 현대인의 건강과 편리함을 위해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탈취제품(공기 청정기)이 많이 상품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NH$_3$), 트리메틸아민(($CH_3$)$_3$N), 초산($CH_3$COOH), 황화수소(H$_2$S), 메칠멀켑탄($CH_3$SH), 황화메틸 ($CH_3$S$CH_3$), 이황화메틸($CH_3$SS$CH_3$), 아세트알데히드($CH_3$CHO), styrene(C$_{8}$H$_{8}$)등 9종의 악취물질을 대상으로 탈취제품의 객관적인 탈취 능력 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