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공간

Search Result 3,00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Indoor Spatial Data Model (ISDM) (실내공간 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Seok-Ho;Park, In-Hye;Lee,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47-49
    • /
    • 2010
  • 최근 들어 복잡한 대규모의 실내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실내공간에서의 생활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공간에서의 편의와,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사고에 대비하여 실내공간을 3차원으로 표현하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실내공간을 표현하고, 실내공간 뿐만 아니라 실외공간과의 연계 표현이 가능한 실내공간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 PDF

Effects of Interior Plantscape for Wayfinding in Built Environment (실내 환경의 경로탐색을 위한 실내녹화 효과)

  • Chung, Sung-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7 no.4
    • /
    • pp.79-88
    • /
    • 2004
  • 본 연구는 실내 환경의 경로탐색을 위한 실내녹화 효과의 적용 및 그로 인한 실내녹화의 환경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 환경 분석은 실내공간 이용자들의 공간 인지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이 공간 인지의 불편함을 일으키는 인자인 환경적 설계 특징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러한 환경적 인자의 설정을 통해 실내 환경 개선 및 환경적 설계기준이 마련되어진다. 본 연구에는 4학년 학부생 57명이 선정되었고, Spielberger 상태 특성 불안 검사를 통해 불안정도가 높은 피험자와 불안정도가 낮은 피험자 두 그룹으로 범주화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건물 실내 환경의 지정된 공간을 찾아가는 두개의 다른 경로탐색 환경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원래의 건물 실내 환경공간과 시뮬레이션 작업에 의한 실내녹화 공간이 설치된 새로운 건물 실내 환경공간의 두개의 경로탐색 환경이 본 실험에 이용되었다. 실험 참여자들은 실내녹화 공간이 설치된 경로탐색이 용이한 공간을 인지함으로써 the STAI,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이 개선되었고, 불안정도가 낮은 피험자들이 불안정도가 높은 피험자에 비해 실내녹화 공간이 설치된 경로탐색이 용이한 공간을 좀더 적극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내녹화 공간의 경로탐색 효과를 규명하고, 실내 환경의 미학적 환경계획을 시행하여 실내공간 이용자들의 미학적 관점 및 공간 인지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A Study on the LOD(Level of Detail) Model for Applications based on Indoor Space Data (실내공간 데이터 기반의 응용 서비스를 위한 세밀도 모델에 관한 연구)

  • Kang, Hye-Young;Lee, J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2
    • /
    • pp.143-151
    • /
    • 2014
  • As the interest in indoor space increases, the demands for various services based on indoor space is increasing. With the demands, to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for indoor space is also required, but there is not defined the LOD(Level of Detail) for indoor spatial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we classified data for indoor space data construction, and then we defined the accuracy and detail about the level of detail to provide suitable applic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type and representation method of each data. Most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 on the geometrical representation, but in this paper we define a indoor LOD model based on type and representation method of data. In addition, we present applicable services with proposed LOD model and suggest a guideline for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indoor space.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in Seoul and Pusan (서울 및 부산지역 실내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 김윤신;이상복;권성안;최원욱;김현탁;이홍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01-303
    • /
    • 2000
  • 오늘날 경제적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일상생활 대부분이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인구 및 산업의 도시집중화에 따른 지하생활공간의 이용이 확대되는 둥 생활양식과 거주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실내공간은 현대 도시인들에게 있어서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하는 공간으로서(Wily et at., 1991)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이 보건학적인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이며(Spongier, 1983) 현재 국내에서도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대한 오염도가 조사되고 있으나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김윤신, 1994). (중략)

  • PDF

Location Model for Indoor Space (실내 공간을 위한 위치 모델)

