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감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3D Sound System Using Real Sound Iterface (실감음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입체음향 시스템)

  • 김용완;김재우;김풍민;김현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183-186
    • /
    • 1999
  • 가상현실은 현실에 구애받지 않고 상사의 세계를 현실과 같이 만들어 내어 인체의 모든 감각기관이 인위적으로 창조된 세계에 몰입됨으로써 현실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청취자의 머리움직임에 따라 머리 추적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음향의 방향감 간의 상관모델을 구성하여 시스템내의 S/W 모듈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머리 움직임 변화에 부합되는 실감음향을 생성하고, 영상도 함께 동기화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실감음향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발에 대해서 논의한다.

  • PDF

An Augmented Education Contents for an E-learning Environment (e-learning 환경을 위한 실감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 한은정;김기락;정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68-270
    • /
    • 2004
  • 본 논문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e-learning 교육컨텐츠 환경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증강환경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는 단순한 상호작용만을 허용하고,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컨텐츠를 실감형 교육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컨텐츠의 배치, 조작, 학습과정 등에서 기존의 교육 컨텐츠보다 인터랙티브하고 직관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Analysis of future technologies based on TSI technology in Hollywood SF movies (헐리우드 SF영화에 나타난 TSI기술 분석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 Kim, Joo-Han;Lee, Yun-Mi;Lee, Eunnar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705-712
    • /
    • 2007
  • 최근 뉴미디어 제품 디자인을 위한 텐저블 인터페이스(Tangible Interface)에 대한 연구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미래 미디어에 있어서 텐저블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재 텐저블 인터페이스의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며 기술에 대한 의미, 컨셉트, 방향 등이 점점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감공간기술(Tangible Space Initiative)이 다양한 방향으로 개발될 수 있는 잠재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현실의 사회상과 다양한 미래기술을 반영할 수 있는 SF영화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에 나타난 실감공간기술과 유사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적용된 감각, 전달된 정보의 종류, 세부 기술, 실감공간기술의 세가지 기본 컨셉트(사람과 사물의 상호작용,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 사람과 정보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미디어 이용 동기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유형화 해 보고자 한다.

  • PDF

Prospect users' perceptions of TSI technologies: An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adolescents (실감공간기술(Tangible Space Initiative)에 대한 잠재적 수용자의 인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Yang, Yeon-Hee;Yang, Hae-Young;Kim, Joo-H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98-60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실감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반응을 바탕으로 향후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조언을 하기 위하여 총 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소집단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의 종류와 이유, 미디어 사용에서 느끼는 불편한 점, 그들이 상상하는 미래형 미디어의 모습과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반응을 묻고, 그 결과를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가자들은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로 휴대폰과, 인터넷, MP3, 활자 매체 등을 꼽았다. 활자매체의 장점으로는 높은 몰입도를, 인터넷의 장점으로는 편리한 인터페이스, 핸드폰의 장점으로는 이동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핸드폰과 관련하여 청소년들은 불편한 인터페이스, 작은 용량과 빨리 닳는 배터리를 단점으로 지적했고 뉴미디어 공통적으로 느린 속도, 미디어에 의존하게 되는 강박증적 증세, 사생활 침해의 문제와 대인관계유지에 있어서의 부작용, 높은 이용료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들은 일상생활이 미디어 이용에 의해 방해받고 있으며 미디어 이용으로 인해 불필요한 '필요'가 생겨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래형 미디어에 대한 바람은 기존 미디어의 단점이 보완, 개선되는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더욱 편리해진 인터페이스와 기존 뉴미디어의 장점이 접목되는 방향의 미디어 통합도 요청되었다. 그러나 실감공간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을 수적으로 우세해 주목을 끌었다. 진화된 형태의 미디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실감공간기술이 기존의 면 대 면 대인관계를 파괴할 것이며 사생활을 침해하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등의 거부감과 공포를 구체적으로 피력한 것이다. 이러한 두려움(fear)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새로운 매체에 대해 갖는 두려움과 이로부터 발생하는 두려움에 대한 대응은 혁명적 변화의 가능성을 억압하여 기존의 질서와 새로운 질서가 공존하는 기간을 늘림으로써 미시적 차원에서 단절적 역사의 경험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연구 결과 나타난 실감공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즉 인터뷰 참가자들이 피력한 두려움은 뉴미디어 도입과 함께 반복되는 현상이며 이것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두려움은 기존 질서와 새로운 질서가 공존하는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완충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향후 기술 개발과 확산 과정에서 실감공간기술의 긍정적인 면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수용자들의 바람과 신기술에 대한 공포감을 이해하고 이를 기술 개발 방향 설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자세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 PDF

The Effect of Gesture Based Interface on Presence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the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동작기반 인터페이스가 실재감 지각 및 수행에 미치는 효과)

  • Ryu, Jeeheon;YU, SEUNGBEOM
    • (The)Korea Educational Review
    • /
    • v.23 no.1
    • /
    • pp.35-56
    • /
    • 2017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esture based interface and display methods to make an effect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e gesture based interface can provide interactive interface to make objects in th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by generating natural movement of users' gesture. This natural functionality leads users to apply natural movements as they do in real actions. Because of the natural user interface, the gesture based interface is expected to maximize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gesture based interface can be used when a head mounted display is applied for a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For this study 44 colleagues students were participated. Two display methods (head mounted display vs. monitor) and two interface (gesture based interface vs. joystick) were tested to identify which might be more effective. The study was applied to different learning tasks which require different levels of spatial percep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ree constructs of virtual presence (spatial perception, immersiveness, and realness) and task completion time and recall tests. This study discussed potential disadvantages of gesture based interface while it showed positive usages of gesture based interface.

