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호 특성

Search Result 6,42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nalysis on Signal Interference with Characteristic Modeling of High Power Amplifier (고 출력증폭기의 특성 모델링에 따른 신호 간섭 분석)

  • Park Durk-Jong;Ahn Sa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77-38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지상국에 구축된 고 출력증폭기에 대한 특성 모델링 및 이에 따른 입력신호에 따른 출력 신호의 상호 간섭에 대한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고 출력증폭기는 지상국에서 위성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필요한 장비로써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입력된 신호에 대한 다양한 하모닉 성분이 발생된다. 특히 통신해양 기상위성의 지상국의 경우에는 하나의 고 출력증폭기에 대해 두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해야 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은 사전에 반드시 분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증폭기의 P1dB 특성곡선에 의해 특성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및 이러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이미 정의된 두 신호에 대한 간섭의 양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 출력 증폭기의 전단에 속하는 상향 주파수 변환기의 특성을 고려한 신호를 사용하여 실제의 통신해양기상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결과를 얻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실제 보내고자 하는 신호의 대역과 매우 가깝게 있으며 그 크기는 보내고자 하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레이다와 전파신호처리 기술(I)

  • 곽영길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5 no.1
    • /
    • pp.100-110
    • /
    • 1994
  • 레이다 신호는 대표적인 전자파 신호로서 주변환경에 따라 시간, 주파수, 공간 영역에서 고유한 신호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신호처리 기법도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레이다를 위한 전파 신호처리 의정의와 필요성을 언급한뒤, 레이다 신호환경 특성을 살펴보고 신호처리를 위한 신호의 시간 및 스펙트럼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신호특성에 적합한 신호처리기의 구현을 위해 레이다 신호처리에 관 련된 주요 기법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레이다 신호처리 분야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음성이 나 영상신호처리 분야와 달리 고유한 알고리듬과 구조가 요구된다. 신호처리기법으로서 레이다 파형설 계, 해상도 모호성, 펄스압축, 클러터제거, 도플러처리, 일정오경보탐지, 클러터 지도, 표적군 형성/ 추출, 표적식별, 레이다영상기법, 적응배열처리 등에 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레이다 선호처리 기술은 "스마트"한 레이다를 위한 두뇌 역할을 하기때문에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속, 대용량의 신호를 주어진 빔 주사시간동안에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표적 정보를 추출해야 하기 때문에 아직도 상용 프로세서의 속도 한계내에서 알고리듬의 수행에 다소 제약을 받고 있으나, 최근 디지탈 신호처리 전용의 고속 칩의 출현으로 많은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끝으로, 향후 레이다 신호처리 발전 추세와 응용분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응용분야는 군수 및 민수용의 겸용 파급효과가 매우 크고, 군용의 대공탐색 및 조기경보, 전장감시뿐만 아니라 전투기 탑재용으로 필수적이며, 특히 민수용의 공 항, 항공기, 선박, 위성 등 매우 다양하다. 최근 발전추세에 따른 기술로서 다중모드 신호처리, 고집적 회로기술, 적응배열, 디지탈 빔형성, 적응성, 고분해능 및 방향성, 표적식별, 다차원 신호처리에 대해 언급 하였다.

  • PDF

MF DGNSS 인프라를 이용한 항법 신호의 야간 특성 분석

  • 손표웅;한영훈;서기열;황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12-414
    • /
    • 2022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s)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전파 교란 및 기만에 대한 GNSSs의 취약성에 대한 우려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미국, 러시아, 유럽 등 자체적으로 GNSS를 보유하고 운영하고 있는 국가조차도 GNSS의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부가적인 항법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그 중 현재 운영 중인 Medium Frequency (MF)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Differential GNSS (DGNSS) 정보를 전달하는 인프라를 활용하여 항법 신호를 송출하는 Ranging Mode (R-Mode) 시스템이 유럽과 한국을 중심으로 개발 중에 있다. 하지만 MF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일몰 이후에 전리층 일부가 소멸되면서 상위 전리층에서 신호가 반사되어 지표면에서 강한 세기로 수신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런 특성은 지표를 통해 전파하는 원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 큰 오차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송출되고 있는 R-Mode 신호의 야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충주, 어청도 DGNSS 기준국에서 송출하고 있는 R-Mode 신호를 다양한 안테나 종류로 수신해보고, 항법 시스템의 정밀도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특성에 대한 보완방법을 모색하였다.