  • Kang, Hae-Kyong;Li, Ki-Joun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1-56
    • /
    • 2007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기반으로 실내 공간 위치정보를 표현하는 위치모델을 제안한다. 실내 공간은 실외공간과 마찬가지로 유클리디언 공간, 네트워크 공간, 기호 공간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외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위치서비스의 경우, 도로 혹은 평면 공간처럼 어느 한 공간을 가정하고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실내공간에서의 위치서비스는 이 세 가지 공간을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공간의 특성을 소개한 후, 각각의 공간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공간 위치모델을 간략히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내 위치모델을 위한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세 가지 공간모델을 통합하는 실내 위치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실내 공간들 간의 접근성 표현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간모델에 실내 위치모델을 위한 모델요소를 추가하는 형태로 설계되었으므로, 현재 개발된 지리정보 시스템들과의 호환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oor Spatial Data Model Using CityGML ADE (CityGML ADE를 이용한 실내공간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Kang, Hye Young;Hwang, Jung Rae;Lee, Ji 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2
    • /
    • pp.11-21
    • /
    • 2013
  • W ith the recent increasing build and application for 3D spatial information,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application for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Due to the increasing of the scale and complexity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ide the services based on indoor space such as indoor navigation for disaster. Therefore, to efficient manage and service for information of complicated indoor space, it is necessary to extend and develop 3D spatial model and service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outdoor space. In this paper, Indoor Spatial Data Model(ISDM) is developed to support building spatial information for complicated indoor space and location based services through topological information. ISDM contains a feature model which is a CityGML Application Domain Extension(ADE) model and a topology model that refers the IndoorGML.

Tracking in Indoor Symbolic Space with RFID Sensors (RFID센서를 이용한 실내 기호공간내의 이동객체의 위치 추적)

  • Kang, Hye-Young;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7-9
    • /
    • 2010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위치를 향상 명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추적 가능 실내 기호 공간(Trackable Indoor Symbolic Space)을 정의하고, 이러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규칙들을 제안한다 위치를 좌표로 나타내는 실외 공간의 응용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실내공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위치를 방 번호와 같은 기호적 값으로 표현하는 기호참조체계를 이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내기호공간의 개념과 실내 기호공간에서의 이동객체의 위치 추정에 대해 소개하고, 추정 가능한 실내공간을 만들기 위한 규칙과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 Study of Subspacing Strategy for Service Applications in Indoor Space (실내공간 응용 서비스를 위한 공간분할 방법에 관한 연구)

  • Kang, Hye Young;Jung, Hyo-jin;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3
    • /
    • pp.113-122
    • /
    • 2015
  • Recently, according to developing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buildings has been enlarged such as high-rise buildings or complex buildings associated with underground facilities. The number of indoor activity population has increased very quickly. Because of that, technical requirement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Indoor LBS) also have been increased. Although indoor networks have to be constructed for efficient LBSs in indoor space based on OGC IndoorGML, it is not suitable for large and complex space to apply the simple network structure to constructing indoor navigation networks. The indoor navigation network has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logical, physical, and functional constraints for indoor space. In order to do that, subspacing methods are required to partition large and complex indoor space into proper size of sub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basic requirements of subspacing in indoor space for creating efficient indoor network, as well the work process of subspacing in indoor space.

Indoor Spatial Awareness Project and Indoor Spatial Data Model

  • Li,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4
    • /
    • pp.441-453
    • /
    • 2008
  • With the rapid progress of location based services, GIS, and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the space that we are dealing with is no longer limited to outdoor space but being extended to indoor space. Indoor space has some differences from outdoor space, therefore to provide integrated spaces and seamless servic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new theories, data models, and systems. For this reason, ambitious project has been launched last year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develop a core technologies and systems, and provide services of indoor spatial awarenes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verall sketch on the project and major research topics. First, we present the ISA (indoor spatial awareness) project with its goal and research topics. Second, a simplified 3D spatial model, called prism model, is proposed as a basic data types and operators of indoor spatial DBMS. Third, a indoor feature data model, developed T. Kolbe et al. who is a member of this project team, is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model provides a basis for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spaces.

  • PDF

국내 실내공간정보 추진 동향

  • Choe, Hyeon-Sa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4
    • /
    • pp.39-46
    • /
    • 2017
  • 본고에서는 실내공간정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 및 서울시 등 공공분야에서 추진한 실내공간정보 구축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실내공간정보 구축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실내외를 연결한 통합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실내외 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개발 사례 및 실내외 연계기준점 설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