미디어 사물 인터넷 내 후각 인터렉션을 위한 표준 데이터 템플릿과 표준 인터페이스

  • Choe, Jang-Sik;Jang, Seong-Jun;Lee, Hae-Ryong;Byeon, Hyeong-Gi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2 no.4
    • /
    • pp.34-40
    • /
    • 2017
  • 현재 멀티미디어는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며 몰입감과 현장감을 자아내고 극대화할 수 있는 실감 미디어(Immersive media)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실감 미디어 내 시청각 정보의 저장과 표현을 위한 데이터 템플릿과 인터페이스들은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표준화되어 왔지만, 이와 달리 후각, 미각, 촉각 등의 실감 정보들은 관련 표준들의 부재로 인해 많은 연구 개발에도 불구하고 해당 서비스들의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중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후각 미디어에 초점을 맞추어 MPEG-V 표준과 현재 진행 중인 MPEG-IoMT(Internet of Media Thing) 표준을 사용하여 미디어 사물 인터넷 내 후각 인터렉션을 위해 필요한 표준 데이터 템플릿과 인터페이스를 기술하였다.

Real Sound Interface for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위한 실감음향 인터페이스)

  • Kim, Yong-Wan;Kim, Hyun-Suk;Kim, Hyu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11-714
    • /
    • 2000
  • 가상현실은 현실에 구애받지 않고 상상의 세계를 현실과 같이 만들어 내어 인체의 모든 감각기관이 인위적으로 창조된 세계에 몰입됨으로써 현실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청취자의 머리움직임에 따라 머리 추적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음향의 방향감 간의 상관모델을 구성하여 시스템내의 S/W 모듈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토대로 머리 움직임 변화에 부합되는 실감음향을 생성하고, 영상도 함께 동기화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실감음향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논의한다.

  • PDF

Learning System for Scientific Experiments with Multi-touch Screen and Tangible User Interface (멀티 터치스크린과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과학 실험 학습 시스템)

  • Kim, Jun-Woo;Maeng, Jun-Hee;Joo, Jee-Young;Im, Kwang-Hy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8
    • /
    • pp.461-471
    • /
    • 2010
  • Recently,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ies have been emerged, which shows the types of digital contents integrating real and virtual worlds. To maximize the effect of AR technology, tangible user interface, which enables users to interact with the contents in the same way in which they manipulate objects in real world, is applied. In particular, we expect that the technologies are able to enhance learners' interests and degree of immersion, and produce new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learning system for scientific experiments with multi-touch screen and tangible user interface. The system consists of an experiment table equipped with a large multi-touch screen and a realistic learning device that can detect the user's simple gestures. In real world, some scientific experiments involve high cost, long time or dangerous objects, but this system will overcome such hindrance and provide learners with a variety of experiment experience in realistic ways.

SmartPuck System : Tangible Interface for Physical Manipulation of Digital Information (스마트 퍽 시스템 : 디지털 정보의 물리적인 조작을 제공하는 실감 인터페이스 기술)

  • Kim, Lae-Hyun;Cho, Hyun-Chul;Park, Se-Hyu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3 no.4
    • /
    • pp.226-230
    • /
    • 2007
  • In the conventional desktop PC environment, keyboard and mouse are used to process the user input and monitor displays the visual information as an output device. In order to manipulate the digital information, we move the virtual cursor to select the desired graphical icon on the monitor The cursor represents the relative motion of the physical mouse on the desk. This desktop metaphor does not provide intuitive interface through human sens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tangible interface which allows the user to interact with computers using a physical tool called "Smartpuck". SmartPuck system bridges the gap between analog perception and response in human being and digital information on the computer. The system consists of table display based on a PDP, SmartPuck equipped with rotational part and button for the user's intuitive and tactile input, and a sensing system to track the position of SmartPuck. Finally, we will show examples working with the system.

A Navigation Algorithm using a Locomotion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oot Platforms for Realistic Virtual Walking (실감의 가상 걸음을 위한 발판타입 이동인터페이스의 네비게이션 알고리즘)

  • Yoon, Jung-Won;Ryu, Je-Ha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2 no.6
    • /
    • pp.358-366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navigation algorithm using a locomotion interface with two 6-DOF programmable foot platforms. When a human walks on the locomotion interface (LI), the walking motions of the human are recognized by several sensors. Then, the sensed information is used by the LI for generation of infinite surfaces for continuous walking and the virtual environments for scene update according to motions of the human walking. The suggested novel navigation system can induce user's real walking and generate realistic visual feedback during navigation. A novel navigation algorithm is suggested to allow natural navig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by utilizing conditions of normal gait analysis. For realistic visual feedback, the virtual environment is designed with three components; 3D object modeler for buildings and terrains, scene manager and communication manager component. From experiments,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reality of the suggested navigation algorithm using the locomotion interface. Therefore, the suggested navigation system can allow a user to explore into various virtual terrains with real walking and realistic visual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