  • PDF

AMNOR System with Linear Phase Response to the Desired Signal (원하는 신호에 대해 선형 위상 응답 특성을 갖는 AMNOR 시스템)

  • 임병관;조병모;차일환;윤대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6
    • /
    • pp.45-52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원하는 방향에 대해서 선형 위상 응답 특성을 갖는 적응 빔 형성기에 대해서 설 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빔 형성기는 원하는 신호에 대해서 선형 위상 응답 특성을 얻기 위해 전방 적응 빔 형성기와 후방 적응 빔 형성기를 이용한다. 두 빔 형성기의 각각의 출력 신호를 합하여 원하는 신호를 얻는다. TDL 필터 계수는 가상신호와 출력 신호간의 차이 값의 파워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된다. 원하는 방향에 대한 빔 형성기의 임펄스 응답이 중심 샘플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원하는 방향에서 입사되는 신호에 대한 선형 위상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출력 잡음 분산을 최소로 하는 반면 원하는 신호 방향에 대한 주파수 응답의 왜곡을 미리 정한 허용치보다 작게 함으로써 음성 신호 를 향상시키는 AMNOR 시스템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빔 형성기를 적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를 제시한다.

  • PDF

B-ISDN 신호 프로토콜의 동향 및 분석

  • 김미성;최문기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9 no.6
    • /
    • pp.51-68
    • /
    • 1992
  • 사용자 정보 전달을 위한 가상채널을 설정하는 신호절차는 B-ISDN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B-ISDN 서비스를 지원하는 B-ISDN 신호프로콜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부분별 즉, UNI, NNI, Meta-Signalling, SAAL(Signalling AAL)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B-ISDN 신호 절차 및 신호 프로토콜의 진화방향등을 살펴보고, 다양한 B-ISDN서비스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신호 기능들을 기술하였다.

  • PDF

The Low Probability of Intercept RADAR Waveform Based on Random Phase and Code Rate Transition for Doppler Tolerance Improvement (도플러 특성 개선을 위한 랜덤 위상 및 부호율 천이 기반 저피탐 레이다 파형)

  • Lee, Ki-Woong;Lee, Woo-K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6 no.11
    • /
    • pp.999-1011
    • /
    • 2015
  • In modern electronic warfare, RADAR is under constant threat of ECM(Electronic Counter Measures) signals from nearby jammers. The conventional linear frequency modulated(Linear-FM) waveform is easy to be intercepted to estimate its signal parameters due to its periodical phase transition. Recently, APCN(Advanced Pulse Compression Noise) waveform using random amplitude and phase transition was proposed for LPI(Low probability of Intercept). But random phase code signals such as APCN waveform tend to be sensitive to Doppler frequency shift and result in performance degradation during moving target detection. In this paper, random phase and code rate transition based radar waveform(RPCR) is proposed for Doppler tolerance improvement. Time frequency analysis is carried out through ambiguity analysis to validate the improved Doppler tolerance of RPCR waveform. As a means to measure the vulnerability of the proposed RPCR waveform against LPI, WHT(Wigner-Hough Transform) is adopted to analyze and estimate signal parameters for ECCM(Electronic Counter Counter Measures) application.

Study for Audio Watermarking Using Echo Signal (반향 신호를 이용한 오디오 워터마킹에 관한 연구)

  • 오현오;김현욱;윤대희;차일환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67-77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고음질 오디오 신호에 임의로 삽입된 반향(Echo)신호가 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한 오디오 워터마킹 기법에 대해 다룬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에 반향을 첨가하게 되면 음색이 더욱 풍부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이 때 삽입된 반향신호의 시간 지연과 크기가 충분히 작을 경우에는 심리 음향모델의 시간영역 마스킹 효과에 의해 지각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의 구간별로 임의 삽입된 반향의 시간지연을 검출할 수 있다면, 이를 이용한 정보 감춤(data hiding)및 워터마킹 기법에 활용할 수 있다. 반향신호를 이용하여 원 신호에 정보를 삽입하게 되면 가우시안 잡음이나 PN 시퀸스를 이용하는 경우처럼 오디오 신호에 이질적인 잡음을 첨가하지 않기 때문에 청감 특성상 유리하며, 오디오 신호 고유의 통계적 특성을 유지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향의 첨가가 음질의 왜곡은 초래하지 않으면서 정보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서는 원 신호의 특성에 따른 반향 첨가 기술이 요구된다.

  • PDF

Measurement method of the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21) of the impedance transformer (임피던스 변환회로의 신호 전달특성(S21) 측정 방법)

  • Park, U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0
    • /
    • pp.1282-1289
    • /
    • 2019
  • In order to measure the transfer characteristic(S21) of the impedance transformer, two impedance transformers must be symmetrically connected. However,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wo symmetrically connected impedance transformers is influenced by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line. This paper theoretically examines closely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line to obtain the accurat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impedance transformer. The electrical lengt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line for obtaining the accurat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4:1(50-Ω:12.5-Ω) impedance transformer is calculated about 45°. Using the calculated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The λ/4-microstrip impedance transformer is fabricated at 1 GHz to measure the transfer characteristic. The symmetrically connected impedance transformer is measured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S11) of -40.64dB and the transfer characteristic(S21) of -0.154dB at 0.980GHz. This value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theoretical calculated 987MHz center frequency and -0.15dB transfer loss value of the λ/4-microstrip impedance transformer.

Novel harmonic coding method for parametric audio codec (하모닉 보상방법에 기반한 파라메트릭 코덱 구현에 관한 연구)

  • Jeong, Jong-Hoon;Lee, Nam-Suk;Lee, Geon-H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143-144
    • /
    • 2008
  • 본 논문은 오디오 압축시 하모닉의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신호의 압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하모닉 코딩은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특징인 복합음(Complex tone)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파수 공간에서 정수배의 주파수가 존재하며, 정면파의 특성상 시간적으로 인접 신호들간의 유사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이용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오디오 신호의 경우, 악기들의 harmonic stretch,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 외부 잡음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부정확한 하모닉의 판단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압축과정에서 심각한 음질의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레림간의 변화 추이의 판단을 통하여 하모닉의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 오류에 대한 보상값을 전달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안정적인 압축/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있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Measurement of Velocity Distribution of Underwater Targets (수중 물체의 속도 분포 측정에 관한 기초 연구)

  • 이은방;이상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 no.1
    • /
    • pp.1-10
    • /
    • 1996
  • 초음파는 액체 및 고체의 매질 속에서도 그 전달 특성이 우수하여 수중 물체의 감지, 지질 조사 자원탐사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체유동정보 측정방식에는 연속파를 이용한 도플러식과 펄스 신호를 이용한 도플러는 거리 분해능이 좋으므로 깊이에 따른 속도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신되는 도플러 신호가 탐촉자의 특성과 매질 속에서의 전파특성 등에 의하여 송신된 신호와 파형이 다르고 복잡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므로 연속파에서와 같이 도플러 주파수를 직접 측정하기 곤란하다. 도플러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측정거리와 측정속도의 제약과 더불어, 실시간(real time) 처리에 의한 분포적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 영역에서 국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펄스 신호의 위상을 정의하고 실시간에서 펄스 신호를 위상으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신호 처리법을 응용하여 측정 범위의 위상 곡선에서 위상 차를 계산함으로써 평균 가속도와 유동속도정보를 분포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펄스 도플러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모델 신호를 만들어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